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노동 수용소 생활을 배경으로
사회주의 체제의 모순과 비인간성을 고발하고
약자들의 인권을 대변한 솔제니친 문학의 백미!
작가와 독자를 연결하는 길은 오직 하나, 소설이 있을 뿐이다.
-솔제니친
솔제니친은 소련 공산주의 지배 권력을 날카롭게 비판했다는 이유로 소련작가동맹에서 제명당했으나 자유세계 지식인들의 뜨거운 지지와 공감으로 1970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는 소련의 저항문학 작가 솔제니친의 대표작으로, 작가는 소련의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 겪은 체험을 바탕으로 지배 권력의 폭압 속에서 죄 없이 고통받는 힘없는 약자들의 참상을 신랄하게 고발하고 권력에 유린당하는 약자들의 인권을 대변한다.
강제 노동 수용소는 현대 러시아의 비극이자 공산주의 소련의 치부다. 일찍이 도스토옙스키도 《죽음의 집의 기록》에서 피력한 바 있지만, 솔제니친은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에서 이러한 강제 노동 수용소를 배경으로 인간 존중의 절규를 처절하고 호소력 짙게 담아냈다. 여기 묘사되고 있는 스탈린 시대 수용소의 현실은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을 만큼 비참하다. 그러나 솔제니친은 이 가공할 현실을 냉정하고 침착하게 묘사한다. 때로는 가벼운 유머까지 섞어가며 담담한 필치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특히 등장인물의 성격을 묘사하는 놀랄 만한 정확성, 간결하고도 박력 있는 문체, 작품 전체의 밑바닥을 흐르는 강인한 저항정신은 이 작품에 높은 문학적 예술성을 부여하여 독자들을 완전히 휘어잡는다.
Contents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작품 해설
Author
솔제니친,이동현
'러시아의 양심'이라 불리는 러시아의 저항작가. 카프카스 산맥의 작은 휴양지 키스로보츠크에서 태어난 솔제니친은 홀어머니와 궁핍한 생활을 했다. 로스로프대학교에서 물리와 수학을 공부하고 모스크바대학교 문학과를 졸업했다. 1940년 결혼하고 이듬해 대학을 졸업한 그는 나치 독일의 러시아 침공으로 군에 입대해 포병장교가 되었다. 그러나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독재자 스탈린을 '콧수염 남자'로 빗대 말한 것이 탄로나 1945년에 체포되기도 했다. 그가 '반혁명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투옥된 것은 27세 때였다.
1956년부터는 러시아 랴잔시 중학교 수학교사로 일했으며, 시베리아의 수용소에서 중노동을 하면서 데뷔작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를 구상하였다. 이후 1962년에 이 단편소설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데뷔했다. 1970년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포병 대위로 근무하던 중 투옥돼 10년간 수용소에서 생활했던 경험을 그린 『수용소의 군도』로 1970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그는 소련의 정치제제와 타협을 거부하고 자신과 몇몇 동료 반체제작가들에 대한 소련 당국의 냉대를 끊임없이 비판하였다.
1974년에는 반역죄로 소련에서 추방 당했으며, 이후 미국 버몬트 지역에 정착하였다. 그러나 소련연방 붕괴 후인 1994년, 20년간의 망명생활을 마치고 러시아 시민권을 회복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서방 물질주의를 비판하면서 조국 러시아의 부활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으며 2007년 6월 러시아는 그에게 예술가들의 최고 명예상인 국가공로상을 수여하였다. 2008년 8월 3일 향년 89세의 나이에 심장마비로 타계했다.
'러시아의 양심'이라 불리는 러시아의 저항작가. 카프카스 산맥의 작은 휴양지 키스로보츠크에서 태어난 솔제니친은 홀어머니와 궁핍한 생활을 했다. 로스로프대학교에서 물리와 수학을 공부하고 모스크바대학교 문학과를 졸업했다. 1940년 결혼하고 이듬해 대학을 졸업한 그는 나치 독일의 러시아 침공으로 군에 입대해 포병장교가 되었다. 그러나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독재자 스탈린을 '콧수염 남자'로 빗대 말한 것이 탄로나 1945년에 체포되기도 했다. 그가 '반혁명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투옥된 것은 27세 때였다.
1956년부터는 러시아 랴잔시 중학교 수학교사로 일했으며, 시베리아의 수용소에서 중노동을 하면서 데뷔작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를 구상하였다. 이후 1962년에 이 단편소설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데뷔했다. 1970년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포병 대위로 근무하던 중 투옥돼 10년간 수용소에서 생활했던 경험을 그린 『수용소의 군도』로 1970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그는 소련의 정치제제와 타협을 거부하고 자신과 몇몇 동료 반체제작가들에 대한 소련 당국의 냉대를 끊임없이 비판하였다.
1974년에는 반역죄로 소련에서 추방 당했으며, 이후 미국 버몬트 지역에 정착하였다. 그러나 소련연방 붕괴 후인 1994년, 20년간의 망명생활을 마치고 러시아 시민권을 회복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서방 물질주의를 비판하면서 조국 러시아의 부활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으며 2007년 6월 러시아는 그에게 예술가들의 최고 명예상인 국가공로상을 수여하였다. 2008년 8월 3일 향년 89세의 나이에 심장마비로 타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