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가스실

$20.41
SKU
978893031829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1/30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30318297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전통적으로 철학적, 신학적인 사상들을 근간으로 하여 대부분 국가의 헌법에는 인간의 존엄성 및 평등사상이 법조항으로 명시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히틀러와 민족사회주의자들은 특히 유대인뿐만 아니라 수많은 정신질환자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국가적으로 강제적 불임시술과 더불어 잔혹한 대학살을 자행하였다.

이에 본서에서는 특히 독일의 나치시대 당시에 장애인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락사 시설에서 행한 비인간적인 만행들을 고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다시 한 번 인간의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존엄성의 당위성을 논의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앞으로는 결단코 이러한 암흑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함께 고민하며 경계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Contents
제Ⅰ부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제 II 부 독일 제3제국의 지역별 대량 학살이 자행된 안락사 시설

1. 베른부르크(Bernburg) 안락사 시설

1) 안락사 희생자들의 출신지
2) 연도별 희생자 수 현황
3) 안락사 가담 의료인
4) 베른부르크 안락사 시설에서 일시적 안락사 중단
5) 베른부르크의 “Aktion 14f13”과 “Aktion Reinhardt” 프로그램
6) 1945년 이후

2. 브란덴부르크(Brandenburg an der Havel) 안락사 시설

1) 장애인과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대량 학살
2) 유대인 환자들에 대한 살해
3) 특별한 사례의 장애인과 환자
4) 희생자 시신에 대한 소각 처리
5) 안락사 범행 가담자
6) 히틀러와 민족사회주의자들의 안락사 행위에 대한 저항 운동
7) “Aktion T-4” 안락사 프로그램의 종결
8) 희생자들의 권리를 위해 투쟁한 사람들

3. 그라페넥(Grafeneck) 안락사 시설

1) 안락사 시설 위치
2) 시설 개축과 안락사 시행
3) 안락사 희생자 수 및 사례
4) 안락사 범죄 가담자
5) 범죄 가담자 재판
6) 안락사 희생자 기념관 건립

4. 하다마(Hadamar) 안락사 시설

1) 희생자들의 출신지
2) 희생자 수
3) 안락사 범죄의 가해자와 피해자
4) 안락사 관련 과거사 연구
5) 하다마 기념관 헤센지역복지협의회

5. 하르트하임(Hartheim) 안락사 시설

1) 하르트하이머 통계(Hartheimer Statistik)
2) 안락사 가담 주요 의료진
3) 하르트하임의 안락사 시설
4) 안락사 시설에서의 대표적 희생자들
5) 하르트하임 안락사 시설 내 안락사 범죄 주요 가담자들과 그 역할
6) 하르트하임 안락사 시설 범죄 관련자 재판
7) 하르트하임 안락사 희생자 기념관

6. 피르나 존넨쉬타인(Pirna-Sonnenstein) 안락사 시설

1) 피르나 존넨쉬타인 치료 및 요양시설의 역사(1811-1939)
2) 피르나 존넨쉬타인 안락사 시설(1940-1941)
3) 피르나 존넨쉬타인 안락사 시설에서의 희생자 현황
4) 범죄자에 대한 재판
5) 피르나-존넨쉬타인 안락사 시설 희생자를 위한 기념관

제 Ⅲ 부 시사점

1. 나치 정권 시대의 장애인 탄압 정책의 개관
2. 시사점 소고

도판 출처
참고 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기흥
동아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 전공
독일 쾰른대학교(Universitaet zu Koeln) 특수교육과 졸업(학사)
독일 쾰른대학교(Universitaet zu Koeln) 특수교육대학원 졸업(석사)
독일 쾰른대학교(Universitaet zu Koeln) 특수교육대학원 졸업(박사)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졸업(석사)
전 가야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2002~2005)
현 부산교육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2006~)

주요논문 및 저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 지체장애인에 대한 한국과 독일대학생의 태도연구(역서, 2003, 홍익재)』
『지체부자유학교의 직업교육실태 및 개선방안(2004)』
『우리나라의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안과 독일의 장애인평등법의 비교 연구(2005)』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환아 학교의 교육 및 수업운영체제에 관한 연구(2005)』
『장애아(인)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 소재 대학교를 중심으로(2006)』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의 운영체제에 관한 비교 연구(2007)』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2009)』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2010)』
『한·일 다문화 가정 장애자녀의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일본인 어머니들의 인식 및 지원 요구(2012)』
『Schulische Inklusion von Schuelern mit Behinderung im Primarbereich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im Vergleich zu Suedkorea(2013)』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들이 바라본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2014)』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2016)』
『독일의 특수학교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뒤셀도르프, 쾰른 및 부퍼탈 지역을 중심으로(2017)』
동아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 전공
독일 쾰른대학교(Universitaet zu Koeln) 특수교육과 졸업(학사)
독일 쾰른대학교(Universitaet zu Koeln) 특수교육대학원 졸업(석사)
독일 쾰른대학교(Universitaet zu Koeln) 특수교육대학원 졸업(박사)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졸업(석사)
전 가야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2002~2005)
현 부산교육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2006~)

주요논문 및 저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 지체장애인에 대한 한국과 독일대학생의 태도연구(역서, 2003, 홍익재)』
『지체부자유학교의 직업교육실태 및 개선방안(2004)』
『우리나라의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안과 독일의 장애인평등법의 비교 연구(2005)』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환아 학교의 교육 및 수업운영체제에 관한 연구(2005)』
『장애아(인)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 소재 대학교를 중심으로(2006)』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의 운영체제에 관한 비교 연구(2007)』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2009)』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2010)』
『한·일 다문화 가정 장애자녀의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일본인 어머니들의 인식 및 지원 요구(2012)』
『Schulische Inklusion von Schuelern mit Behinderung im Primarbereich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im Vergleich zu Suedkorea(2013)』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들이 바라본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2014)』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2016)』
『독일의 특수학교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뒤셀도르프, 쾰른 및 부퍼탈 지역을 중심으로(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