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 / 라케스 / 메논

$29.16
SKU
978893060630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7 - Wed 04/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Wed 04/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12/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0606301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 / 라케스 / 메논』은 사람으로서의 훌륭함 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는 세 개의 대화편들이 실려있다. 그리고 스승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그 연장선상에서 확장하여 그런 가능성을 위한 전제 조건들을 열어 보인 플라톤의 주옥 같은 대화편들과 저자의 해설을 담아냈다.

「프로타고라스」편은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들 중의 하나로서, 이른바 '소크라테스적 대화편'에 속한다. 이 대화편에서는 한자리에 모인 거물급 소피스테스들과 소크라테스가 나누는 담론의 현장이 놀랍고도 흥미롭게 펼쳐진다. 「프로타고라스」 편이 [사람으로서의] 훌륭함에 대한 총론이라면, 『라케스』 편은 '용기'를 주제로 한 각론의 성격을 띤다. '용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집요한 캐물음은 그 의미 규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런 의미 규정 작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어디까지 진행되는지, 그리고 그 작업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극명하게 잘 보여 준다.

『메논』 편은 그 내용으로 보아 초기에서 중기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의 것으로 간주되며, 플라톤이 남이탈리아 여행을 통해 피타고라스학파의 영향을 많이 받은 흔적이 보이는 대화편이다. 『프로타고라스』 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람으로서의] 훌륭함을 전체로서 다루고 있는 이 대화편은 테미스토클레스나 페리클레스처럼 훌륭했던 지도자들의 그 "훌륭함"이 일회성으로 그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밝힌다.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을 매우 실감나게 보여 준다.
Contents
머리말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프로타고라스』편

해제
목차
『프로타고라스』

『라케스』편

해제
목차
대화자들 및 등장 인물들
『라케스』

『메논』편

해제
목차
대화자들
『메논』

참고문헌
고유 명사 색인
내용 색인
Author
플라톤,박종현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셨을 때 그의 나이 28세였다. 그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기원전 387년에 철학 중심의 종합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를 세웠다.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글을 저술하며 그 안에 자신의 철학도 담았다. 「파이돈」 「크리톤」 「향연」 「국가」 「프로타고라스」 등 35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전부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저술 활동으로 남기지 않았기에 그의 사상을 엿보려면 플라톤의 『대화편』에 의존해야 한다. 초기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짙게 느낄 수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소크라테스 철학을 근간으로 한 플라톤 철학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