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문화의 둥지는 산촌이다. 산촌은 세월이 더 느리게 간다. 누룩처럼 곰삭은 문화가 번들거리는 현대를 거부한다. 요상한 외래문화의 침투에도 두터운 울타리를 치고 꿋꿋하게 버틴다. 농촌과 어촌에서는 벌써 사라진 마을문화의 전통을 산촌에서 만날 수 있다. 자연 속에서 자연과 더불어 자연처럼 건강하고 아름답게 살아간 선조들의 삶을 보여주는 곳이 산촌이다.
도시인들도 이제는 제법 알고 있다. 회색도시를 탈출해서 녹색마을로 가는 것이 건강한 삶이라는 것을. 그래서 주말만 되면 산을 오르기도 하고 산사의 계곡을 찾기도 한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이들은 산장이니 별장이니 하는 집을 산골에다 지어두고 여가생활을 풍광 좋은 자연 속에서 즐기려고 한다. 언론사에서도 산촌의 삶들을 부쩍 새로 조명하기 시작했다. 지리시간에서 공부하던 백두대간이 우리 전통 살림살이 세계를 비추어주는 거울이 되어 안방까지 찾아오기 일쑤이다. 거기에 사람 냄새 나는 문화가 있고 오래 묵은 살림살이의 슬기가 있기 때문이다.
Contents
머리글 산촌 마을의 아름다운 삶
산촌마을 공동체의 약화 원인과 지속 요인∥임재해
1. 공동체의 전승에 대한 변증법적 인식
2. 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공동체의 요건
3. 중소도시 근교 산촌마을의 모듬살이 양상
4. 기술문명 보급과 공동체의 약화 요인
5. 나눔의 공동체로서 친밀성의 지속 요인
6. 근대적 공동체로서 산촌 모듬살이의 재발견
7. 산촌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 전망
산촌생활이 갖는 철학적 정조∥윤천근
1. 생활에 있어서 선택의 자유
2. 시대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
3. 어떤 생활을 선택할 것인가?
4. 내가 꿈꾸는 생활의 정조
5. 산촌생활의 철학적 의미
6. 산촌생활의 현대적 가치
7. 산촌생활과 현대인의 자화상
삼척 산간지역 큰서낭당 소고小考∥김도현
1. 머리말
2. 큰서낭당의 명칭과 종류
3. 큰서낭당 전승 양상
4. 큰서낭당 중심의 마을공동체신앙 구조와 기능
5. 맺음말
산간지역 영등신앙의 제의구조와 농신의 성격∥강성복
1. 머리말
2. 영등신앙의 전승양상과 제의구조
3. 영등맞이 의례에 나타난 ‘농신’의 성격
4. 맺음말
산촌지역 축제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명분∥남성진
1. 머리말
2. 축제개발과 지역민의 정체성 변화
3. 지역 특성화와 지역 활성화의 명분 비판
4. 마무리
풍물 연행주체의 다중성과 극적 재현∥박혜영
1. 머리말
2. 광산을 둘러싼 역동의 시공간 ‘내선미’
3. 마을 청년회의 결성과 극예술 활동
4. 계몽과 오락의 공간으로서 국민학교
5. 역사적·문화적 사건의 경험과 극적 재현
6. 맺음말
『아라리』 사설의 어휘로 살펴본 산촌∥이영식
1. 머리말
2. 사설 속의 지명 어휘
3. 사설 속의 동?식물 어휘
4. 맺음말
산촌 민가의 공간배치원리와 전통관념∥김재호
1. 서론
2. 조사지의 마을 개관
3. 조사지 주거문화의 특징
4. 내외벽을 통한 안방과 사랑방의 구획
5. 초복관념과 부엌공간의 배치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