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1만 7천여 개의 저수지가 건설되어 대부분 하천이 호수의 연속으로 변모하였고 국내 수자원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 수질과 수생태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호수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의 기작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호수 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 화학적 변화, 생물군집 생장, 물환경 관리 등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호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서는 수온, 호류, 빛 등의 호수 내 물리적 현상을 설명하고, 산소, 이산화탄소, 인, 질소, 이온 등의 화학적 현상을 설명하며, 이어서 플랑크톤, 어류 등의 생물의 종류와 생태특성을 설명한다. 끝으로 수질관리와 부영양화 제어 방법 등 물환경관리의 이슈들을 설명하여 다학제적 이해를 제공한다.
자연호를 주로 다루는 외국의 호수학 서적과 달리 인공호 위주의 우리나라 특성을 고려하며 부영양화 관리 방안을 다루고 있어, 호수의 수질과 수생태계 관리 관련자들이 오래 기다려온 최초의 우리나라 호수의 과학 입문서라 할 수 있다. 물환경을 공부하는 대학의 고학년 학생이나 물환경관리 전문가에게 유용한 호수학의 기본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Contents
제1장 호수생태계의 개관
1. 호수생태계의 중요성
2. 호수의 정의
3. 호수와 하천의 구분
4. 호수의 생성과 천이
5. 호수생태계의 대상구조
6. 호수의 생성 기원에 따른 분류
7. 염분에 따른 호수의 분류
8. 부영양화도에 따른 호수의 분류
9. 부영양호와 빈영양호의 특성 비교
제2장 호수의 모양과 크기
1. 호수의 모양
2. 호수의 모양과 생태계 특성
3. 호수의 모양과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
4. 호수 크기의 계절적 변동
제3장 물의 밀도와 성층현상
1. 호수물의 밀도 결정 요인
2. 호수의 수온성층현상
3. 연간 수직순환형의 종류
제4장 물의 이동
1. 전달현상
2. 호수 내 물의 운동
제5장 호수의 빛투과
1. 호수에서 빛이 가지는 의의
2. 광도의 단위
3. 광도계의 종류
4. 수면반사
5. 수중의 빛투과
6. 호수의 색
7. 식물플랑크톤과 물의 색
8. 빛과 생물의 수직분포
9. 탁도 증가가 수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10. 광합성과 광도의 관계
제6장 용존 산소의 분포
1. 기체의 용해
2. 호수의 용존기체의 근원
3. 용존 산소의 역할
4. 용존 산소와 수생동물
5. 혐기성 환경
6. 하천과 호수의 산소 분포
7. 호수의 산소 수직분포 형태
8. 용존 산소의 일주기 변동
9. 심층산소소비율
10. 용존기체 과포화의 피해
제7장 수중의 이산화탄소와 pH
1. 이산화탄소의 역할
2. 이산화탄소의 근원
3. 수중에서 CO2의 해리평형
4. 이산화탄소 시스템의 완충 능력
5. 알칼리도
6. 알칼리도 측정과 CO2 농도
7. 알칼리도 측정 방법
8. 호수의 pH 분포
제8장 호수생태계의 인
1. 조류 성장의 제한영양소
2. 수중 인의 존재 형태 분류
3. 인 농도 측정 방법
4. 호수생태계에서의 인 순환
5. 호수의 총인과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6. 생태계의 인 순환과 인간에 의한 변형
7. One-box 인수지 모델
8. 호수 내 인 농도 저감을 위한 인의 순환과정 조절
제9장 호수의 질소
1. 호수에서 질소의 중요성
2. 질소의 존재 형태
3. 질소의 근원
4. 호수의 질소순환
5. 호수의 질소분포
제10장 주요 이온과 기타 용존물질
1. 수중의 용존물질과 부유물질
2. 전기전도도와 용존고형물
3. 담수의 주요 이온
4. 산화환원전위
제11장 호수의 저질과 물질순환
1. 저질의 특성 지표
2. 부영양호와 빈영양호의 저질 비교
3. 계절에 따른 퇴적량의 변동
4. 호수 내 저질의 입도분포
5. 저질 성분의 분포
제12장 호수의 유기물
1. 유기물과 수중생태계
2. 호수 유기물의 형태별 분류
3. 부식질의 환경학적 의의
4. 호수의 유기물 근원
5. 유기물의 순환
6. 식물플랑크톤의 1차생산 측정법
7. 일차생산력 분포
8. 군집대사
제13장 호수의 생물
1. 서식 형태에 따른 분류
2. 수생식물의 분류
3. 에너지원과 탄소동화 기능에 따른 분류
4. 계통분류학적 분류
제14장 식물플랑크톤
1.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의의
2. 플랑크톤의 채집 방법
3. 담수에서 흔히 나타나는 플랑크톤 종류
4. 식물플랑크톤의 부유기작
5.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6. 대형 댐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계절적 변동
7. 체류 시간이 짧은 저수지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화
8. 조류의 성장과 환경요인
9.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유형 분류
제15장 동물플랑크톤
1. 동물플랑크톤 채집 방법
2. 동물플랑크톤과 먹이연쇄
3. 동물플랑크톤의 주요 분류군
4.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
제16장 저생생물과 어류
1. 호소에 사는 저생생물의 특성
2. 어류의 분류
3. 어류 조사방법
4. 어류의 공간적 분포
5. 어류의 식성에 따른 구분
6. 어류의 체형에 따른 구분
7. 국내 호수의 어류상과 유해 외래어종
8. 어류와 수질
9. 어류 자원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