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제사 어떻게 지낼 것인가

$21.06
SKU
97889285187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10
Pages/Weight/Size 154*220*20mm
ISBN 978892851876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조상제사의 본질은 ‘나의 근원을 되돌아보는 것’에 있다.

『예기』에 “만물은 하늘에 근본을 두고, 인간은 조상에 근본을 둔다”고 했듯이,
나의 근원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자신을 낳아준 조상에게 되돌아가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이는 조상제사를 통해서 비로소 가능하다.

전통문화의 현대적 계승을 논할 때마다 항상 제례문화가 중심에 있다. 그만큼 조상제사는 범국민적 전통문화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조상제사를 둘러싸고 바람직한 계승방안 등이 꾸준히 논의되고 있는데, 이는 곧 조상제사가 우리 사회의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상제사는 혈통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조상’과 관련되어 있기에 여타 전통문화처럼 자의적으로 선택 · 전승하는 것이 아니라 ‘자식된[爲人子]’ 도리로서 마땅히 수행해야 할 기본의무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까닭에 변화를 모색하는 일도 수월하지 않은데, 이것이야말로 조상제사가 우리 사회의 핫이슈로 자리잡게된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Contents
책을 내면서

조상제사, 왜 지내는가
| 이욱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


제사를 지내는 목적은 무엇인가?
조상제사의 대상은 누구인가?
제사를 통해 조상과 감응感應하다
조상제사를 통해 예禮를 갖추다
전통과 변화의 갈림길로 접어든 조상제사

조상제사, 누가 모셔야 하는가
|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조상제사, 누가 누구를 모시는가?
조상제사, 장남이 모셔야 하는가?
조상제사, 4대까지 모셔야 하는가?
조상제사, 의무와 본질을 되새기다

조상제사, 어떤 순서로 지내야 하는가
| 김시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시운영과장


조상제사, 어떻게 준비하여 어떤 순서로 지내나?
조상제사, 어떤 절차로 지내나?
전통을 어떻게 현대에 맞게 전승할까?

제물, 무엇을 차려야 하는가
| 권삼문 대구경북향토문화연구소 연구원


가가례家家禮는 사라지는가?
제물장만 달라졌는가?
꼭 필요한 제물은 무엇인가?
제물로 차려서는 안되는 것이 있는가?
음복 : 복 받기와 복 나누기
혼란을 피하는 방법

부록 조상제사의 실태 및 의식 조사

Author
한국국학진흥원,이욱,김미영,김시덕,권삼문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철학박사)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저서
『숙종 대 왕실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2.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민속원, 2017.
『조선시대의 재난과 국가의례』, 창비, 2009
『종교문화의 안과 밖』(공저), 모시는사람들, 2021.
『인물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공저), 한국국학진흥원, 2020.
『대한제국기 황실 의례와 의물』(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철학박사)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저서
『숙종 대 왕실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2.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민속원, 2017.
『조선시대의 재난과 국가의례』, 창비, 2009
『종교문화의 안과 밖』(공저), 모시는사람들, 2021.
『인물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공저), 한국국학진흥원, 2020.
『대한제국기 황실 의례와 의물』(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