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학은 어디쯤이며 어디로 흘러갈 것인가?
과거를 통해 현재의 위기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사회의 격변 앞에 초라했던 사회학
1990년대, 세계는 격랑에 휩쓸렸다.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오랜 대립에서 사회주의는 1970년대부터 한계를 드러냈다.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는 사회주의 해체의 상징이었다. 결국 사회주의를 지탱하던 사회과학 패러다임은 1990년대 초 연방의 붕괴와 함께 해체되었다. 그 무렵 김일성 주석의 사망과 이어진 외환위기는 한국 사회를 격랑 속으로 몰아넣었다. 더불어 탈냉전, 탈근대, 지구화, 정보화 등의 격변 속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 늦어지며 사회학은 긴 위기를 맞았다. 그래서 한국 사회학의 지난 성과를 정리하고 새로운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 고려대 사회학과와 한국사회연구소 주관으로 학술대회를 열었으며 그 성과를 정리해 단행본으로 엮었다.
이 책은 김문조 교수의 기조발표문을 시작으로 그 외 총 16편의 논문을 4부 16장으로 구성했다. 각 부는 사회학의 연구 분야에 따라 구분했다. 제1부는 정치사회·경제사회·불평등을, 제2부는 역사·발전·통일을, 제3부는 가족·여성·범죄를, 제4부는 환경·의료·과학기술을 주제로 구성했다. 각 장에서 분야별로 이뤄낸 성과와 현재의 상황 그리고 전망을 담았다.
Contents
* 머리말:사회학 50년과 한국 사회학의 미래|조대엽 5
* 기조발표문:복합전환 시대의 한국 사회학|김문조 25
1부 정치사회,경제사회,불평등
1장 2000년대 계급연구의 현황과 과제|신광영 43
2장 정치사회,사회운동 연구의 동향과 전망|조대엽 83
정치사회학 연구의 위기진단과 ‘신규범주의’ 정치사회학의 전망
3장 경제사회,조직 연구의 동향과 전망|한 준 135
4장 산업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이병훈 153
2부 역사,발전,통일
5장 한국 사회사학 30년의 성과와 과제|정근식 177
6장 거시이론에서 사건사로, 그리고 다시 거시이론으로?|김동노 208
역사사회학의 연구경향과 새로운 길의 탐색
7장 지역 연구의 동향과 전망|김영정 238
8장 성찰적 통일론의 모색|조한범 277
3부 가족,여성,범죄
9장 가족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함인희 303
10장 한국 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이재경 358
통합과 분리의 이중전략
11장 국제이주,다문화 연구의 동향과 전망|이혜경 402
12장 일탈 및 범죄 연구의 동향과 전망|이성식 432
4부 환경,의료,과학기술
13장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박재묵 463
14장 정보사회학|윤영민 493
실현되지 않은 약속
15장 보건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조병희 527
16장 과학기술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김환석 548
* 저자소개 578
Author
조대엽,신광영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마칠 때까지 낙동강을 보며 자랐다.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 박사를 마쳤다. 정치사회학 분야 가운데 사회운동, 시민사회, 공공성과 민주주의,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등에 연구관심을 기울였다. 분단국가의 사회과학자라는 원초적 책무를 핑계로 남북관계와 통일 분야 또한 연구관심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간의 공공성과 민주주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최근에는 노동학연구와 사회적 대화, 좀 넓게는 협력문명에 대한 관심이 많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20년 가깝게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연구하고 있다. 바깥일로는 주로 학회활동과 시민단체 돕는 일을 했다.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사회학회, 한국 NGO학회, 한국 비교사회학회 등의 일을 비교적 열심히 했고, 현재는 노동대학원장 겸 노동문제연구소장을 맡아 노사정 현장과 고려대학교 아카데미즘을 하나로 묶는 데 애쓰고 있다. 돌이켜 보니 약 70편의 학술논문과 22권의 저서, 그리고 세상 돌아가는 데 훈수 두는 약 120편의 칼럼이 남았다.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마칠 때까지 낙동강을 보며 자랐다.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 박사를 마쳤다. 정치사회학 분야 가운데 사회운동, 시민사회, 공공성과 민주주의,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등에 연구관심을 기울였다. 분단국가의 사회과학자라는 원초적 책무를 핑계로 남북관계와 통일 분야 또한 연구관심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간의 공공성과 민주주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최근에는 노동학연구와 사회적 대화, 좀 넓게는 협력문명에 대한 관심이 많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20년 가깝게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연구하고 있다. 바깥일로는 주로 학회활동과 시민단체 돕는 일을 했다.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사회학회, 한국 NGO학회, 한국 비교사회학회 등의 일을 비교적 열심히 했고, 현재는 노동대학원장 겸 노동문제연구소장을 맡아 노사정 현장과 고려대학교 아카데미즘을 하나로 묶는 데 애쓰고 있다. 돌이켜 보니 약 70편의 학술논문과 22권의 저서, 그리고 세상 돌아가는 데 훈수 두는 약 120편의 칼럼이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