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문법론 연구가 중앙어나 문헌 자료 중심으로 이루어진 데 대한 반성으로 지역 토박이들의 일상 담화나 구전 설화 등의 구어를 채록하여, 충남 방언의 문법 현상을 연구한 책이다. 이 책은 우리말 연구가 지역의 구어 자료를 통하여 문법의 변별성을 찾아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충남 방언의 격조사와 보조사의 다양한 변이 형태와 통사론적 성격을 밝히고, 쓰임의 영역을 기술하였다. 나아가 충남 방언의 어말 어미와 시간 표현 어미, 그리고 융합 어미 -데와 -댜의 형태 통사론적 기능과 의미의 특징을 고찰하고, 보조 용언 -번지다와 -쌓다, 그리고 -보다의 융합형 -벼와 -깨미 등의 형태, 통사, 의미 등의 현상을 논의하여, 충남 방언의 문법 양상과 그 특성을 기술하였다. 또한 이 책은 충남 방언의 문법 체계를 구명하고, 그 독자성을 수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기도 하다.
Contents
제1장 서론
1.1 연구 목적과 방법
1.2 연구 범위
1.3 충남 방언 구획
1.4 충남 방언 연구 개관
1.5 현장 조사와 구술 자료
1.5.1 현장 조사와 제보자
1.5.2 구술 발화의 문헌 자료
제2장 충남 방언의 조사
2.0 들어가는 말
2.01 연구 방법 및 범위
2.02 연구 동향
2.1 조사의 형태 음운
2.1.1 상승 모음화
2.1.2 하강 모음화
2.1.3 음운 첨가
2.1.4 자음 교체
2.2 격조사
2.2.1 주격 조사
2.2.2 목적격 조사
2.2.3 관형격 조사
2.2.4 부사격 조사
2.2.5 접속 조사
2.2.6 호격 조사
2.3 보조사
2.3.1 보조사 목록
2.3.2 -부터
2.3.3 -까지
2.3.4 -도/-두
2.3.5 -할래, -할채
2.3.6 -한지
2.3.7 -조차, -마저와 -할래, -한지
2.3.8 -말루
2.3.9 -마따나: -앙쿠
2.3.10 -사리와 -커냥; -카장
2.3.11 -일랑
2.3.12 -은/는
2.3.13 -마다와 -도리
2.3.14 -만치와 -마냥, -만도와 -만이나
2.3.15 -보다
2.3.16 -들
2.3.17 -야, -사
2.3.18 -배끼(밖에)
2.3.19 -그려/-그랴, -그료/-류
2.3.20 -요/-유
2.3.21 -란대두
2.3.22 -바틀루
2.3.23 그 밖
2.4 마무리
제4장 충남 방언의 보조 용언
4.0 들어가는 말
4.01 연구 목적
4.02 연구 동향
4.1 -번지다
4.1.1 -번지다와 -버리다의 성격
4.1.2 -번지다의 통사 구성
4.1.3 -번지다와 -버리다의 통사와 의미
4.1.4 -번지다와 -버리다의 차이
4.2 -쌓다
4.2.1 -쌓다와 -대다의 성격
4.2.2 -쌓다의 통사와 의미
4.2.3 -쌓다와 -대다의 차이
4.3 -보다의 융합형 -벼와 -깨미
4.3.1 -보다의 통사와 의미
4.3.2 -벼의 통사와 의미
4.3.3 -깨미의 통사와 의미
4.4 그 밖
4.4.1 -쓰다
4.4.2 -놓다
4.4.3 -싶다: -접다, -접프다
4.4.4 -상부르다와 -상싶다
4.4.5 -지다
4.5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