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종언(終焉)?

가족자유주의와 사회재생산 위기
$24.15
SKU
978893031953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2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0319539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최근 한국의 세계 최저 출산율은 큰 국제적 관심거리이지만 국가의 광범위한 저출산 대책과 엄청난 재정 투입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하향세를 멈출 조짐이 전혀 없다는 점 자체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사실 정부의 저출산 대응 지출은 그 실제 내용의 적합성을 면밀히 따져보아야 하지만, 더욱 근본적으로는 심화 일로의 저출산이 국가 차원의 제도와 지출만으로 뚜렷이 변화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러한 의문은 저출산에 국한되지 않고 비혼, 만혼, 이혼 등 혼인 위기(?), (노인이 특별히 심각하지만)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높은 자살률 등 생명, 가족, 인구를 아우르는 이른바 사회재생산 전반의 근본 위기 상황에 대해 제기된다. 아울러 그동안 한국인들의 삶을 사회 ·경제적으로 지탱해 온 농민과 노동자로서의 직업지위 역시 광범위한 불안정성에 직면해 농가와 도시노동자 가구의 안정적 사회재쟁산이 와해되고 있다.

필자는 한국의 경제·사회적 기본질서를 가족자유주의(familial liberalism)로서 개념·이론화하고, 이 기본질서가 국가 주도의 산업자본주의 체제 및 한국인의 생활세계 원리와 전략에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분석하고, 이 관계를 바탕으로 후기개발자본주의적 상황에서 인구, 가족, 계급(직업)에 걸친 급진적인 사회재생산 위기가 발생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한국인들의 가족은 단순히 사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이나 관계를 넘어 (개발)자본주의 체제에서 기본적이며 더러는 배타적이기까지 한 책임, 권리, 자유의 정치경제적 단위(political economic unit)이다. 이처럼 가족에 정치경제적 단위로서의 성격이 보편화되어 있음으로써 한국인들의 가족관계와 가정생활은 국가경제 등에 대두되는 거시적 혼란이나 위기에 매우 직접적이고 긴밀하게 반응한다.

한국인들은 전략적 생존을 위해 가족 구성과 관계를 적극적으로 조정·재조정해 왔으며, 거시적 생존환경의 격변으로 점철된 한국 현대사는 가족 구성과 관계의 격변으로 즉각 이어져 왔다. 한국인들이 가족관계의 유효한 범위, 강도, 기간을 실용적으로 재조정하려는 광범위한 노력에서 비롯되는 인구붕괴 및 지역해체 조짐은 일반 시민들이 국가, 사회, 자본주의 경제와 공유하는 가족자유주의의 고질성에 대한 역설적 증거이다. 그것은 가족자유주의적 개인과 가족들의 사회재생산에 관한 일종의 자기부과적인 구조조정의 결과이다.

국가와 사회가 절박하게 바라는 인구 회복과 지역 유지(재생)는 가족자유주의 정치경제와 사회정책 체계의 총체적 전환을 요구한다. 이러한 필요성은 사회재생산에 대한 포괄적이고 적극적인 국가, 사회, 기업의 지원과 협력으로 가족·인구 및 지역·산업(직업)의 차원에서 장기적인 안정성을 구가해 온 서유럽의 복지국가적 맥락에서 뚜렷이 반증된다.
Contents
개정판 서문 - 인구, 가족, 사회: 도구적 재생산에서 가치적 재생산으로
초판 서문 - 사회 등진 자본주의, 사회재생산 접은 친밀성

제1부 가족자유주의

제1장 가족자유주의와 사회재생산
1. 들어가며
2. 자유주의의 다양성: 개인자유주의, 가족자유주의
3. 사회재생산, 가족자유주의, 개발자유주의
4. 사회재생산 회피: 가족자유주의자들의 자기부과적 구조조정

제2장 ‘위험가족’ 시대의 개인·가족·사회 관계
1. 개인화? 혹은 개인주의화?
2. 한국인들의 가족주의: 이념적·제도적·상황적 구성
3. 개인생애단계와 가족생활주기의 탈구

제2부 생활세계, 인구동태, 사회재생산

제3장 신전통주의 근대가족(혼인)의 위기
1. 서론
2. 신전통주의 근대성: 한국의 유교적 가족문화와 젠더
3. 신전통주의 근대가족: 서구 경험과의 비교
4. 신전통주의 근대성, 가족자유주의, 개발자유주의: 젠더체계의 정치경제
5. 탈개발시대 여성과 자유주의 근대화: ‘시집가기’ 결혼의 종언?
6. 전망

제4장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1. 서론
2. 자본주의와 가족주의 근대성
3. 가족주의 질서의 역설: 위험 관리로서의 ‘탈가족화’와 ‘개인화’
4. 개발시대, 위험(회피)시대, 사회재생산
5. 국가주의적·가족주의적·개인주의적 사회재생산: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제5장 노인의 무(無)개인주의 개인화
1. 서론: 노인성 구성의 다양성과 유동성
2. 이념적·제도적·상황적 개인화
3. 노인의 개인화 실태: 거주 형태, 직업·소득 실태, 여가·문화 활동
4. 개인화로서의 노인 자살
5. ‘신세대’로서의 노인과 개인화: 사회재생산적 함의

제3부 생산체제, 계급실태, 사회재생산

제6장 농가 재생산체계의 붕괴와 혼인 세계화
1. 서론
2. 농가 재생산주기 분포별 변화
3. (혼인 세계화 이전) 농가 재생산주기 단계별 문제
4. 농가 재생산주기 보완전략으로서의 국제결혼
5. 결론과 전망

제7장 남성 노동생애와 가족생활주기의 착종 (최선영·장경섭)
1. 서론
2. 기존 연구 검토 및 분석방법
3. 생애 노동참여 양상의 성별분화
4. 남성 노동생애의 성격: 직업유동성과 부문 간 이동
5. ‘남성생계부양자’의 직업유동성과 불안정성의 가족 전이
6. 결론

제8장 개발가부장제 노동체제와 여성 상용노동 시대
1. 들어가며
2. 한국의 발전전략과 개발가부장제 노동체제
3. 노동 조건 및 일·생활 양립의 실태
4. 결론

제4부 결론과 전망

제9장 가족자유주의의 종언?
1. 들어가며
2. 가족·개인의 자기부과적 구조조정으로서의 사회재생산 회피
3. 비교사회적 평가: 가족자유주의의 세계적 다원성

제10장 제도매뉴얼적 사회(과)학을 넘어: 가족, 국가, 실행적 자유주의
1. 제도주의 근대화
2. 실행적 자유주의: 가족자유주의, 개발자유주의
3. 제도매뉴얼적 사회(과)학을 넘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장경섭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1984)
브라운대학교 사회학 박사(1991)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1984)
브라운대학교 사회학 박사(1991)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