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횔덜린, 하이데거, 그리고 게르만 신화

$31.32
SKU
978893062115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11/10
Pages/Weight/Size 159*231*30mm
ISBN 9788930621151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니체, 횔덜린, 하이데거, 그리고 게르만 신화』는 최상욱 교수의 전작 『하이데거와 여성적 진리』의 후반부라고 할 수 있으며 전작에서 남겨 둔 과제를 상세하게 탐색함으로써, 하이데게에 관한 해석의 지평을 한층 깊이있게 들어간다. 본문은 도입부와 모두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입부에서는 독일 철학자 하이데거의 생애와 주요 관심사들, 그리고 서구 사상에서 고대 그리스 정신의 의미를 살펴보고 1부에서는 일련의 독일 사상가들이 고대 그리스 정신을 지속적으로 추구해 왔음을 확인하며 2부에서는 고대 게르만 신화와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서문: 서구 정신사의 흐름

도입부: 서구 세계와 그리스, 그리고 독일 철학자 하이데거

1. 독일 철학자 하이데거의 생애와 주요 관심사들
1) 하이데거는 누구인가?
2) 하이데거의 생애에서 보이는 주요 관심사의 흐름들

2. 서구 사상에서 고대 그리스 정신의 의미
1) 서구 세계에서 고대 그리스의 위치
2) “서구세계”에 대한 남구 중심적 이해와 북구적 이해의 차이: 루소의 경우

1부: 니체, 횔덜린, 하이데거에 이르는 독일 정신과, 고대 그리스 정신

1. 독일 낭만주의와 관념론, 횔덜린의 독일 정신과 그리스

2. 헤겔에 있어서 그리스와 독일 정신

3. 슈펭글러에 있어서 그리스와 독일 정신

4. 니체에 있어서 그리스와 독일 정신
1) 니체의 자기이해
2) 니체의 시대 비판: 독일 비판
3) 니체와 그리스 정신
4) 그리스 신 디오니소스와 게르만 신 오딘
5) 그리스 정신과 독일 정신에 대한“보편적”종합으로서 니체의 사상
6) 니체에 대하여 하이데거가 이중적 입장을 취하면서도 결국 비판한 근본적인 이유

5. 하이데거와 횔덜린에 있어서 그리스와 독일 정신
1) 횔덜린이 처한 독일의 시대적 상황과 고대 그리스 정신
2) 고대 그리스 작품에 대한 횔덜린과 하이데거의 입장
3) 횔덜린에 대한 하이데거의 평가의 근거: 그리스적 시원으로부터 게르만적
시원으로
4) 조국에 대한 횔덜린과 하이데거의 입장
대하여
5) 고대 그리스 정신과 횔덜린의 시로부터 고대 게르만 신화로

2부: 고대 게르만 신화와 하이데거

1.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존재”의 의미
1) 하이데거의 존재이해: “도대체 왜 존재자가 존재하며, 오히려 무가 아닌가?”
2) 게르만 신화에 나타난 존재이해: 도대체 왜 신들이 존재하며, 오히려 무가 아닌가?

2.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진리”의 의미
1) 하이데거의 진리론
2) 게르만 신화에서“진리”의 의미

3.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 속“죽음”의 의미
1) 하이데거의“죽음에의 존재”의 게르만 신화적 배경
2)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죽음”의 특징
4) 존재론적 내면의 소리
5) “죽음에의 존재”로의 결단성

4.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 사유의 본질
1) 하이데거에 있어서 사유의 본질로서 회상
2) 게르만 신화 속 동물들의 상징적 의미: 후긴(사유)과 무닌(회상)

5.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 언어의 본질
1) 하이데거에 있어서 언어의 본질
2) 게르만 신화에서 언어의 본질

6.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사물”의 본질
1) 사물에 대한 하이데거 주장의 독특성
2)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 속 사물들에 대한 비교적 고찰
3) 하이데거의 Ding과 게르만 신화 속 Thing
4) 하이데거와 게르만 신화에서 숲의 의미

나가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최상욱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하이데거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남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저서로는 『진리와 해석』(다산글방, 2002), 『하이데거와 여성적 진리』(철학과 현실사, 2006), 『니체, 횔덜린, 하이데거,그리고 게르만 신화』(서광사, 2010),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메타포로 읽기』(서광사, 2015) 등이 있고, 역서로는 『셸링』(동문선, 1997), 『철학자들의 신』(동문선, 2003), 『니체전집 4』(책세상, 2001), 『횔덜린의 송가〈이스터〉』(동문선, 2005), 『횔덜린의 송가〈 게르마니엔〉과〈 라인강〉』(서광사, 2009),『죽음과 삶의 드라마로서 인간의 유한성』(서광사, 2017)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하이데거의 인간론」, 「하이데거의 언어론」, 「하이데거의 자연론」, 「거주하기의 의미에 대하여」, 「하이데거에 있어 생명의 의미」, 「빛의 메타포에 대한 존재론적 변형」, 「하이데거에게서의 예술의 본질」,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에 있어 이웃 개념에 대하여」, 「귀의 메타포에 대한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변형」, 「하이데거와 엘리아데의 성스러움에 관한 고찰」,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평가」, 「하이데거의 시원 개념에 대하여」,「하이데거의 대지 개념에 대하여」, 「니체에 대한 하이데거의 초기해석(1936-37)의 존재사적 위치」, 「하이데거의 존재언어의 특징들」,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에 있어 죽음의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하이데거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남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저서로는 『진리와 해석』(다산글방, 2002), 『하이데거와 여성적 진리』(철학과 현실사, 2006), 『니체, 횔덜린, 하이데거,그리고 게르만 신화』(서광사, 2010),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메타포로 읽기』(서광사, 2015) 등이 있고, 역서로는 『셸링』(동문선, 1997), 『철학자들의 신』(동문선, 2003), 『니체전집 4』(책세상, 2001), 『횔덜린의 송가〈이스터〉』(동문선, 2005), 『횔덜린의 송가〈 게르마니엔〉과〈 라인강〉』(서광사, 2009),『죽음과 삶의 드라마로서 인간의 유한성』(서광사, 2017)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하이데거의 인간론」, 「하이데거의 언어론」, 「하이데거의 자연론」, 「거주하기의 의미에 대하여」, 「하이데거에 있어 생명의 의미」, 「빛의 메타포에 대한 존재론적 변형」, 「하이데거에게서의 예술의 본질」,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에 있어 이웃 개념에 대하여」, 「귀의 메타포에 대한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변형」, 「하이데거와 엘리아데의 성스러움에 관한 고찰」,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평가」, 「하이데거의 시원 개념에 대하여」,「하이데거의 대지 개념에 대하여」, 「니체에 대한 하이데거의 초기해석(1936-37)의 존재사적 위치」, 「하이데거의 존재언어의 특징들」,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에 있어 죽음의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