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가

조선시대 최고의 경제발전안을 제시한
$11.88
SKU
97889285019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1 - Fri 04/2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16 - Fri 04/1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12/20
Pages/Weight/Size 128*196*20mm
ISBN 978892850196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실학박물관에서 2009년부터 대표적인 실학자들의 생애와 학문, 사상과 인간 형상 등을 널리 알리기 위해 학계의 저명한 연구자들과 함께 발간한 「실학박물관 실학인물총서」 다섯 번째 책이다. 조선 최고의 경제발전안을 제시한 초정 박제가의 생애와 학문 등을 다루었다. 책은 일반인을 위한 교양 독서물임과 동시에 박제가의 연구 성과를 충실히 수용하며 평생 연구를 진행했던 창조의 정신과 개혁 정책을 세심하게 다룬다.
Contents
발간사
책머리에

1장 박제가는 어떤 인물인가
1. 조선의 근대화를 준비하는 경제개혁안을 제시하다
2. 자기 소개에 드러난 박제가의 개성
3. 박제가에 대한 인물평

2장 박제가의 생애
1. 서자로 태어나다
2. 소년기의 추억과 가족
3. 교유 인물과 북학파北學派
4. 네 차례의 연행燕行
5. 『북학의北學議』를 저술하다
6. 규장각 검서관檢書官 등의 관직생활
7. 경세책經世策을 건의하다
8. 문체반정文體反正과 유배流配

3장 박제가의 사상과 정책론의 성립 배경
1. 18세기 조선의 성취와 그 한계
2. 외국 선진 문명의 충격

4장 박제가의 사상
1. 경제를 중시하는 이용후생利用厚生 사상
2. 근대적 대외 학습 자세를 제시한 북학北學 사상
3. 부강한 문명국文明國의 지향
4. 실사實事를 중시하는 개방적인 학문 방법론

5장 박제가의 경제정책론
1. 부국책富國策의 체계로서의 경제정책론
2. 개국통상론開國通商論
3. 국내시장 육성론
4. 기술발전론
5. 신분제 개혁론

6장 박제가 경제사상과 정책론의 평가
1. 부국을 도모하는 최상의 정책론
2. 박제가 경제사상의 비교사적 좌표

7장 뜻을 펼치지 못한 경세의 포부
1. 정책으로 수용되기에는 지나치게 혁신적인 사상
2. 정조와 박제가
3. 시대적 한계

8장 박제가 사상의 후대 영향과 현대적 의의
1. 후대 영향과 재평가
2. 현재적 의의

연보年譜
박제가에 관한 주요 연구문헌 목록
찾아보기
Author
이헌창
1955년에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경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3년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로 옮겨 지금까지 재직 중이다. 경제사학회와 한국고문서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한국경제통사』, 『조선시대 최고의 경제발전안을 제시한 박제가』, 『경제?경제학』이 있다. 편저는 『류성룡의 학술과 사상』,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등이 있다. 이외에도 경제사, 사상사, 정치사 등의 분야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1955년에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경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3년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로 옮겨 지금까지 재직 중이다. 경제사학회와 한국고문서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民籍統計表의 해설과 이용방법』, 『한국경제통사』, 『조선시대 최고의 경제발전안을 제시한 박제가』, 『경제?경제학』이 있다. 편저는 『류성룡의 학술과 사상』,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등이 있다. 이외에도 경제사, 사상사, 정치사 등의 분야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