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커뮤니케이션을 말하다

미디어지식인의 기록 2017
$32.20
SKU
978893004104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2/0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0041041
Categories 사회 정치 > 언론학/미디어론
Description
미디어 지식인 김승수가 탐색한, 정보 정의 사회
포스트커뮤니케이션 체제와 미디어산업 개혁방안

《포스트커뮤니케이션을 말하다》는 미디어 지식인이자 비판적 정치경제학자인 고(故) 김승수 교수(전북대 신문방송학과)의 유작으로 그가 평생 연구한 언론경제학의 결정판이다. 미디어의 비약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민주주의는 약화되며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아직도 실현되지 않는 상황이다. 저자는 그 원인이 이익에만 몰두하는 미디어 자본주의 사회라고 지목한다. 또한 고전적 커뮤니케이션 이후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체제인 포스트커뮤니케이션 체제를 들여다보며 이윤과 성장만을 추구하는 체제의 등장을 날카롭게 비판한다. 그리고 이러한 포스트커뮤니케이션의 대안으로 미디어산업의 개혁과 시민사회의 참여를 제시하며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공동체라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소외와 불평등의 문제를 조명하는 그의 비판은 미디어산업을 무비판적으로 소비하는 대중들이 미디어와 정보의 주체이자 주인으로 거듭날 전환점을 제공한다. 또한 권력의 횡포와 불평등을 합리화하는 미디어 종사자와 미디어 지식인에게는 변화와 반성을 촉구할 것이다.
Contents
편집자 서문: 저자 서문을 대신하여 5
추모의 글: 김승수를 추모하며 13

1장: 커뮤니케이션 역사의 분화

1.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24
2. 역사 미디어 31
3. 시장 미디어 34
4. 계급 미디어 45
5. 문화제국 미디어 56
6. 디지털 미디어 60

2장: 전(前) 자본주의와 커뮤니케이션

1. 고대 정보양식 74
2. 조선시대 80
3. 근대 정보양식과 파탄 100
4. 일제 강점기 정보 수탈 115
5. 미군정시대의 정보양식: 친미 언론지형 158

3장: 자본주의와 커뮤니케이션

1. 상품으로서 미디어 175
2. 광고·PR로서 미디어 177
3. 의식의 통제자로서 미디어 182
4. 국가권력과 이데올로기로서의 미디어 185
5. 소통민주주의로서 미디어 190
6. 생활자본으로서 미디어 198
7. 정의로서 미디어 203
8. 문화로서 미디어 206
9. 풍문으로서 미디어, 미디어로서 풍문 208

4장: 포스트커뮤니케이션의 전개

1. 커뮤니케이션의 변동 214
2. 커뮤니케이션 체제 232
3. 포스트커뮤니케이션의 속성 235
4. 포스트커뮤니케이션의 어두움 245

5장: 4차 산업혁명과 무인자본주의

1. 대세의 변화 253
2. 새 상품, 새 노동의 변증법 262
3. 지구적 독점자본의 정치경제학 271
4. 제 4차 산업혁명과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방향성 284
5. 제 4차 산업혁명의 운명 294

6장: 미디어 사람들의 변화

1. 미디어와 미디어 종사자 305
2. 미디어노동의 통제 311
3. 미디어엘리트 315
4. 미디어 공공지식인 332

7장: 문화제국주의와 기술적 지배

1. 문화제국주의 비판 348
2. 한류의 역습과 변종 문화제국주의 359

8장: 수용자의 기술소통혁명

1. 수용자 대중의 일반적 상황 378
2. 수용자 대중의 역동성 387

9장 새로운 사회,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이슈들

1. 주자학적 커뮤니케이션 사회에서 민주적 커뮤니케이션 사회로 397
2. 미디어산업의 개혁 399
3. 미디어와 시민사회 409

찾아보기 423
김승수 연보 436
Author
김승수
영국 University of Leicester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5년부터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평생 언론경제학에 근거해 미디어산업의 소유구조와 독과점 시장의 흐름을 연구한 그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이윤지상주의에 빠진 채 문어발식으로 확장하는 소유집중 현상을 지적하면서 특히 신문매체의 사유화와 독점화로 인한 국민적 폐해를 우려했다. 2010~2011년 미디어공공성포럼 운영위원장 및 공동대표를 맡는 등 언론개혁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2012년 한국인터넷기자협회가 주는 ‘참언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저널리즘의 몰락과 정보 공유 혁명』(2014), 『미디어시장과 공공성』(2010), 『정보자본주의와 대중문화산업』(2007), 『언론산업의 정치경제학』(2004), 『디지털방송의 정치경제학』(2003), 『매체소유연구』(2002), 『국민을 위한 언론개혁』(2002), 『디지털 제국주의』(2000), 『매체경제분석』(1997), 『한국언론산업론』(1995) 등이 있으며 역서에는 『BBC왕실칙허장에 대한 검토』(2005), 『다큐멘터리와 사회』(1993), 『세계 각국의 선거방송 실태』(1992), 『BBC 가이드라인(상·하)』(1991) 등이 있다.
영국 University of Leicester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5년부터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평생 언론경제학에 근거해 미디어산업의 소유구조와 독과점 시장의 흐름을 연구한 그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이윤지상주의에 빠진 채 문어발식으로 확장하는 소유집중 현상을 지적하면서 특히 신문매체의 사유화와 독점화로 인한 국민적 폐해를 우려했다. 2010~2011년 미디어공공성포럼 운영위원장 및 공동대표를 맡는 등 언론개혁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2012년 한국인터넷기자협회가 주는 ‘참언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저널리즘의 몰락과 정보 공유 혁명』(2014), 『미디어시장과 공공성』(2010), 『정보자본주의와 대중문화산업』(2007), 『언론산업의 정치경제학』(2004), 『디지털방송의 정치경제학』(2003), 『매체소유연구』(2002), 『국민을 위한 언론개혁』(2002), 『디지털 제국주의』(2000), 『매체경제분석』(1997), 『한국언론산업론』(1995) 등이 있으며 역서에는 『BBC왕실칙허장에 대한 검토』(2005), 『다큐멘터리와 사회』(1993), 『세계 각국의 선거방송 실태』(1992), 『BBC 가이드라인(상·하)』(1991)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