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성결혼이민자의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결혼이민자 가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이해와 접근을 위한 기본서로서, 총 3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서는 결혼이민자가족의 현황과 역사, 이주 관련 이론 고찰과 함께 한국을 포함한 각국의 이민자가족 정책을 살펴보았다. 제2부는 결혼이민자가족에 대한 접근으로 결혼이민자가족의 형성과정을 알아보고, 결혼이민자가족의 다양한 문제들과 사회복지서비스의 욕구 및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의 서비스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을 위한 법과 제도 제정과 관련된 이슈들이 제공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결혼이민자가족의 정책과제와 복지ㆍ인권적 전망과 법적ㆍ제도적 전망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사회에서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의 조기정착과 사회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정책과 함께 교육ㆍ노동ㆍ문화ㆍ법 체계구축 등 다양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다문화사회실현을 위한 중장기 지원정책 방향을 정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Contents
제1부 결혼이민자가족의 이해
제1장 결혼이민자가족의 이해
1. 다문화가족의 도래
1) 한국의 결혼이민 현황
2. 다문화가족을 바라보는 시각
3. 이민자가족의 역사
1) 아시아 이주 역사
2) 국제결혼의 역사와 현황
4. 이주 관련 이론 고찰
1) 이주에 관한 이론적 접근
2) 인종ㆍ민족집단 관계이론
제2장 각국의 이민자가족 정책
1. 우리나라 이민자가족 정책의 역사와 프로그램
1) 국제결혼 과정
2) 국제결혼 관련 사회복지
2. 외국의 이민자가족 정책의 역사와 프로그램
1) 이민자 수용 정책의 유형별 분류
2) 일본의 결혼이민자 복지정책
3) 대만의 국제결혼 이민자 복지정책
4) 독일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
제2부 결혼이민자가족의 접근
제3장 결혼이민자가족의 형성과정
1. 결혼유입 배경
1) 이주의 여성화 현상
2) 여성결혼이민자 출신국의 상황
3) 한국의 상황
2. 배우자 선택과정 및 결혼경로
3. 국내정착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제4장 결혼이민자 가족생활
1. 여성결혼이민자의 적응 문제
2. 결혼이민자가족의 문제
1) 부부관계 문제
2) 자녀 양육 어려움
3) 경제문제와 개입
4) 시부모 및 친인척 문제
3. 사회제도권 내의 문제
1) 사회보장체계에서의 배제
2) 의료보장체계에서의 소외
3) 국적취득의 문제
4. 사회복지 서비스의 수요와 욕구
1) 사회적 서비스와 제도의 인지
2)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 경험 유무와 지원 기관
3) 가장 도움이 되는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
4) 가장 필요한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
5)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 필요 정도
6) 희망하는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
7)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를 받기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
5. 문화적 욕구
1) 국제결혼 이민여성의 문화 적응
2) 문화 학습의 영향 요인
3) 문화 학습의 상황과 전망
4)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 참여 현황
5) 문화 적응을 위한 제안
제5장 결혼이민자와 가족을 위한 서비스 현황
1. 정부 부처
1) 여성가족부
2) 문화관광부
3) 교육인적자원부
4)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2.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 서비스 시행기관 현황
2) 주요 서비스
3. 법과 제도
1) 체류 및 국적 관련법
2) 사회복지 관련법
3) 다문화가족지원법(안)과 이주민가족의보호및지원등에 관한법률(안)
4) 재한외국인처우 기본법
5) 정부의 지원정책
4. 국제이해교육
1) 한국: 대구광역시의 국제이해교육
2) 일본의 국제이해교육
5. 결혼이민자가족에 대한 지원현황 평가
제3부 결혼이민자가족의 과제와 전망
제6장 결혼이민자가족의 과제
1. 실천적 과제
1) 실효성 있는 다문화가족지원법 제정
2) 민관기관 간 사회통합모델 구축
3) 한국어 및 일상생활 적응교육 방향 정립
4) 종합적인 지원시스템 구축의 필요
5)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활동 및 취업능력 강화
6) 결혼이민자가족 및 자녀 실태조사
7)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2. 정책적 과제
1) 복지ㆍ인권적 측면
2) 법적ㆍ제도적 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