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이라는 주제는 두 가지 차원으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차원으로 한국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주었던 외국의 사회복지실천과 어떤 다른 측면이 있느냐에 관한 ‘토착화’ 차원이다. 두 번째 차원으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이라는 주제는 타 전문직과의 ‘차별성’을 확인하면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차별화’ 차원이다. 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전을 위하여 저자들은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설문응답을 검토하여 나름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교육과 현장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달리’ 가르쳐야 할 것인지를 정리하여 제안하였다.
Contents
제1장 서론
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2절 연구목적
제2장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1절 두 가지 조망-토착화와 차별화의 연구 모형
2절 토착화 논의
1. 사회복지 분야
2. 인접학문 분야
3절 차별화 논의
1. 외부 전문직과의 차별성
2. 사회복지 분야 간 차별성
제3장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분야별 고유성
1절 연구주제 및 방법론
1. 연구주제
2. 연구방법론
2절 아동?청소년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3절 노인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4절 장애인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5절 가족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6절 의료사회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7절 정신보건사회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8절 지역사회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9절 공공행정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제4장 사회복지실천 고유성에 대한 논의
1절 토착화 논의
1. 교육 지점
2. 실천적용 지점
3. 비수용 지점
2절 차별성 논의
1. 타 전문직과의 차별성
2. 사회복지실천 분야 간의 차별성
제5장 결론: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학에 대한 함의
1절 고유성 논의
1. 토착화 논의
2. 차별성 논의
2절 한국 사회복지실천 고유성의 대안과 전망
1. 교육과 현장의 조화
2.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모색
3.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요건 모색
3절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학에 대한 함의
1. 사회복지교육에 주는 함의
2.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주는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