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당선자의 성공과 실패

$17.28
SKU
978893008652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12/10
ISBN 9788930086523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1987년 민주화 이후, 노태우 전 대통령부터 17대 이명박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대통령직 인수제도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인수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거운동 중심의 보좌조직을 취임 전 준비기간 동안 빠르게 국정운영 조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통령의 임기가 5년으로, 정권 교체 시기가 되면 국정운영에 약간의 공백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 공백을 가능한 한 빠르게, 효과적으로 메꾸는 것이 대통령 당선인과 보좌조직의 핵심이다. 또한 이것을 계기로 새 정부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향후 행보가 결정되기도 한다.

저자는 대통령학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로서, 새로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한 후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민통합에 기여하기를 기원하고 있다. 지금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지역·세대·이념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대통령 선거과정조차도 그 민주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당선된 대통령 개인의 자질에 너무 큰 기대를 하지 않는 편이 현명할 것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를 통해 앞으로의 국정운영을 준비하고 현 정부의 주요 정책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이명박 대통령의 제 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해결책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ontents
서문

서론 : 준비된 당선인의 중요성
1.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연구의 필요성
2. 이 책의 목적과 의의
3. 연구의 방법
4. 책의 구성

대통령직 인수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대통령직 인수의 중요성과 의의
2.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인수 대상
3.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업무 및 권한
4.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선행연구 및 미국의 사례
5. 한국의 대통령직 인수 연구에 고려해야 할 요인들

제17대 이전 우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경험
1. 제13대 대통령 취임 준비위원회의 현황
2. 제14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3. 제15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4. 제16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및 문제점
1.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현황
2.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문제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발전방향
1. 성공적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출범의 사전조건들
2. 성공적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구성의 조건들
3. 성공적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운영의 조건들
4. 대통령직 인수활동에 관한 업무일정표

결론
1. 대통령직 인수의 성공 조건
2. 정부구성의 방향과 과제
3. 준비된 대통령당선인의 국정운영 준비

부록
1. 대통령 당선인을 위한 대통령직 인수 매뉴얼
2.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을 위한 대통령직 인수 매뉴얼
3.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
4.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약력
Author
함성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