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지리는 시간과 공간을 하나로 융합하여 인류가 거쳐지나온 역정歷程 속에서 옛 시대의 발자취와 그 영향을 탐구한다. 역사 지리는 연구 영역이 대단히 광범위한 학과로, 인류의 생존을 결정하는 환경과 자원인 기후, 식물, 토양, 산천, 호수뿐만 아니라 인류가 창조한 모든 것, 즉 논밭, 도시, 도로, 문화 및 정치, 군사적 필요에 따른 환경 이용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 책의 15강은 이러한 영역을 거의 모두 다루고 있다. 역사 지리에 속하는 각각의 연구 영역은 매 영역마다 독립적인 자체 체계를 갖추고 있다.
대지는 인류 생존의 터전이자 인류 활동의 무대이다. 인류가 대지에 기대고 대지를 이용하며 대지를 개조하는 행위 등은 지리학 연구의 여러 영역이다.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를 연구한다.『 중국 역사지리학 강의』는 역사 지리의 중요 영역, 즉 강역, 환경, 정치지역, 농업, 교통, 군사, 도시 등을 주요 주제로 삼아 그 영역의 기본 문제와 그 역사발전의 진행 상황에 대해 정리 소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중국 역사 지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좋은 입문서이다.
Contents
서문
제1강 서론
제2강 역사지리 연구의 기점
―선사시대 사람과 환경
1. 선사시대 취락 환경 선택
2. 취락 환경 선택과 인류의 생산 방식
3. 선사기기 서요하 유역 취락의 지속 시간과 환경 용량
제3강 지리의 관점에서 본 역대 강역의 변천
1.‘ 중국’의 함의와 공간 변화
2. 중국 역대 강역 변화와 그 지리적 토대
3. 청대 말기 강계疆界 조약과 강역의 변천
4. 강역 문제에 관한 여론餘論
제4강 역사 시기 기후 변화와 식생의 지리적 분포
1. 역사 시기 기후 한랭과 건습 변화
2. 역사 시기 식생 지리 분포 변화와 중요 농업 생산 한계界限
제5강 역사 농업지리 배경 하의 인류 활동과 환경 개조
1. 역사 시기 인류 농업 개발과 환경 개조
2. 농업 개발이 가져온 환경 문제
제6강 역사 경제지리의 중요 명제
― 중국 고대 경제 중심의 남방 이동과 북방 이민의 기술적 공헌
1.역전제에서 토지 연작으로 - 강남 토지 이용률 제1차 상승
2. 벼 모종 파종에서 벼와 밀 이모작까지 - 강남 토지 이용율의 제2차 상승
3. 중국 고대 경제 중심의 환경 선택과 남이南移 시간
제7강 강과 하천, 호수의 변천과 인류 활동
1. 역사시기 황하 하도河道 변화
2. 역사시기 황하 수재 원인 탐구
3. 역사시기 장강 중하류 하도 변천
4. 장강 중하류 호수의 변천
제8강 목축업의 지리 공간과 초원 유목 방식
1. 비농업 민족의 지리 분포와 경제 생활 방식
2. 원시 농업에서 분리된 목축업과 유목업의 탄생
3. 유목업과 유목방식
제9강 정치의 공간
― 중국 고대 지방 행정제도와 행정구역
1. 분봉제와 정치 공간 관리
2. 군현제와 지방 행정 관리
제10강 공간의 정치
― 행정구역 경계구분의 원칙과 역사적 연원
1.‘ 수산천형편’ 행정구역간의 경계
2.‘ 견아교착’ 행정구역간의 경계
3.‘ 수산천형편’과‘ 견아교착’의 분계 원칙의 당대當代 영향
제11강 역사 교통지리(상)
― 화북, 내몽고, 동북 3대 구역의 도로 계통
1. 태행산 동쪽 기슭 도로와 중요 전사戰史
2. 화북평원에서 내몽고로 통하는 도로와 중요 전사
3. 연산산맥과 화북에서 동북으로 통하는 도로
4. 황하 중,하류 지역 육로 교통
제12강 역사 교통지리(중)
―서북, 서남 도로 교통
1.‘ 관중’ 명칭유래와 도로 체계 및 중대 역사 사건
2. 천섬川陝 교통로와 중요 전사
3. 서남지구 교통로와 경제문화
4. 비단길과 동서문화교류
제13강 역사 교통지리(하)
― 운하, 수로 교통의 영향하의 남북 경제교류
1. 운하 굴착과 주요 운하의 방향
2. 천연 하천 이용과 영남 교통
제14강 지리형세와 고대 전략공간의 변천
1. 서쪽에서 동쪽으로 정치공간과 전략 진행 과정
2. 북방에서 남방으로 인구 유동과 군사 교전 지역: 회하 유역
3. 중국 북방 농목교차 지대 전사와 장성의 지리학적 의의
제15강 역사 성시城市(도시) 지리의 기본 문제
― 성시의 탄생, 성시 지역 공간 구조 및 도성 내부 구조
1. 도시의 탄생과 발전의 지리적 과정
2. 중국 고대 도시의 지역 공간 구조
3. 중국 초기 도시 형태와 중요 고도古都의 평면 구도
4. 중국 고대 도성 선정의 지리적 토대
역자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한마오리,탕쿤,유소영,심규호
북경대학 도시환경학원 역사지리 연구센터 교수
주로 중국의 역사지리를 연구하고 있으며, 역사농업지리, 역사시기 환경변화와 역사 향촌사회지리 분야에서 많은 공헌을 했다. 전후로 국가자연과학기금, 국가사회과학기금, 교육부 사회과학기금 등 13곳에서 기금을 받아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송대농업지리』, 『요금遼金농업지리』, 『초원과 전원田園-요금 시기 서요하西遼河 유역 농목업과 환경』, 『중국역사농업지리』 등 전문학술서를 출간하고, 『문사文史』, 『지리학보』, 『고고학보』, 『근대사연구』, 『중국사연구』 등 간행물에 학술논문 50여 편을 발표했다. 그녀가 맡은 ‘중국역사지리’ 강좌는 교육부에서 국가급 정품精品 과목으로 평가받았다.
북경대학 도시환경학원 역사지리 연구센터 교수
주로 중국의 역사지리를 연구하고 있으며, 역사농업지리, 역사시기 환경변화와 역사 향촌사회지리 분야에서 많은 공헌을 했다. 전후로 국가자연과학기금, 국가사회과학기금, 교육부 사회과학기금 등 13곳에서 기금을 받아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송대농업지리』, 『요금遼金농업지리』, 『초원과 전원田園-요금 시기 서요하西遼河 유역 농목업과 환경』, 『중국역사농업지리』 등 전문학술서를 출간하고, 『문사文史』, 『지리학보』, 『고고학보』, 『근대사연구』, 『중국사연구』 등 간행물에 학술논문 50여 편을 발표했다. 그녀가 맡은 ‘중국역사지리’ 강좌는 교육부에서 국가급 정품精品 과목으로 평가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