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북경대 최고 엘리트들이 펼치는 한국과 중국의 역동적인 변화상!!
그리고 새로운 동아시아축 시대 미래의 비전!!
21세기 다시 중국이 도약하고 있다. 이미 양적인 면에서는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이며, 정치적으로도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강한 파워를 지니게 되었다. 그렇다면 중국을 다시 일으킨 힘은 무엇인가? 거대한 중국사회를 움직이는 제도와 질서는 어떤 것인가? 빠른 사회변동이 중국사회에 일으킨 부작용은 없는가? 우리는 1992년 한중수교 이래 중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좀더 진지하게 성찰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의 눈, 혹은 미국의 눈에 비친 중국뿐만 아니라 중국 ‘안’에서 바라본 중국의 모습도 함께 고찰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한국과 중국의 사회변동 비교연구』는 큰 의미를 갖는다. 북경대 사회학과 교수들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들이 4년에 걸쳐 진행한 학술적 교류와 협력의 산물인 이 책은 한 명의 연구자가 중국과 한국의 경험을 직접 비교분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주제별로 두 나라의 교수들이 자국의 사회변동 경험을 분석하는 간접 비교의 방식을 택했다. 이 책은 인구와 가족, 복지, 사회계층과 도시화, 종교와 경제, 발전, 사회변동과 사회운동, 새로운 도전 등의 이슈를 살펴보며 동아시아 사회의 역동적 변화과정을 설명했다. 한국과 중국의 사회학계 최고 석학들의 깊이 있는 성찰을 담은 이 책은 한중 사회상의 전반적인 이해를 넘어, 새로운 동아시아축 시대의 미래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Contents
1부 인구와 가족, 복지
01 한국의 인구와 가족 / 박경숙
1. 머리말
2. 한국의 인구변천
3. 가족구조와 가족관계의 변화
02 중국 대도시 노인의 거주방식에 대한 태도와 결정요인: 북경,천진,상해,중경을 중심으로/루지에화ㆍ바이밍원ㆍ류위즈
1. 들어가며
2. 연구설계와 방법
3. 대도시 노인의 거주방식 태도를 결정하는 요인 분석
4. 노인의 거주방식 태도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5. 결과 및 토론
03 한국 가족의 변화 추이와 가족복지정책의 과제 / 조흥식
1. 머리말
2. 한국 가족의 변화 추이
3.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실태와 과제
4. 맺음말
04 경제의 불안정과 세계화 속의 중국 복지체제: 정책과 실천 / 슝웨건
1. 들어가며
2. 중국의 복지체제가 직면한 도전
3.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사회정책 실천
4. 동아시아 복지체제와 중국의 사회정책 비교: 결과와 토론
2부 사회계층과 도시화
05 한국의 사회계층과 사회이동 / 홍두승
1. 들어가며
2. 우리 사회의 계층이동 가능성
3. 교육과 사회이동
4. 사회계층과 사교육
5. 지위획득에 미치는 비경제적 요인들
6. 사회적 폐쇄와 배제
7. 취약계층 자녀들과 복지정책
8. 맺음말
06 중국 사회계층구조의 거시적 변동 / 치우쩌치
1. 논의의 기원
2. 개혁개방 이후의 새로운 제도적 출발
3. 계급등급의 취소와 사회이동기회의 균등화
4. 농가생산책임제, 농민에게 유동의 기회를 주다
5. 시장개방이 모든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다
6. 세밀한 인도에 따른 관본위등급체제의 종결
7. 특수한 기회를 통해 “일부 사람들이 먼저 부자가 되다”
8. ‘제도인도’를 통한 계층분화구조의 변화
9. 결론: 관본위등급제도의 시장 내 지속
07 한국의 도시화와 도시빈민 문제 / 정근식
1. 문제의 제기
2. 도시화와 수도권 인구집중
3. 서울의 도시재개발과 도시빈민
4. 최하층 도시빈민 정책의 변화
5. 맺음말
08 도시화 과정에서의 농민공 ‘시민화’를 둘러싼 논쟁 / 류아이위
1. 문제제기
2. 왜 농민공은 아직 시민이 아닌가?
3. 제도 ? 구조와 농민공의 시민화 문제에 대한 역사적 맥락
4. ‘능력부여’와 ‘능력증대’: 농민공 시민화의 희망
3부 종교와경제,발전모델
09 현대 한국의 사회와 종교 / 박명규
1. 서론
2. 한국의 종교: 현황과 특징
3. 종교사회학적 현상으로서의 한국형 근대화
10 현대 중국종교의 발전 / 루윈펑
1. 들어가며: 중국에 종교가 있는가?
2. 이론적 틀: 종교시장 이론
3. 개혁개방 이전의 중국종교: 1949∼1979년
4. 중국 종교정책의 변화와 종교구조 개관
5. 중국종교 현황
6. 결론
12 퇴공진사: 상회에 대한 정부개입의 사례분석 / 류스딩
1. 들어가며
2. 향진정부가 개입하는 상회조직의 특징
3. 정부는 왜 상회가 필요한가?
4. 기업주는 상회를 통해 무엇을 하는가?
5. 정부는 왜 상회에 개입하려고 하는가?
6. 기업주는 왜 정부의 개입을 허락하였는가?
7. 토론: 사유재산의 사회적 활용과 통제
13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인맥, 신뢰, 투명성 / 이재열
1. 신뢰와 한국사회
2. 인맥과 조직참여의 양상
3. 가치관과 신뢰
4. 역사적 맥락
5. 발전의 핵심으로서의 투명성
14 중국의 사회발전에 대한 정부와 공동체의 개입에 관한 연구들: 중국의 독자적 발전모델에 대한 성찰/ 저우샤오양ㆍ탄잉
1. 서론
2. 빈곤: 중국의 기술-근대화와 반근대화 모델 간의 허구적 ‘대화’
3. 생태보호와 환경문제
4. 결론
4부 사회변동과 사회운동, 새로운 도전들
15 한국 사회운동의 전개: 사회운동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 임현진
1. 서론
2. 한국 사회운동의 발전동학
3. 한국의 민주화와 사회운동: 1970~1980년대
4. 한국 사회운동의 민주화: 1990년대
5. 한국 사회운동의 전지구화: 2000년대
6. 한국 사회운동에 대한 도전과 과제
7. 결론
16 현대 중국의 사회변동과 집합행동의 물결 / 류넝
1. 사회변동이론과 현대 중국사회의 구조적 위험에 대한 평가
2. 중국의 집합행동: 경험적 사례와 분류
3. 집합행동 참가자의 성격변화에 대한 설명틀: 희소자원과 수요에 대한 보호
4. 시간틀의 확장: 3가지 추세와 미래의 방향에 대한 사고
17 한국사회 변동의 3가지 동력: 새로운 세대, 정보혁명, 탈인습적 가치 / 한상진
1. 사회변동을 보는 눈
2. 경쟁하는 공간으로서 시민사회
3. 사회학적 동인
4. 과학기술적 동인
5. 문화적 동인
18 베이징 컨센서스: 중국경험의 역사적 총결산인가, 중국발전의 미래전략인가 / 씨에리종
1. 라모의 ‘베이징 컨센서스’
2. 중국발전 경험의 총결산으로서의 ‘베이징 컨센서스’
3. 중국발전 경험과 ‘워싱턴 컨센서스’는 서로 모순적인가?
4.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5. 중국의 새로운 발전전략의 서술,《베이징 컨센서스》
19 복합위험사회: 압축적 근대성과 한국의 위험질서 / 장경섭
1. 서론
2. 불균형 위험사회로서의 한국: 선진국ㆍ후진국 증후군 공존
3. 한국형 위험사회: ‘폭증사회’와 안전
4. 한국형 위험사회: ‘날림사회’와 안전
5. 이차 근대적 위험사회: 세계위험사회 증후군의 내재화
6. 중국에 대한 함의
7. 결론: 개발주의 정치경제와 시민권으로서의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