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의 생태학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이다. 섬생태의 이해에서 부터 출발하여 생태계 과정, 생태 시스템, 문화경관까지 다각도의 시선에서 생태계를 바라본다.
Contents
서문
제 1 부 ㅣ 섬 생태, 생태계의 이해
1장 섬의 생태지리와 인문 - 지속가능성과의 연계
ㅣ2011년『도서문화』37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섬의 분포와 국제법
섬 생태지리
생물 종 다양성: 환경적응과 선택
지속가능성과 섬
맺음말
2장 섬 생태학의 이해 - 자연과 문화의 접점
ㅣ2008년『도서문화』32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인문학에서 생태학의 역할
생태학,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
섬 생태연구의 주요 내용
연구방법론
섬 생태연구: 학제간 연구를 지향하며
3장 섬 생물지리학과 경관생태학 - 시공간적 생태계 과정 속의 생물이동
ㅣ2007년『도서문화』30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섬 생물지리학
섬 생물지리학 이론과 경관생태학의 관계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섬 생물지리학 이론의 한계점
4장 물질순환: 숲에서 바다까지 - 생태 시스템 연결성
ㅣ2007년『도서문화』30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숲과 바다의 순환
숲-하천-바다의 물질 네트워크
하천과 바다의 네트워크
바다에서 숲으로의 생태적 보상
생태계 통합적 관리를 위한 제안
5장 기후변화와 섬 생태계 연구
ㅣ2014년『한국도서연구』26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기후변화와 식생
섬 생태 연구의 확장성에 따른 공간분석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의 식생연구
다도해 연구에 필요한 생태학 분야
결론
제 2 부 ㅣ 섬의 숲 생태와 문화경관
6장 다도해 섬의 우점식생, 곰솔숲의 생태관리 - 신안군 증도의 사례
ㅣ2007년『도서문화』28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곰솔림 조사지 생태적 특성
군락구조 조사를 위한 방안
곰솔군락의 흉고직경분포
수목 개체군 밀도의 특징
곰솔숲의 생태관리를 위한 제언
7장 해안림의 생태경관과 보전 - 어부림을 대상으로
ㅣ2010년『도서문화』36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어부림의 생태문화
어부림의 생태적 특성
맺음말: 어부림인가 방조림인가
8장 서해안 포구 마을숲의 생태와 복원
ㅣ2007년『도서문화』29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서론
우리나라 마을숲의 종류과 기능
숲의 생태문화
포구 마을숲의 보전과 활용
해안포구의 생태계 안전을 위한 식생복원
숲 관리와 복원을 위한 기본방향
9장 해안마을 공간의 경관생태학적 이해 - 충남 태안군 어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ㅣ2008년『도서문화』31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경관생태학과 지리정보시스템
조사 지역의 개황과 방법
어촌 마을의 경관생태적 특성
결론
제 3 부 ㅣ 섬 생태자원과 활용
10장 섬과 수자원, 우물, 그리고 노거수 - 완도군 청산도의 사례
ㅣ2017년 도서문화연구원에서 개최한〈섬의 인문학 학술대회〉자료집 내용을 재편ㅣ
서론
완도군 청산면의 개황
결과 및 논의
우물과 수계
노거수와 물환경과의 관계
마을내 우물의 공간적 배치
섬의 수자원 보전에 대하여
11장 섬의 자원과 전통생태지식의 가치
ㅣ2011년『도서문화』38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생태자원과 전통생태지식
도서해양의 자원
생물자원
토착지식
자원 활용에 대한 창조적 지혜의 필요성
12장 갯벌섬의 자원, 품격있는 소금을 위하여
ㅣ2016년 도서문화연구원에서 개최한〈섬의 인문학 학술대회〉자료집 내용을 재편ㅣ
들어가며
소금의 생산
제염 방식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방향
소금과 해양생물
다차원 섬 산업의 가능성
섬 소금의 미래
마치며
13장 생태문화자원과 에코투어리즘 - 신안군 임자도, 증도, 지도를 중심으로
ㅣ2007년『농촌계획』13권에 게재된 원고 재편ㅣ
들어가며
섬과 생태관광
우리나라 해역의 생태관광자원의 특징
신안군 북부권 도서지역의 사례
생태관광지역의 선정, 평가와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