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문화연구자로서 대중문화사, 문화트렌드 연구, 영상 이론 등을 꾸준히 연구해온 저자가 지난 10여 년간 한국 근.현대 문화의 형성과정을 연구한 결과를 모아 엮은 책이다. 1920년대 ‘모던 걸’, ‘모던 보이’들의 세대 문화에서 시작하여, 1950년대를 풍미한 댄스열풍, 1970년대 ‘통.생.블’(통기타, 생맥주, 청바지)로 대변되던 청년세대 문화, 1990년대 신세대 문화와 2000년대 초반 ‘나꼼수’ 열풍 등, 한 시대에 큰 획을 그은 문화 현상을 당대의 사회적 맥락과 계급, 세대, 젠더, 테크놀로지 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면밀히 파헤쳤다. 그 과정에서 각각의 시대를 살았던 이들을 스스로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주체로 주목했음이 돋보인다.
1. 댄스열풍 논쟁
2. 전후 심성체계의 변화와 1950년대 대중문화 논의
3. 연구방법
4. 1950년대 중반 댄스열풍과 댄스홀 풍경
5. 전후파 여성(혹은 아프레 걸)에서 ‘어머니’로
6. 댄스, 근대성과 전통성 접합의 장
7. 개인의 욕망과 도덕담론
제4장 1960년대 전후 라디오 문화의 형성과정
1. 라디오 문화 형성의 역사적 계기
2. 1960년 전후 라디오의 제도화과정
3. 다양한 문화형식의 (재)매개로부터 라디오 문화의 위치 찾기
4. 라디오와 경험의 매개: 국가공동체와 사사화
5. 국가권력으로부터의 종속과 사적 영역의 확장
제5장 1970년대 청년문화세대 담론의 정치학
1. 청년문화의 부상
2. 세대 논의와 한국사회의 세대문화
3. 연구방법
4. 1970년대 청년문화세대 담론의 유형
5. 청년문화세대 담론의 질서와 정치학
6. 청년문화의 새로운 모색 206
제6장 1975년 전후 한국 당대문화의 지형과 형성과정
1. 1975년 전후의 문화적 중요성
2. 1975년 전후 정치ㆍ문화사적 맥락
3. 대중문화의 지형변화
4. 전통의 재창조: 통합과 저항
5. 1975년 전후 당대문화의 접합과 통합
6. 대중문화의 퇴행
제7장 1980년대 민중문화의 형성과정__대학 연행예술운동의 창의적 변용과정을 중심으로
1. 전통의 창의적 변용
2. 1980년대 ‘민중’과 연행예술의 위치
3. 연행예술로서 마당극의 소통방식
4. ‘제의’, ‘놀이’, 그리고 ‘집회’의 통합의례
5. 상징장소와 현장으로서의 ‘판’
6. 전통의 전유와 재전유
7. 연행예술운동의 편입과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