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계학파 연구

$16.20
SKU
978893064009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5/10/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0640091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항상 율곡의 그늘에 가리어 조연으로 인식되어 온 우계의 학문적 특성과 도학적 위상을 조명함으로써 한국유학사의 흐름을 좀더 체계적이며 분석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책이다. 우계의 개방적 학풍, 탈사변적 학풍을 통해 한국유학사에서 유계학파의 역할과 위상을 살피고 있다.

1장에서는 우계학파의 형성 배경과 전개과정, 사상적 특성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우계 성혼의 삶과 인품, 율곡과의 학문적 교유 그리고 그의 세계이해와 인간이해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3장에서는 우계학파의 중심인물들의 학문과 사상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Contents
이 책을 내면서

제1장 우계학파
1. 우계학파 형성의 배경
2. 우계학파의 연원
3. 창녕 성씨의 가학
4. 우계학파의 형성과 전개
5. 우계학파의 사상적 특성

제2장 우계 성혼
1. 우계의 삶과 인품
2. 우계의 학문관
3. 우계와 율곡의 학문적 교유
4. 우계의 정신건강법

제3장 우계학파의 학문과 사상
1. 중봉 조헌
2. 팔송 윤황
3. 은봉 안방준
4. 포저 조익
5. 탄옹 권시
6. 미촌 윤선거
7. 명재 윤증
8. 서계 박세당
9. 남계 박세채
10. 하곡 정제두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황의동
1948년 충남 연기출신으로 대전 보문고,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충남대 대학원에서 율곡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청주대 철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충남대 학생지원처장, 대학원장, 유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또 율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제4회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철학연구』(경문사, 1987), 『한국사상』(청주대출판부, 1990), 『한국의 유학사상』(서광사, 1995),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1(성리학편)』(서광사,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2(경세사상편)』(서광사, 1998),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예문서원, 1999), 『유교와 현대의 대화』(예문서원,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 율곡 이이』(예문서원, 2002),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서광사, 2004), 『우계학파연구』(서광사, 2005), 『율곡 이이』(살림출판사, 2007), 『기대승』(성균관대출판부, 2008), 『기호유학연구』(서광사, 2009), 『한국유학사상연구』(서광사, 2011)가 있다.
1948년 충남 연기출신으로 대전 보문고,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학위를, 충남대 대학원에서 율곡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청주대 철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충남대 학생지원처장, 대학원장, 유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또 율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제4회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철학연구』(경문사, 1987), 『한국사상』(청주대출판부, 1990), 『한국의 유학사상』(서광사, 1995),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1(성리학편)』(서광사, 1998),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 2(경세사상편)』(서광사, 1998),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예문서원, 1999), 『유교와 현대의 대화』(예문서원,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 율곡 이이』(예문서원, 2002),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서광사, 2004), 『우계학파연구』(서광사, 2005), 『율곡 이이』(살림출판사, 2007), 『기대승』(성균관대출판부, 2008), 『기호유학연구』(서광사, 2009), 『한국유학사상연구』(서광사, 2011)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