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65집. 다중융합 환경에 기반하여 진보된 미디어 유형 중 미디어스킨을 활용하여 문화콘텐츠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미디어스킨은 도시환경을 통하여 상업적, 공익적 다양한 콘텐츠를 전달해줄 수 있는 뉴미디어 매체로, 기존의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에 활용한다면 강력한 전달력을 갖출 수 있으며, 새로운 문화콘텐츠개발을 통한 새로운 U-City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도시의 건축파사드 측면에서 랜드마크를 조성할 수 있고, 미디어스킨 활용을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상승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이에 저자는 다중미디어, 미디어아트,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하여 도시환경 기반의 미디어 스킨 문화콘텐츠 디자인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디어스킨에 적용된 미디어콘텐츠의 국내외 사례 분석을 위하여 대상의 특성과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 기준을 세우기 위하여 다중융합 환경 기반 미디어스킨을 콘텐츠, 인터페이스, 인터랙티브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미디어스킨 융합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Contents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중요성
3. 연구방법 및 내용
1) 연구방법
2) 연구내용
4. 선행연구
제2장 이론적 배경
1. 다중융합 환경 고찰
1) 다중융합 환경의 패러다임
2) 융합형 디지털 컨버전스의 개념적 접근
3) 디지털 컨버전스의 특성 및 전망
2. 사용자 경험 인터랙티브 미디어
1) 사용자 경험 디자인 고찰
2) 미디어에서의 사용자 인터랙티브
3. 미디어스킨의 이해
1) 다중융합 환경에서의 미디어스킨
2) 미디어스킨의 기술 동향 및 특성
3) 인터랙티브 미디어로서의 미디어스킨
4) 공공공간에서의 미디어스킨 콘텐츠 역할
4. 문화콘텐츠에 관한 고찰
1)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개념
2) 문화콘텐츠의 상품화
3) 문화콘텐츠 산업의 동향 파악
4) 융합 환경에 따른 문화콘텐츠
제3장 미디어스킨에 적용된 미디어콘텐츠 사례 연구
1. 사례분석 대상 및 방법
1) 사례분석 대상의 특성
2) 사례분석 유형의 분류
3) 사례분석 방법
2. 사례분석
1) 국내 사례 분석
2) 국외 사례 분석
3. 사례분석 결과
1) 다중융합 환경 기반의 미디어스킨 유형 분류 결과 분석
2) 다중융합 환경 기반의 미디어스킨 융합 유형 분석
제4장 다중융합 환경 기반 미디어스킨에 적용된 문화콘텐츠 제안
1. 문화콘텐츠로서의 기능적 미디어스킨
2. 문화콘텐츠로서의 상호작용적 미디어스킨
3. 문화콘텐츠로서의 감성지향적 미디어스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