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국어 교과서 탐색

$42.26
SKU
978893031941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0/21 - Fri 10/2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0/16 - Fri 10/1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30
Pages/Weight/Size 188*257*20mm
ISBN 9788930319416
Categories 대학교재 > 사범대 계열
Description
이 책은 코로나19 이후 도래한 ‘새 일상(new normal)’ 시대를 맞아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원리를 탐색하고 그 모형을 구체화한 결과물이다. 이 책의 내용은 미래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본 1부, 디지털 국어 교과서 개발의 현황과 요구를 분석한 2부, 개발의 실제를 제시한 3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특히 이 책은 국어 교과의 특성에 기반하여 디지털 국어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기능과 자료를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어 단기적, 중·장기적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및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책은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을 연구하는 연구자,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 자료의 구현에 관심이 있는 개발자,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관심이 많은 교사와 예비 교사에게 이론적, 실제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ontents
제1부 미래 교육과 국어 교과서
1. 미래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
1.1. 미래 사회 교육 환경의 변화
1.2. 스마트교육과 디지털 기반 교육
1.3. 미래형 교육의 해외 실행 사례
1.3.1. 영국의 ‘미래교육 프로젝트’
1.3.2. 미국의 전망 및 사례
1.3.3. 캐나다의 전망 및 사례
2.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
2.1.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
2.2.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
2.2.1.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의 장단점
2.2.2. 서책형 교과서에서 디지털 교과서로의 이행
2.2.3. 디지털 교과서의 기능
3. 디지털 국어 교과서
3.1.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모형
3.2.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발전 방향
3.2.1.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장단점
3.2.2.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
3.2.3. 디지털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평가 개선 방안

제2부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현황과 요구
1. 국내 디지털 교과서의 현황
1.1. 국내 디지털 교과서 개발 현황
1.2. 국내 디지털 교과서 분석
1.2.1. 초등 디지털 교과서 자료 분석
1.2.2. 중등 국어과 전자저작물 자료 분석
1.2.3. 초등 디지털 교과서 기능 분석
1.2.4. 중등 국어과 전자저작물 기능 분석
2. 국외 디지털 교과서의 현황
2.1. 국외 디지털 교과서 개발 현황
2.2. 국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사례 분석
2.2.1. 싱가포르 활용 사례
2.2.2. 말레이시아 활용 사례
2.2.3. 일본 활용 사례
2.2.4. 기타 활용 사례
3. 디지털 국어 교과서 관련 요구 분석
3.1. 디지털 교과서 전반에 관한 요구
3.1.1. 구동 환경의 최적화
3.1.2. 개발 단계별 구현 내용 체계화
3.1.3. 온·오프라인 수업의 연계
3.1.4. 교사용·학생용의 분리
3.1.5. 서책형 교과서와의 연계
3.2. 디지털 국어 교과서 관련 요구
3.2.1. 디지털 국어 교과서 ‘자료’ 관련 요구
3.2.2. 디지털 국어 교과서 ‘기능’ 관련 요구

제3부 디지털 국어 교과서 개발의 실제
1. 디지털 교과서의 설계 원리
1.1.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1.2. 행동유도성(affordance)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1.3. 그 외 디지털 교과서의 설계 원리
1.4. 디지털 국어 교과서 개발 및 활용의 원리
1.4.1.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개발 원리
1.4.2. 디지털 국어 교과서의 활용 원리
2. 디지털 국어 교과서 모형
2.1. 모형 개발 방향
2.1.1. 디지털 국어 교과서 자료 개발 방향
2.1.2. 디지털 국어 교과서 기능 개발 방향
2.2. 모형 구성
2.2.1. 교사 전용 자료
2.2.2. 교사 전용 기능
2.2.3. 차시 활용 자료 및 기능
2.2.4. 교수·학습 도움 기능
2.2.5. 본문 내 기능
2.3. 학습창 구성
2.3.1. 홈(메인 화면)
2.3.2. 내 학습 모음
2.3.3. 더 공부하기
3. 디지털 국어 교과서 모형 적용
3.1. 디지털 교과서 단원 사례(1)
3.1.1. 단원의 개관
3.1.1. 단원의 차시별 자료 및 기능 구조
3.1.2. 차시별 디지털 교과서 구현
3.2. 디지털 교과서 단원 사례(2)
3.2.1. 단원의 개관
3.2.2. 단원의 차시별 자료 및 기능 구조
3.2.3. 차시별 디지털 교과서 구현

참고문헌
Author
이병규,김지영,곽준현,안효원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학예연구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학 석사, 문학 박사, 2009 개정, 2007 개정 교육과 교육과정 심의 위원, 2009 개정 국어과 초등학교 국어 기획 집필 위원, 2015 개정 교육과정 심의회 국어 소위원회 부위원장, 초등 교사 임용 시험, 공무원 채용 시험 출제 위원 등의 이력이 있다.

대표 저서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2005, 공저), 『왜 다시 품사론인가』(2006, 공저),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2009), 『개념 있는 국어 문법』(2013/2018 개정판, 공저), 『초등 국어 교육의 이해』(2018, 공저),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초등 국어과 교수 학습의 원리와 적용』(2018, 공저),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사소통 1~4』(2019, 공저),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학습 도구 1~3』(2019, 공저), 『또바기와 모도리의 야무진 한글 1~5』(2019, 공저) 이 있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학예연구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학 석사, 문학 박사, 2009 개정, 2007 개정 교육과 교육과정 심의 위원, 2009 개정 국어과 초등학교 국어 기획 집필 위원, 2015 개정 교육과정 심의회 국어 소위원회 부위원장, 초등 교사 임용 시험, 공무원 채용 시험 출제 위원 등의 이력이 있다.

대표 저서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2005, 공저), 『왜 다시 품사론인가』(2006, 공저),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2009), 『개념 있는 국어 문법』(2013/2018 개정판, 공저), 『초등 국어 교육의 이해』(2018, 공저),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초등 국어과 교수 학습의 원리와 적용』(2018, 공저),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사소통 1~4』(2019, 공저),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학습 도구 1~3』(2019, 공저), 『또바기와 모도리의 야무진 한글 1~5』(2019, 공저)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