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실천

$27.17
SKU
978893031853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1/2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0318532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이제 우리 한국사회도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아무도 부인할 수 없다. 그래서 서로 협력하고 공존할 줄 아는 공동체적인 삶의 태도와 포용할 수 있는 시민정신을 키워야 할 때이다. 다문화교육은 사회적 통합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해결점을 찾는 프로젝트를 넘어 체계적인 내용체계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장기 프로젝트로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우리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된다면, 이들은 아시아 공동체를 뛰어 넘어 세계를 상대로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다문화교육은 주로 북미와 유럽 등을 모범으로 삼는다. 이 점에 대해 이 책의 집필진들은 부인하지는 않지만 동의도 역시 하지 못한다. 우리는 베트남 라오까이성의 다양한 소수민족 간의 공존을 교훈으로 삼을 수도 있고, 인도네시아의 국시인 ‘다양성 속의 조화(Diversity of social culture’ but life in UNITY)’에도 동의를 표할 수 있다. 이런 사례와 경험 그리고 슬로건은 우리 사회가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지향성을 제시한다. 이 말이 다수자들에게 소수자들의 문화도 배우게 하자는 성찰을 불러일으키게 하여, 존재의 다름과 같음을 이해하면서 다른 존재자들과도 함께 잘 어울려 살 수 있기를 희망한다.
Contents
제1부 다문화주의와 교육적 쟁점

제1장 다문화주의 실천과 시민의 다문화 역량
1. 다문화 역량이 필요한 이유
2. 한국사회의 인구 다양성과 대응 정책
3. 시민교육 담론과 다문화 시민 역량
4. 다문화 역량과 협동학습
5. 마무리

제2장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의 대안적 논쟁
1.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2. 다문화 학교의 의미와 개념
3. 다문화성과 상호문화성의 대립
4. 상호문화교육과 상호문화역량
5. 마무리

제3장 다문화주의와 ‘통합적’ 다문화교육의 실제
1. 통합적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2.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정의
3. 독일의 다문화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의 흐름
4. 독일 일반 학교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5. 베를린 국립 유럽학교
6. 마무리

제4장 다민족·다문화 사회에서의 종교교육
1. 다문화 사회의 종교교육
2. 유럽의 이슬람 논쟁
3. 독일의 종교교육
4. 모두 함께하는 종교수업의 관점
5. 학생 관점에서의 조화와 갈등
6. 마무리

제2부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제5장 지속가능한 다문화 도시와 다문화가족지원 정책
1. 초국적 이주와 ‘지속가능한’ 다문화 도시
2. 다문화 정책을 위한 타자 철학
3. 인천시 이주민의 다양성
4. 사회통합정책의 현실과 개선방안
5. 마무리

제6장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향
1. 들어가는 말
2. 이주여성과 한국어교육
3. 이주여성의 어휘사용 특성
4. 의사소통과 의사소통 전략
5. 마무리

제7장 이주여성의 자녀 대상 모국어 교육 경험
1. 이주여성의 자녀를 위한 모국어 교육
2. 모국어에 대한 이해
3. 국외 이중언어 교육정책
4.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국어 교육 경험
5. 마무리

제8장 중도입국자녀를 둔 이주여성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
1. 중도입국자녀의 문제
2. 중도입국자녀의 현황
3. 중도입국자녀의 특성과 복지서비스
4. 중도입국자녀를 둔 이주여성의 복지경험
5. 마무리

제3부 다문화 학교와 다문화 학습자

제9장 다문화 가정 학생의 교육연극과 협동학습
1. 교육연극과 협동학습의 필요성
2. 다문화 가정 학생과 교육
3. 교육연극과 협동학습
4. 교육연극과 협동학습의 실제
5. 마무리

제10장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1.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교육 문제
2. 다문화 가정 자녀와 한국어
3.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특성
4.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어휘
5. 마무리

제11장 탈북학생 현황과 탈북학생 교육 실태
1. 들어가는 말
2. 탈북학생의 개념 및 정의
3. 탈북학생 현황 및 특성
4. 탈북학생 교육 지원 정책 현황
5. 마무리

제12장 초등교사의 탈북학생 교육 경험의 의미
1. 탈북학생 교육의 문제
2. 탈북학생 교육 사례
3. 탈북학생 교육활동 양상: 생활 멘토링
4. 탈북학생 교육실천 양상: 돌봄의 교육
5. 마무리

제13장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의 사회적 실천과정
1. 대학생 다문화 멘토링의 필요성
2. 다문화 가정 학생의 특성과 다문화 멘토링
3. 다문화 멘토링과 사회적 실천
4. 대학생의 사회적 실천 자료수집 과정
5. 대학생의 사회적 실천과정
6.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영순,김선정,오영훈,이미정,김창아,김기화,박미숙,윤현희
1965년 강원도 양구에서 출생하였고, 춘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중앙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베를린공대 대학원에서 전문석사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문화학, 교육학, 언어학 등을 수학하고 문화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이후 조선대 연구교수,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거쳐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대학원 다문화학과에서 다문화 이론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전국 대학원생 질적연구방법론 캠프 촌장을 맡고 있으며, 시민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우리 사회에 문화다양성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BK21 글로컬다문화교육연구단 단장, 탈북다문화멘토링 사업단장, 한국연구재단의 이주민 생활세계 관련 토대 연구의 연구책임자 등을 수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다문화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다문화교육용어사전』, 『다문화교육연구의 이론과 적용』, 『다문화교육연구의 경향과 쟁점』,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질적연구의 즐거움』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언어, 문화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등이 있다. 연구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이상 학술지에 100여편을 발표하였다.
1965년 강원도 양구에서 출생하였고, 춘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중앙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베를린공대 대학원에서 전문석사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문화학, 교육학, 언어학 등을 수학하고 문화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이후 조선대 연구교수,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거쳐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대학원 다문화학과에서 다문화 이론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전국 대학원생 질적연구방법론 캠프 촌장을 맡고 있으며, 시민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우리 사회에 문화다양성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BK21 글로컬다문화교육연구단 단장, 탈북다문화멘토링 사업단장, 한국연구재단의 이주민 생활세계 관련 토대 연구의 연구책임자 등을 수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다문화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다문화교육용어사전』, 『다문화교육연구의 이론과 적용』, 『다문화교육연구의 경향과 쟁점』,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질적연구의 즐거움』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언어, 문화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등이 있다. 연구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이상 학술지에 100여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