휴머니즘과 폭력

공산주의 문제에 대한 에세이
$18.36
SKU
97889320154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4/09/24
ISBN 9788932015408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서양 현상학의 독보적 존재이자 20세기 초 스탈린 혹은 구소련 내 문제를 냉철하게 바라본 서유럽의 지성인 메를로-퐁티(1908~1961)가―1950년 한국전쟁 발발 직전까지 견지(堅持)하고 있던─자신의 공산주의 정치 철학을 담은 본격 정치 평론서이다.

그의 사상적 동반자였던 사르트르와 함께 잡지 『현대Les Temps Modernes』를 창간(1945년 10월)한 후, 당시 지식인들의 초미의 관심사였던 ‘공산주의의 문제’를 포함해 예술·문학·윤리학 등에 관한 에세이를 연재했던 메를로-퐁티는, 이들 에세이 중에서 공산주의에 관한 글들만을 따로 모아 수정·보완을 거쳐 이 책 『휴머니즘과 폭력―공산주의 문제에 대한 에세이Humanisme et Terreur―Essai sur le probleme Communiste』(1947년)를 발표했다.

발표 당시 제목만큼이나 ‘폭력적’이랄 만한 도덕적 비난을 불러일으켰던 이 책은 부제에서 직접 밝히고 있듯이, 일련의 역사적 사건들―소비에트 정권, 모스크바 재판과 부하린의 숙청, 트로츠키의 암살, 아서 쾨슬러의 소설 『한낮의 어둠』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과 논박, 20세기 초 서유럽을 휩쓴 레지스탕스와 대독일 부역자 문제―을 중심으로 ‘폭력의 혁명적 분위기’ 안에서 공산주의의 문제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끌어내고자 했다. 당시 서유럽 지식인들 가운데 초미의 관심사로 격렬한 논쟁을 촉발시킨 이러한 메를로-퐁티의 글들은 “역사로부터 보호될 필요 없이 역사 안에서 살아 숨쉬는 마르크스주의적 사상”에 대한 그만의 예리하고 창조적인 해석을 내리고 있다.
Contents
옮긴이 서문

서문

제1부 폭력
제1장 쾨슬러의 딜레마
제2장 부하린과 역사의 애매성
제3장 트로츠키의 이성주의

제2부 휴머니즘적 시각
제1장 프롤레타리아에서 인민 위원으로
제2장 구도자와 프롤레타리아

결론

옮긴이 해제
한국어판 발문_정화열(미국 모라비언 대학 교수)
찾아보기
1999년 서울대학교에서 ‘정조(正祖)의 정치사상’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2001년부터 14년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조와 세종, 정도전과 최명길 등 왕과 재상의 리더십을 연구했다. 2013년부터는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 일본 ‘교토포럼’ 등에서 외국인 대상으로 ‘한국형 리더십’을 강의하는 한편, 시민강좌 ‘실록학교’를 운영해 왔다(2018년 기준 2,600여 명 수료). 현재 여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및 세종리더십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세종 리더십’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정치가 정조』,『정조 사후 63년』,『세종처럼』등이 있고, 『몸의 정치』와『휴머니즘과 폭력』을 우리말로 옮겼다. 「경국대전의 정치학」,「정약용의 군주론 : 정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조와 순조」 등 8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