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식론 강해

아뢰야식
$40.25
SKU
978893063601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1/20
Pages/Weight/Size 152*223*35mm
ISBN 9788930636018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성유식론』은 인도의 대승 유식사상이 중국으로 전파된 후 현장과 규기에 의해 세워진 ‘법상종(法相宗)’의 주된 소의논전이다. 우리나라에도 삼국시대 때부터 전파되어 오늘날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유식사상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면 『성유식론』을 읽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의 저자 한자경 교수는 서양철학 칸트를 전공하였으며 또한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 유식을 공부하였다 그는 『성유식론』을 주 텍스트로 삼아 박사학위논문『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를 썼다. 그가 계속 미뤄오다가 이제야 『성유식론강해』를 내놓게 된 것은 『성유식론』이란 책의 난해함과 복잡함과 광범위함에 겁먹어 감히 강해를 내겠다는 엄두를 내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부분적으로 대학원 수업을 하면서 함께 읽고 분석하고 토론하기도 하였지만, 결코 쉽지 않은 책이었다고 말한다. 지금 강해를 내지만, 그것도 전체 책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고, 그나마 그 내용도 온전히 다 이해하였다고 자신 있게 말하기 어려우나 더 미루면 결국 끝내 못할 것 같고, 불완전한 해설서라도 없는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서 내놓기로 마음먹었다고 그 마음을 밝힌다.
물론 『성유식론』의 우리말 번역은 이미 몇 권 나와 있다. 첫 번역 책은 동국대역경원에서 나온 김묘주의 『성유식론』(1995)이다. 그 후 김윤수가 규기의『성유식론술기』를 선택적으로 번역하여 『자은 규기의 술기에 의한 주석 성유식론』(2006)을 내놓았고, 얼마 전 이만이 부분적으로 각주를 달아 『성유식론주해』(2016)을 내놓았다. 그런데 원문과 번역 그리고 주석이나 주해만으로『성유식론』의 내용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 모든 문장이 너무 압축적이고 의미심장해서 각 문장마다의 친절한 설명이 없으면 한 걸음씩 발을 떼기조차 어렵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에는 유식에 대한 일반적 설명서는 있지만 『성유식론』의 문장을 하나하나 풀이해 내는 해설서는 아직 없다.
이 강해는 『성유식론』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성유식론』은 세친의 『유식30송』을 풀이한 것인데, 여기에서는 제8아뢰야식을 설명한 제4게송까지의 풀이를 강해한 것이다. 그래서 『성유식론 강해 아뢰야식(阿賴耶識)』이라고 제목을 달았다.
Contents
『성유식론 강해』에 앞서 5

해제 유식의 세계 15

1.『성유식론』은 어떤 책인가? 15
2. 유식의 심층적 세계관 20
1) 존재의 표층적 이해와 심층적 이해: 실체론과 연기론 20
2) 연기론에 담긴 심층적 세계관: 내적 초월주의 23
3. 유식의 마음 이해 25
1) 마음의 심층 분석 25
2) 아뢰야식의 해명 29
4. 일(一)과 다(多)의 문제 35
1) 심층에서의 ‘일즉다 다즉일’ 35
2) 개별적 차이의 생성 37
5. 유식의 실천적 함의 40
1) 절대평등과 대동(大同)의 이념 40
2) 보살정신: 대동을 실천하는 공생(共生)의 삶 42

제1부 유식의 원리 45

1. 유식의 지향점 47
1) 아공과 법공에 의한 아집과 법집의 극복 47
2) 초기불교의 무아에서 유식의 아공?법공까지 51
2. 가아와 가법 54
1) 내식(식소변)과 외경(아와 법) 54
2) 아와 법의 시설 57
3) 시설의 의지처: 식소변 63
4) 안혜의 1분설과 호법의 4분설 71
3. 능변식 74
1) 3가지 능변식: 이숙식?사량식?요별경식 74
2) 인능변과 과능변 79

제2부 제8아뢰야식 89

제1장 아뢰야식과 종자 93
1. 아뢰야식의 3상(相) 93
1) 자상(自相) 94
2) 과상(果相) 95
3) 인상(因相) 97
2. 종자 98
1) 종자의 의미 98
2) 종자의 3성 103
3. 종자의 기원 108
1) 본유설: 호월 108
2) 신훈설: 난타 112
3) 신훈?본유 합생설: 호법 115
4. 종자의 조건: 종자6의(義) 136
5. 아뢰야식과 종자의 관계 147
1) 소훈처의 조건: 소훈4의 148
2) 능훈식의 조건: 능훈4의 152
6. 아뢰야식의 염과 정: 8식설과 9식설 159

제2장 아뢰야식의 행상과 소연 161
1. 아뢰야식의 활동 161
1) 행상: 료(了) 164
2) 소연: 처와 집수(종자와 유근신) 164
2. 식의 전변구조: 4분설 173
1) 견분과 상분 173
2) 자증분 180
3) 증자증분 190
4) 2가지 상분과 3가지 경 202
3. 아뢰야식의 소연 207
1) 처(處): 기세간 208
2) 종자: 유루종자 231
3) 유근신 234
4. 식소변의 경이 오직 색인 이유 242
5. 소연과 행상이 불가지인 이유 255

제3장 아뢰야식의 상응심소 259
1. 심소의 의미와 종류 259
2. 아뢰야식의 상응심소: 변행심소 262
1) 촉(觸) 263
2) 작의(作意) 272
3) 수(受) 275
4) 상(想) 280
5) 사(思) 281
3. 변행(遍行)과 상응(相應)의 의미 283
1) 변행의 의미 283
2) 상응의 의미 284
3) 사수(捨受)와만 상응 286
4) 다른 심소와 상응하지 않는 이유 289
제4장 아뢰야식의 성과 명칭의 변화 293
1. 아뢰야식의 3성 293
1) 아뢰야식의 무부무기성 294
2) 아뢰야식의 심소가 아뢰야식 자체와 마찬가지인 점 297
2. 아뢰야식의 인과(因果) 비유 304
1) 항전하는 폭류에의 비유: 비단비상 305
2) 아뢰야식의 인과(因果) 310
3. 아뢰야식을 조복시키고 끊는 지위(복단위) 323
1) 아라한의 지위 324
2) 제8식의 여러 이름 342
3) 수행 지위에 따른 제8식의 이름의 변화 347

제5장 아뢰야식의 별도의 체 증명 361
1. 5교증(敎證) 363
1) 4가지 대승경전에 따른 교증 363
2) 대승의 진리성: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에 대한 비판 384
3) 밀의(密意)로서 아뢰야식을 설하는 부파경론 393
2. 10리증(理證) 401
1) 지종증(持種證): 종자를 집지하는 식이 있어야 함 402
2) 이숙증(異熟證): 업과의 식이 있어야 함 423
3) 취생증(趣生證): 5취와 4생을 유전하는 식이 있어야 함 431
4) 집수증(執受證): 신체를 집수하는 식이 있어야 함 438
5) 수난식증(壽煖識證): 목숨과 체온이 의지하는 식이 있어야 함 444
6) 생사증(生死證): 나고 죽을 때의 식이 있어야 함 448
7) 식명색호위연증(識名色互爲緣證): 명색의 연인 식이 있어야 함 457
8) 4식증(四識證): 식식(識食)의 의지처인 식이 있어야 함 461
9) 멸정증(滅定證): 멸진정에서도 남는 식이 있어야 함 470
10) 염정증(染淨證): 잡염과 청정의 의지처인 식이 있어야 함 491

부록 507
- 불교의 우주론 507
- 3계(界), 6취(趣), 6+18+4천(天) 509
- 3계(界), 9지(地) 511
- 3계(界), 7식주(識住) 512
- 부파불교의 20개 부파 513
- 유식의 존재분류: 5위(位) 100법(法) 514
-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516

찾아보기 523
Author
한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서우철학상 수상), 『자아의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 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청송학술상 수상),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원효학술상 수상),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불교출판문화상 대상 수상),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마음의 연구』(반야학술상 수상),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영지』, 『성유식론 강해: 아뢰야식』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서우철학상 수상), 『자아의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 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청송학술상 수상),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원효학술상 수상),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불교출판문화상 대상 수상),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마음의 연구』(반야학술상 수상),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영지』, 『성유식론 강해: 아뢰야식』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