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조선시대 유교 도상의 역사에 관한 기술이다. 이 역사를 기술함으로써 이 시대에 정착한 유교 문명의 특성을 보여준다. 수집한 도의 수는 5,200건이 넘고 제작자인 유학자들은 220인을 넘는다. 본서의 내용은 유교 도상에 관한 다양한 명칭으로부터 도의 전체와 부분적 상징들을 지칭하는 용어들에 대한 설명, 중국 송대 도상의 소개 특히 주자학 계열의 도에 대한 집약과 소개, 조선 초기부터 조선 말기까지 제작된 조선 유학자들의 도에 대한 시기별 소개 등으로 이루어졌다.
본서에서 그림자료로 게시된 도의 수는 중국의 도자료들이 20건, 조선의 도자료들은 160여 건이다. 게시하지 못한 도자료들은 표를 통해서 그 제목들을 소개하였다. 이 많은 조선 유교의 도들은 함께 조선시대 성리학이 추구한 유교 문명의 총상을 담고 있다. 조선 유교의 도는 주자학의 도 중시의 태도를 그대로 계승하고 또 주자학을 聖學 心學 爲己之學 등을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켰다. 그것은 실질적으로 유교 문명 담당자 혹은 행위자의 지속적 확보를 위한 절실한 방법이었다. 이점이 중국 주자학 계열에 속하면서도 그것을 잘 발전시킨 중요한 결과이기도 하다.
Contents
제1장 서 론
왜 儒敎의 圖를 연구하는가?
제2장 圖의 명칭과 정의
1. 圖의 정의
2. 圖의 다양한 명칭과 실례
1) 圖
2) 圖說과 圖解
3) 制와 制圖
4) 式과 圖式
5) 表와 表說
6) 譜와 譜說
7) 帖
8) 法과 法圖
9) 目, 目式, 目圖 및 目錄圖
10) 數와 數圖
11) 次와 位
12) 卦圖類
13) 地圖
3. 圖 형식과 관련된 명칭
1) 전체와 부분의 명칭
2) 그림의 형태에 따른 구분
3) 도의 내부 구성과 부분적 요소에 관한 용어
제3장 중국 유교의 圖
1. 圖의 의미와 기원
1) 圖의 의미와 書와의 관계
2) 圖의 기원
2. 중국의 圖 자료집
3. 송대 성리학의 圖 제작의 취지
4. 주자학의 圖學 세계
5. 주자학의 圖 자료들
6. 중국 圖 자료의 특징과 의의
7. 중국유교 圖와 조선유교 圖의 관계
제4장 조선시대 유교 圖의 역사
1. 圖의 제작자와 圖 자료
2. 圖의 간략한 역사
1) 조선 초기의 圖 자료
2) 16세기의 圖 자료
3)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의 도 자료들
4)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의 圖 자료들
5) 19세기 및 이후의 圖 자료들
제5장 결론: 조선시대 儒敎 圖學과 유교 문명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유권종
고려대학교 철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철학박사대 교육학과 부교수
오스트리아 빈대학 방문학자교육학과 부교수
미국 뉴욕주립대학 스토니브룩대학 방문학자
중앙대학교 인문대학장(전)
한국공자학회장(전)종대 교육학과 부교수
마음학회장(전)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중국 북경사범대학 객원교수(전)
LG연암재단 연구교수(전)
President, International Biocosmology Assosiation(전)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Comparative Studies of Mind(전)
현재 중앙대학교 철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철학박사대 교육학과 부교수
오스트리아 빈대학 방문학자교육학과 부교수
미국 뉴욕주립대학 스토니브룩대학 방문학자
중앙대학교 인문대학장(전)
한국공자학회장(전)종대 교육학과 부교수
마음학회장(전)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중국 북경사범대학 객원교수(전)
LG연암재단 연구교수(전)
President, International Biocosmology Assosiation(전)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Comparative Studies of Mind(전)
현재 중앙대학교 철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