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종교의 사회운동사적 조명

$28.35
SKU
97889303174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1/8 - Tue 01/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1/3 - Tue 0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2/17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0317450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단체/NGO
Description
근현대 한국사회는 조선조후기, 대한제국시기, 일제치하의 식민지시기, 해방 후 남북분단시기의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이 전개되었고, 수많은 새로운 종교운동이 전개되었다. 특히 19세기 말부터 한국에서 민중이 중심이 되어 나타난 신종교의 개벽운동은 이상적 공동체에 대한 근대적 추구의 효시로 평가할 만하다.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새로운 종교운동은 민중을 기반으로 일어난 것이기에 성격으로는 ‘민중종교’의 의미가 강하고, 시기적으로는 새로운 종교운동이기에 ‘신종교 운동’이라 명칭하여 부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한국 자생적 종교운동은 한민족을 중심으로 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기에 동시에 ‘민족종교’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세계보편적 사상과 공공(公共)의 실천 윤리를 찾아볼 수 있다.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구세이념은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고 대다수 민초들의 희망을 대변하고 세계인식, 사회변화인식과 윤리의식, 가치관과 민족관 등이 응축되어 있다. 근현대의 신종교에 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이 역사와 사상사적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업적이 축적되어 왔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새롭게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내는 작업을 시도하여 신종교 전반에 걸쳐 신종교 참여자들의 심층적인 의식조사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중심 주제를 축으로 한 심층적 비교분석, 시간을 축으로 한 역사적 조명, 공간을 축으로 한 지형성에 대한 종교인류학적인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한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조사연구를 통해 한국 신종교의 다층적 구조를 파악하는 연구 성과를 본 저서에 담았다.
Contents
책을 발간하며

일제강점기(1910-1945)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한국사회 종교지형의 변화-박광수
Ⅰ. 서설
Ⅱ. 동아시아 전통의 ‘교(敎)’ 개념
Ⅲ. 메이지시대의 ‘종교(宗敎)’ 개념과 신도의 국교화
1. ‘종교(宗敎)’ 개념의 탄생
2. ‘유사종교(類似宗敎)’ 개념과 ‘신도비종교론(神道非宗敎論)’
Ⅳ.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종교지형의 변화
1. 조선총독부의 ‘종교의 도구화’ 정책
2. ‘유사종교’화된 민족종교
3. 탄압받는 조선의 신종교
Ⅳ. 결 론

종교시장적 지형 속의 신종교운동과 종교지형 변화-박승길
Ⅰ. 머리글
II. 해방공간에서의 종교시장의 형성과 변형
III. 이승만정권과 종교시장 통제정책
IV. 종교시장의 재건과 개발, 성장, 발전
V. 신종교운동의 성장 토양과 방향

동학계 신종교의 사회운동사-박맹수
Ⅰ. 조선후기의 사회운동-민란의 시대
Ⅱ. 동학의 사회운동-1894년 동학농민혁명
1. 동학 창도와 전파
2. 동학의 사회운동-1894년 동학농민혁명
Ⅲ. 동학농민혁명 이후의 사회운동
1. 의병
2. 영학당과 활빈당
3. 동학의 분화와 신종교

대종교인의 독립운동과 사상의 변천 양상-차옥숭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백포 서일(白圃 徐一, 1881-1921)
2. 백암 박은식[白巖 朴殷植, 1859-1925, 필명은 겸곡(謙谷)]
3.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1880-1936)
4. 우당 이회영(友堂 李會榮, 1867-1932)
Ⅲ. 나가는 말

사찰령(1911년)의 제정 과정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카미벳부 마사노부(上別府正信)
Ⅰ. 서론
Ⅱ. 근대에 있어서 한일 종교상황
1. 일본에 있어서 종교상황: 명치시대(明治時代) 전후
2. 조선에 있어서 종교상황: 조선의 개국
Ⅲ.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일본 불교의 유입
1. 진언종대곡파(眞宗大谷派)의 개교(開敎)
2. 일련종(日蓮宗)과 승려 도성출입금지 해제
3. 원흥사(元興寺) 창건,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 설립과 광무(光武) 6년의 사찰령(寺刹令)
4. 조동종(曹洞宗)과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조동종(曹洞宗)의 조선불교 병합(倂合)계획
Ⅳ. 조선총독부제령 제7호 사찰령(1911년)-조선불교계 수용과 대응
Ⅴ. 1945년 이후 일본 종교정책
1. 1945년 이후 일본 종교정책
2. 1945년 이후 한국 종교정책
Ⅵ. 결론

1920년대 유림계의 ‘내지시찰’-성주현
Ⅰ. 머리말
Ⅱ. 내지시찰의 일정과 시찰지역
Ⅲ. 내지시찰의 구성원과 시찰 소감
Ⅳ. 맺음말

한국 신종교 신자들의 신앙적 특징과 종교적 지향성 비교분석-남춘모
Ⅰ. 머리말
Ⅱ. 연구디자인 및 가설
1. 조사개요 및 대상
2. 조사모형 및 연구가설
Ⅲ.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1. 신앙적 특징 분석-기성종교와의 비교
2. 이원적 분석(신종교 4개 교단 신자들 비교)-추론통계
3. 경로분석
Ⅳ. 요약 및 결론
1. 기성종교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신종교 신자들의 신앙적 특징
2. 신종교 교단별 이원적 분석 비교-신종교 간 비교
3. 경로분석-신종교 교단 간 비교
4. 분석결과 요약 및 금후 과제

종교관련 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한국 종교소수자의 현황과 문제점-유광석
Ⅰ. 서론
Ⅱ. 숫자에 대한 믿음
Ⅲ. 숫자와 범주들
Ⅳ. 믿음에서 의심으로

Author
박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