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국제결혼과 외국인 배우자의 적응

$30.19
SKU
978893031677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04/1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0316774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이 책은 국제결혼의 증가 추이 및 그 원인,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외국인 배우자의 출신국가에 따른 다양성과 결혼안정성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와 아울러 혼인이주 여성의 사회문화적 적응, 출산수준과 건강인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일탈 등의 주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책의 구성은 국제결혼과 이혼의 추이에 대한 통계분석,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주요 쟁점들을 정리하고 논의하는 작업, 결혼안정성과 이주 후 적응 유형에 대한 인과적 설명틀의 구축, 그리고 혼인이주자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의 단계로 나누어진다. 이 책의 실증분석은 혼인이주 여성의 사회인구학적 지위와 부부의 상이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동질적 선택혼의 개념과 궤적을 달리 하는 국제결혼개방성 가설을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혼인이주자의 정착과정에서 사회연결망의 구성과 적응의 실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혼인이주자의 사회참여와 문화정체성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혼인이주자의 적응 형태를 네 가지로 유형화한 분석도 시도되었다. 또한, 가용한 행정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수준의 다문화 관련 변수들을 창출해내고, 이러한 변수들을 활용하여 거주지역의 민족구성이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수준, 사회활동 및 적응 형태, 건강인식에 미치는 주변효과를 검증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들은 혼인이주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 기존 이론을 정교화하는 효과를 거두었다고 판단된다.
Contents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2장 국제결혼의 사회인구학적 이해
1. 국제결혼 증가의 배경과 설명틀
1) 인구의 성 및 연령구성의 변화
2) 결혼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의 변화
3) 혼인 양상의 변화
2. 국제결혼의 증가추세
1) 한국 남자의 국제결혼
2) 한국 여자의 국제결혼
3. 국제결혼 부부의 지역적 분포
4.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특성
2) 한국인 아내와 외국인 남편의 특성
3) 국제결혼과 외국인 배우자의 다양성
5.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
1) 이혼 건수와 결혼지속기간의 변화추세
2) 이혼한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제3장 국제결혼 부부의 상이성과 결혼안정성
1. 선택적 결혼의 모형
2. 동질혼과 결혼안정성
1) 연령과 교육수준의 격차
2) 결혼의 안정성
3. 국제결혼의 개방성
1) 가설의 도출
2) 연구문제

제4장 결혼지속기간과 이혼 확률의 분석
1. 자료, 분석대상과 분석틀
1) 자료와 분석대상
2) 분석틀과 주요 변수
2.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
3. 부부의 거리와 결혼지속기간
1) 부부의 거리
2)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가별 결혼지속기간
4. 결혼지속기간의 분산분석과 회귀분석
1) 분산분석(ANOVA)
2) 회귀분석
5. 이혼 확률의 이항로짓분석

제5장 다문화사회
1. 심리적 태도, 차별과 생활만족도
1)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2) 혼인이주자에 대한 태도
3) 혼인이주자의 차별경험
4) 혼인이주자의 생활만족도
2. 혼인이주자의 사회참여
1) 취업상태와 경제활동
2) 사회활동
3) 국적취득과 정치참여
3. 혼인이주자의 사회문화적 적응
1) 사회적 자본과 연결망
2) 문화정체성과 적응 유형
3) 출산수준
4) 2세대의 교육과 일탈행위
5) 연구문제

제6장 혼인이주자의 사회적 적응과 그 유형의 분석
1. 자료, 분석대상과 분석틀
1) 자료와 분석대상
2) 분석틀과 주요 변수
2. 혼인이주자의 연결망 및 사회활동
1) 친척과 친구의 연결망
2) 사회활동의 특성과 참여수준
3. 혼인이주자의 연결망 크기 및 위세
1) 연결망의 크기
2) 연결망의 위세
4. 사회활동 및 연결망의 회귀분석
1) 사회활동 참여의 인과구조
2) 연결망의 크기 및 위세의 인과구조
5. 혼인이주자의 적응 유형
1) 네 가지 적응 유형의 범주화
2) 외국인 아내의 적응 유형별 특성

제7장 기타 다문화 실증분석
1.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력
1) 자료와 분석대상
2) 사회적 자본과 출산력
3) 외국인 아내의 지위와 출산력
4) 사회적 자본, 이주 후 적응 유형과 출산력
2. 거주지역 민족구성의 주변효과
1) 자료와 분석대상
2) 출산력에 미치는 주변효과
3) 사회활동과 적응 유형에 미치는 주변효과
4)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주변효과
5) 민족구성의 지표에 따른 주변효과의 편차
3.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자살
1) 자료, 분석대상 및 주요 변수
2) 다문화가족 유형과 청소년의 자살

제8장 요약 및 결론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두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