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국가들한국, 일본, 홍콩, 싱가포르에서는 공공부조를 둘러싸고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또한 최근의 세계화탈산업화고령화라는 정책환경의 변화에 직면하여 어떻게 발전해 갈지를 다루었다. 동아시아 각 국가들에서 공공부조는 소득 및 자산조사를 거쳐 수급자를 선정한다는 공공부조의 기본원칙을 공통적으로 따르지만, 사회보장제도에서 차지하는 공공부조의 역할, 수급률, 급여 종류 및 수준, 재원 및 지출규모, 전달체계 등에서 서로 다른 제도적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가들의 공공부조는 몇 가지 공통적 성격을 지닌다. 수급자격 조건에서 부양의무자기준을 두고 최저생활에 대한 가족의 책임을 강조하고, 국민생활최저선을 유지하기 위하여 급여수준을 결정하지만 급여수준이 비교적 낮고 정부의 소득이전자 역할이 미약하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또한 최근 공공부조의 개혁을 통해 근로능력자가 수급자가 되기 위해서는 근로활동에 종사할 것을 조건으로 부과하며, 근로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유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Contents
제1장 문제제기
제2장 공공부조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빈곤과 국민생활최저선
1) 빈곤과 사회적 배제
2) 국민생활최저선
3) 사회복지를 위한 국가역할
2. 공공부조제도
1) 공공부조의 개념
2) 공공부조의 기능
3) 공공부조의 유형
3. 공공부조의 변화
1) 공공부조 개혁의 원인
2) 근로연계복지의 두 모델
4. 공공부조 비교분석틀의 구성
1) 선행연구의 검토
2) 비교 분석요소의 구성
제3장 한국의 공공부조
1. 공공부조 개요
2. 수급대상자
1) 자격요건
2) 보호율
3. 급여
1) 급여의 종류
2) 급여의 수준
4. 전달체계
1) 정부의 역할분담
2) 조직 및 인력
5. 재정
1) 재정규모
2) 재원조달
제4장 일본의 공공부조
1. 공공부조 개요
2. 생활보호의 수급대상자
3. 생활보호의 급여
4. 생활보호의 전달체계
5. 생활보호의 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