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속문화의 실상과 한국인의 교육철학

$24.84
SKU
978892851851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20
Pages/Weight/Size 154*210*17mm
ISBN 9788928518517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 책은 나의 인생역정이 담긴 책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어쩌면 기성 학계로부터는 지청구를 당할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그래도 내 나이가 어느덧 80대 중반을 넘었으니 이제 와서 겁낼 일이 어디 있으랴 싶어 그 동안 생각하고 발표 했던 내용들을 모아 새로 엮고 손질해서 한 권의 책으로 묶어내어 놓기로 했다. 금년에 탄생 120년을 맞으시는 임석재 선생님 영전에 감히 바쳐 올리고 싶은 생각에서이다. 어느 자리에선가(『이지산의 서울굿 그림 43점 이야기 마당』 출판 진행 과정 중에) 내 책을 꼭 출판 하고 싶다고 한 홍종화 사장의 말을 들은 기억이 남아 민속원에다 출판을 맡기기로 했다. 임 선생님 무릎제자 중 ‘황 랑자’로 불리면서 나 보다 더 임 선생님의 굄을 많이 받았던 황루시 교수가 원고를 읽고 논평 해 준 것을 고맙게 생각 한다. 끝으로 사족이 될는지는 모르겠으나 독자들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해서 이 책의 각 부분들의 초고가 처음 실렸던 출전들을 기억나는 대로 밝혀 둔다.
Contents
제1장.

한국 기층문화의 정신사적 특징 논의를 위한 담론
1. 교육학자가 무속문화와 사상을 연구하게 된 동기와 연구의 역사
2. 우리민족은 독특하다
3. 문화식민지 우리나라 역사의 정체

제2장.

기층문화로서의 무속의 예절문화
1. 예절문화의 개념정리 문제
2. 우리 시대 예절문화 연구의 필요와 의미
3. 무속에서의 예절연구의 의의

제3장.

무속의 실상과 의례내용
1. 한국사회에서의 무속의 위상과 과제
2. 무속의 실상과 내용

제4장.

무속의례의 목적과 논리, 그 교육적 의의
1. 인간의 이익을 위해 신과 거래하고 신을 이용한다.
2. 삶의 상황을 위협하는 도전의 정체를 확인하고 응전의 지혜를 터득한다.
3. 놀이를 통해 화해한다.
4. 삶을 확인하고 공동체 속에서 자기를 발견 한다.
5. 공동체의 조직과 질서를 재정비 강화하고, 경제적 균형 유지(부의 재분배)와 자극의 기능을 한다.
6. 삶의 의무 · 윤리 · 희망을 의식화한다.
7. 문화전승의 교육 기능을 한다.

제5장.

무속예절문화 연구방법과 문제
1. 무속현장 조사와 연구방법의 문제
2. 무속현장에서 드러나는 예절문화의 실상과 내용
3. 무속 예절문화의 교육기능과 의미

제6장.

무속 현장에서의 삶과 죽음의 교육적 의의
1. 황해도 내림굿
2. 황해도 진지노기굿
3. 수용포 수망굿

제7장.

한국 기층문화의 인간관과 교육철학
1. 인간관
2. 무속문화의 교육철학

꼬리말.
한국인의 심성과 특징
1. 샘이 많다
2. 자존심이 강하다
3. 정에 약하다
4. 원칙을 우습게 안다
Author
김인회
서울출생(1938)
배재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 동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 부교수, 연세대학교교육과학대학 학장 · 박물관장 · 국학연구원장 역임, 연세대학교교수 정년퇴임(2003),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회 제10회 연문인상 수상(2010), 연세대학교 용재기념사업회 제21회 용재학술상 수상(2015),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이사장, 최순우기념관장(2004~2015), 경향신문객원논설위원(1985~1988), 한국방송공사(KBS)객원해설위원(1994~2002), (사)서울미술협회서예부분초대작가(2020), 한국 굿학회 회장(1998~현재)

저서
『한국인의 가치관 : 무속과 교육철학』(1979), 『점잖은 아이와 유치한 어른의 교육학』(1980), 『한국무속사상연구』(1987), 『한국인의 교육학』(1980), 『교육과 민중문화』(1983), 『눈으로 볼까 마음으로 볼까』(1984), 『교육사 교육철학 강의』(1985), 『한국교육의 역사와 문제』(1993), 『오늘을 살아가는 지혜』(1993), 『강요된 교육 그것을 거부하며』(1993), 『새 시대를 위한 교육의 이해』(1994), 『한국교육의 위기와 진로』(2002), 『한국교육의 정신과 실천』(2002), 『밥상머리교육부터 다시하자』(2003), 『다문화시대 박물관교육』(2009), 『한국문화와 교육 해석』(2012), 『아리공주 이야기』(2020) 외 공저 논문 논설 다수.
서울출생(1938)
배재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 동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 부교수, 연세대학교교육과학대학 학장 · 박물관장 · 국학연구원장 역임, 연세대학교교수 정년퇴임(2003),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회 제10회 연문인상 수상(2010), 연세대학교 용재기념사업회 제21회 용재학술상 수상(2015),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이사장, 최순우기념관장(2004~2015), 경향신문객원논설위원(1985~1988), 한국방송공사(KBS)객원해설위원(1994~2002), (사)서울미술협회서예부분초대작가(2020), 한국 굿학회 회장(1998~현재)

저서
『한국인의 가치관 : 무속과 교육철학』(1979), 『점잖은 아이와 유치한 어른의 교육학』(1980), 『한국무속사상연구』(1987), 『한국인의 교육학』(1980), 『교육과 민중문화』(1983), 『눈으로 볼까 마음으로 볼까』(1984), 『교육사 교육철학 강의』(1985), 『한국교육의 역사와 문제』(1993), 『오늘을 살아가는 지혜』(1993), 『강요된 교육 그것을 거부하며』(1993), 『새 시대를 위한 교육의 이해』(1994), 『한국교육의 위기와 진로』(2002), 『한국교육의 정신과 실천』(2002), 『밥상머리교육부터 다시하자』(2003), 『다문화시대 박물관교육』(2009), 『한국문화와 교육 해석』(2012), 『아리공주 이야기』(2020) 외 공저 논문 논설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