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

$34.56
SKU
978892850625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7/20
Pages/Weight/Size 175*225*17mm
ISBN 9788928506255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국의 무속에 대한 조사, 정리, 연구에서 아직 선보인 적이 없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시도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무속에 대한 기록은 주로 구비문학이 주도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무당이 부르는 무가를 채록하고 곁들여 사진 몇 장을 함께 싣는 것이 일반적인 형편이었다. 그러나 무속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는 무가巫歌만이 아니다. 무의巫儀, 무당巫堂, 무복巫服, 무구巫具, 무악巫樂, 무무巫舞, 제물祭物 등 복합적 총체라 할 수 있다. 그야말로 다중적 담론multi-discourse인 셈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접근 역시 다중적 접근multi-access이 필수적이다. 쉽게 말해서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 식의 조사와 연구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속을 구성하고 있는 다중적 요소에 대해 종합적 접근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전공분야의 전문가들이 학제적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를 위해서 그간 무속 및 전통문화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해 왔던 국내 최고의 연구자들을 전국적으로 발굴하여 현전적인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획을 했다. 또한 전공분야도 그렇지만, 전승되는 문화는 각 지역별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공자의 배려도 필요했다. 예를 들면 무가와 무악을 듣는데 있어서 현지 출신이 아니면 가청도가 떨어지게 되어 있다. 무가와 무악을 담당하게 될 연구자는 방언권과 음악권을 전제로 하여 선택되어야 하며, 자료에 대한 정확한 채록과 채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적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서 특히 무가와 무악은 전승문화권을 고려하여 연구자를 선발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굿의 개관

1. 굿을 청한 사람들

2. 굿을 하는 사람들

3. 굿의 구성과 내용
1) 굿의 진행순서
2) 굿청의 구조와 상차림
3) 제물
4) 무당의 노래와 음악
5) 무당이 추는 춤
6) 무당이 입는 옷
7) 무당이 사용하는 무구

4. 영암 삼우씻김굿의 기능과 상징


제2부 굿의 진행

1. 안당

2. 선부리

3. 성주굿

4. 지앙굿

5. 제석굿

6. 오구굿

7. 넋올리기

8. 고풀이

9. 씻김

10. 탈복

11. 사자고풀이

12. 길닦음

13. 사자풀이

14. 사신


Abstract
Author
나경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