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신학 - 정치론

$37.42
SKU
9788930623704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5/20
Pages/Weight/Size 160*230*30mm
ISBN 9788930623704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철학서적 전문출판 서광사에서 신간 『신학-정치론』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서광사 『스피노자 선집』 다섯 번째 책으로, 스피노자가 당시의 종교적 · 정치적 상황을 비판하고 고발하기 위해 익명으로 출판한 작품으로, 스피노자는 당시의 종교적 · 정치적 현실 상황을 비판하고 고발하기 위해 『에티카』의 완성을 미루고 이 책을 출판하였다. 책의 번역은 앞서 출간된 스피노자 선집 『지성 개선론』, 『신과 인간과 인간의 행복에 대한 짧은 논문』, 『데카르트의 철학의 원리』, 『에티카』를 번역한 강영계 교수가 맡았다. 『신학-정치론』은 모두 20장으로 되어 있다. 1~15장은 성서와 종교를 해석하며 비판하는 내용이며, 16~20장은 정치학을 다루고 있다.
Contents
옮긴이의 말 - 7
머리말 - 15

제1장. 예언 - 33
제2장. 예언자들 - 59
제3장. 이스라엘인들의 소명(vocatio)에 대하여, 그리고 예언의 재능(donum propheticum)이 이스라엘인들에게만 고유했는가? - 85
제4장. 신법(神法) - 109
제5장. 의식(儀式)제도가 만들어진 이유와 성서의 이야기에 대한 믿음의 근거, 그리고 그 믿음이 어떤 이유로 또 누구에게 필요한가? - 129
제6장. 기적 - 149
제7장. 성서 해석 - 175
제8장. 모세오경과 ‘여호수아기’, ‘판관기(사사기)’, ‘룻기’, ‘사무엘기’,‘열왕기’는 자서전인가? 또 이 성서들의 저자는 누구였으며 한 사람이었는가? 아니면 여러 명이었는가? - 209
제9장. 이 저술들을 에즈라가 최종적으로 마무리했는가?, 히브리어 판 성서에서 발견된 난외주석(欄外註釋, codex)은 원문과 상이한 독서 방식들을 표현하는가? - 229
제10장. 앞의 책들과 똑같은 방식으로 구약의 나머지 책들을 검토한다. - 253
제11장. 사도들은 사도로서, 예언자로서, 서한을 썼는가 아니면 교사로서 서한을 썼는가의 여부를 탐구하고, 사도들의 임무를 제시한다. - 271
제12장. 신법의 참다운 원본에 대해서, 그리고 성서가 신성하다고 일컬어지는 이유와 또 신의 말이라고 일컬어지는 아유는 무엇인가? 결국 성서가 신의 말을 포함하고 있는 한에서 성서는 훼손되지 않고 우리에게 전달되었다는 것을 밝힌다. - 285
제13장. 성서는 가장 단순한 것만 가르치며, 순종 이외에는 다른 것을 목적으로 삼지 않는다는 것을 밝힌다. 신의 본성은 인간들이 확실한 삶의 이유에서 모방할 수 있는 것만을 가르친다. - 299
제14장. 신앙은 무엇이며, 신도는 누구인가? 신앙의 기초를 결정하며, 신앙을 철학으로부터 분리한다. - 309
제15장. 신학은 이성에 종속되지 않으며, 이성도 신학에 종속되지 않는 것을 밝힌다. 그러나 이성은 성서의 권위를 확신하게 한다. - 321
제16장. 국가의 기초에 대하여: 각 개인의 자연권과 시민권, 그리고 최고 권력의 권리에 대해서 - 335
제17장. 어느 누구도 모든 것을 최고 권력에게 양도할 수 없으며 그럴 필요도 없다는 것을 밝힌다. 모세 생전의 이스라엘 국가와 모세 사후에 왕들을 선발하기 전까지의 이스라엘 국가는 어떠했는가? 그리고 이스라엘 국가의 번영과 신정(神政)국가가 몰락하고 시민의 반란 없이는 존속할 수 없었던 원인들은 무엇인가- 357
제18장. 이스라엘 국가와 역사로부터 도출되는 몇 가지 정치적 명제들(dogmata politica) - 393
제19장. 성스러운 문제에 관한 권리는 전적으로 최고 권력에 속하며, 신을 옳게 섬기려면 외적 종교의식(宗敎儀式)은 공적 평화와 일치해야 한다. - 405
제20장. 자유국가에서는 각자가 원하는 대로 생각할 수 있으며, 생각하는 대로 말할 수 있다. - 423


해설 - 439
찾아보기 - 445

Author
B. 스피노자,강영계
포르투갈계 유대인으로서 1632년에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에서 출생했다. 어릴 때부터 총명했던 스피노자는 위대한 랍비가 될 것이라는 희망을 안겨주었다. 그는 유대 공동체가 설립한 학교에서 철저하게 유대적인 교육을 받고 종교적 관념과 신학적 이론으로 가득 찬 사상과 친숙해진다. 이에 따라 스피노자는 그의 사유와 삶의 모든 국면에 근본적으로 신이 존재한다는 유대인의 관습을 체화했지만, 당시의 학문 용어인 라틴어를 습득하면서 과학과 스콜라철학, 데카르트의 철학을 알게 된다. 특히 데카르트의 철학을 접한 것은 스피노자의 사유체계 확립과 관련하여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새로운 사상 조류를 접하고 그의 이성적 정신으로 인해 종교에 의문을 품으면서 스피노자는 유대신앙과 멀어지기 시작한다. 유대교를 멀리하는 스피노자의 태도는 동족에게 큰 불안을 안겨주었다. 유대인들이 무엇보다 걱정한 것은 위대한 랍비가 될 것이라 믿었던 젊은 유대인이 유대교를 저버렸다는 소식이 퍼져나가는 일이었다. 유대교회의 압박에 순응할 생각이 없었던 스피노자는 30일간 공동체에서 제외되는 소파문에 선고된다. 소파문은 유대신앙으로의 회귀를 위해 주어진 예비 기간이었다. 이 기한이 지나고도 스피노자의 태도는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1656년 7월 26일, 암스테르담의 유대교회당에 공동체가 모여 스피노자에게 대파문을 선포한다. 대파문으로 스피노자는 동족으로부터 철저하게 배척받았고 도시를 떠나게 되었다. 그 이후로는 레인스뷔르흐, 보르뷔르흐 등 여러 도시를 옮겨 다니며 하숙 생활을 하게 된다. 스피노자는 생계를 위해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렌즈를 연마하는 기술을 배운다. 렌즈를 가공하는 기술을 통해 생계에 필요한 것을 충분히 가질 수 있었다. 그는 평생을 자신의 사상을 창출하고 집필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자신의 철학체계의 정립과 함께 친구들도 생기고 제자들도 따르게 되면서 스피노자의 명성은 학계에 널리 퍼져나갔고,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정교수직을 제안 받기도 했으나 그는 자유를 누리기 위해 이 제안을 거절한다. 스피노자는 자유와 사색을 보장해주었던 반 고독의 삶을 살았다. 여위고 허약했으며 일찌감치 폐결핵에 걸린 그는 절제된 생활로 간신히 삶을 보호했다. 미세한 유리가루를 끊임없이 삼키게 한 직업, 운동 부족, 극도의 긴장과 함께 수행된 지적 활동 등이 병을 악화시켰다. 결국 1677년 2월 20일 의사가 보는 가운데 숨을 거두었다.
스피노자의 작품들로는 존재론, 인식론, 감정론, 윤리학 등을 다루는 『소론』, 『지성개선론』, 『데카르트의 철학원리』, 『에티카』, 그리고 신학 및 정치철학을 다루는 『신학정치론』과 『정치론』, 그리고 그의 삶과 사상의 여러 국면을 알려주는 『서간집』이 있다.
포르투갈계 유대인으로서 1632년에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에서 출생했다. 어릴 때부터 총명했던 스피노자는 위대한 랍비가 될 것이라는 희망을 안겨주었다. 그는 유대 공동체가 설립한 학교에서 철저하게 유대적인 교육을 받고 종교적 관념과 신학적 이론으로 가득 찬 사상과 친숙해진다. 이에 따라 스피노자는 그의 사유와 삶의 모든 국면에 근본적으로 신이 존재한다는 유대인의 관습을 체화했지만, 당시의 학문 용어인 라틴어를 습득하면서 과학과 스콜라철학, 데카르트의 철학을 알게 된다. 특히 데카르트의 철학을 접한 것은 스피노자의 사유체계 확립과 관련하여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새로운 사상 조류를 접하고 그의 이성적 정신으로 인해 종교에 의문을 품으면서 스피노자는 유대신앙과 멀어지기 시작한다. 유대교를 멀리하는 스피노자의 태도는 동족에게 큰 불안을 안겨주었다. 유대인들이 무엇보다 걱정한 것은 위대한 랍비가 될 것이라 믿었던 젊은 유대인이 유대교를 저버렸다는 소식이 퍼져나가는 일이었다. 유대교회의 압박에 순응할 생각이 없었던 스피노자는 30일간 공동체에서 제외되는 소파문에 선고된다. 소파문은 유대신앙으로의 회귀를 위해 주어진 예비 기간이었다. 이 기한이 지나고도 스피노자의 태도는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1656년 7월 26일, 암스테르담의 유대교회당에 공동체가 모여 스피노자에게 대파문을 선포한다. 대파문으로 스피노자는 동족으로부터 철저하게 배척받았고 도시를 떠나게 되었다. 그 이후로는 레인스뷔르흐, 보르뷔르흐 등 여러 도시를 옮겨 다니며 하숙 생활을 하게 된다. 스피노자는 생계를 위해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렌즈를 연마하는 기술을 배운다. 렌즈를 가공하는 기술을 통해 생계에 필요한 것을 충분히 가질 수 있었다. 그는 평생을 자신의 사상을 창출하고 집필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자신의 철학체계의 정립과 함께 친구들도 생기고 제자들도 따르게 되면서 스피노자의 명성은 학계에 널리 퍼져나갔고,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정교수직을 제안 받기도 했으나 그는 자유를 누리기 위해 이 제안을 거절한다. 스피노자는 자유와 사색을 보장해주었던 반 고독의 삶을 살았다. 여위고 허약했으며 일찌감치 폐결핵에 걸린 그는 절제된 생활로 간신히 삶을 보호했다. 미세한 유리가루를 끊임없이 삼키게 한 직업, 운동 부족, 극도의 긴장과 함께 수행된 지적 활동 등이 병을 악화시켰다. 결국 1677년 2월 20일 의사가 보는 가운데 숨을 거두었다.
스피노자의 작품들로는 존재론, 인식론, 감정론, 윤리학 등을 다루는 『소론』, 『지성개선론』, 『데카르트의 철학원리』, 『에티카』, 그리고 신학 및 정치철학을 다루는 『신학정치론』과 『정치론』, 그리고 그의 삶과 사상의 여러 국면을 알려주는 『서간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