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중심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한다. 우리 현실을 진단하고 그로부터 드러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실질적 지침을 제시할 수 있는 자생적 철학체계의 정립과 관련하여, 인간중심철학은 자생적 철학체계의 자격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고, 실천철학으로서의 인간중심철학에 대한 해명을 통해, 그간 현실과 유리된 철학(함)을 추구해 온 한국철학계의 철학(함)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Contents
제1장 들어가는 말
제2장 인간중심철학과 주체사상
1절 인간중심철학과 지배 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
1. 두 대립적 철학체계에 관한 비교검토작업의 필요성
2. 두 사상체계의 발생론적 합치와 이론 및 실천상의 지향론적 대립
2절 북한식 사회주의의 건설논리로서 주체사상과 수령절대주의의 정당화 논리로서 주체사상
1. 주체사상의 형성 및 전개과정
2. 주체사상의 철학적 정초와 지배 이데올로기로의 변용왜곡
3절 인간중심철학과 주체사상의 차이점 및 대립점
1. 철학적 근본원리에 관한 상이한 해석
2. 계급주의의 수용 대 계급주의의 거부
3. 사회적 생명체에 관한 대립적 해석: 사회적 생명체론 대사회유기체설
4. 집단주의에 관한 인식론적 차이: 집단주의의 강화 대집단주의의 발전적 지양
5. 3대 개조사업의 균형적 전개 대 사상의식에의 과도한 편향성: 사회발전방안의 차이
6. 사회적 존재에 관한 상호 상이한 해석
7. 사회발전 및 변혁의 주체에 관한 상이한 시각: 인민대중 대 수령 개인
8. 변증법에 관한 상이한 해석
9. 진화의 산물 대 비약의 산물: 인간의 사회적 속성에 관한 대립적 해석
제3장 인간중심철학의 등장 및 정립 배경
1절 인간중심철학 정립의 시대적 배경 및 조건
2절 인간중심철학의 정립 동기 및 문제의식
3절 인간중심철학의 논쟁적 대결 상대: 마르크스주의/개인주의(적 자유주의)/주체사상
제4장 인간중심철학의 얼개와 내용
1절 새로운 철학관: 인간 운명개척의 길잡이로서 철학
2절 인간중심의 세계관: 물질에서 인간으로의 범주적 전환
1. 철학의 근본문제의 재정립과 인간중심의 철학적 원리
2. 인간중심의 물질론: 물질의 자기보존성 및 자기발전성
3. 생명론: 인간의 본질적 특성으로서 생명
4. 사회적 의식의 주동성에 기초한 인식론
3절 인간중심의 사회역사관
1. 반계급주의적 인본주의 철학
2. 역사발전의 실천적 주체로서 인간의 복권: 사회구조로부터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으로
3. 자연/인간/사회관계의 삼원론: 마르크스주의 노동(생산) 일원론 비판
4. 자본주의의 역사적 소임에 대한 긍정적 · 생산적 해석
5. 새로운 미래사회로서 인간중심의 민주주의 사회: 끝없는 발전의 도정으로서 인간중심의 사회
4절 인생관: 개인적 존재로서 인간의 재등장
1. 인간중심의 철학원리에 기초한 새로운 인생관
2. 인생관의 두 대립적 유형
3. 반편적 인생관으로부터 통합적 인생관으로의 전환: 개인주의적 인생관과 집단주의적 인생관의 통합
4. 통합적 인생관의 철학적 의의와 한계
5절 인간중심철학의 윤리설
1. 도덕의 기초
2. 도덕의 기본 문제
3. 양심에 대한 목적론적 해석
4. 도덕의 보편적 척도: 인간의 지위와 역할의 고양에 대한 기여
5. 목적론적 윤리체계 내의 상호 이질적인 두 도덕원리: 정의의 원리와 사랑의 원리
6. 도덕철학적 의의와 한계
6절 인간론: 개인적 존재이자 집단적 존재로서 인간
1. 인간 개념의 다의성
2. 개인적 존재로서 인간과 집단적 존재로서 인간의 의미
3. 인간의 본질적 속성
4. 인간중심철학의 인간론의 의의와 한계
7절 민주주의 정치론: 민주주의의 새로운 대안적 이념 모델로서 종합적포괄적 민주주의
1. 개인중심의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비판 및 민주주의 개념의 재정립
2. 개인주의적 집단주의에 기초한 민주주의론
3. 종합적포괄적 민주주의의 현재적 의미와 의의
4. 민주주의 정치론의 한계와 남은 과제
8절 인간중심의 변증법: 실천적 주체가 중심이 된 변증법
1. 헤겔/마르크스(주의) 변증법과 인간중심 변증법 간의 근본적 차이점
2. 인간중심 변증법의 구체적 내용: 3대 법칙을 중심으로
3. 새롭게 추가된 변증법의 법칙
4. 철학적 의의와 남은 문제
제5장 실천철학의 전통 내에서 인간중심철학의 위상
1절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아류적 변형인가, 비판적 재구성인가
1. 새로운 비판적 사회철학으로서 인간중심철학의 정립 동인: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근본적 한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
2.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한계 극복 방식으로서 비판적 재구성
3. 잠정적 결론: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비판적 재구성으로서 인간중심철학
2절 인간중심철학과 서구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한계 극복을 위한 철학적 시도
1. 인간중심철학과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비교검토 작업의 필요성
2. 서구 마르크스주의 입론의 다양한 유형들
3. 인간중심철학과 서구 마르크스주의 간 공통성과 차이성
4. 마르크스주의의 극복시도로서 인간중심철학의 현재적 위상
3절 주체사상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척도로서 인간중심철학
1. 주체사상과 인간중심철학 간 내용적 구분에 관한 인식론적 난점
2. 주체사상의 주요 논지에 관한 내재적 비판의 근거 및 전거
3. 주체사상에 관한 내재적 비판의 듃도로서 인간중심철학의 역할과 의미
제6장 인간중심철학에 대한 잠정적 평가: 한국적 현실과 관련하여
1절 인간중심철학의 이론적실천적 성과와 의의
1. 자생적 철학체계의 정립과 관련하여
2. 새로운 철학관()의 수립과 관련하여
3. 남북통합과정에서 이념적 갈등 및 반목의 극복을 위한 실천방안의 강구와 관련하여
4. 진보/보수의 새로운 이념 판단기준의 제시와 관련하여
5. 개인주의적 자유주의 및 계급주의적 사회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대안적 민주주의 이념의 정립과 관련하여
6. 일상적 용어에 입각한 철학적 서술방식의 제시와 관련하여
2절 인간중심철학의 이론적실천적 한계와 난점
1. 보완 내지 설득력 있는 해명이 필요한 사항과 관련하여
2. 현실주의적 인식 태도나 현실 관련적 주장에 의해 초래되는 난점과 관련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