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은집》은 고려 말기의 충신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의 시문집이다. 정몽주 사후 47년 뒤인 1439년(세종21)에 장남인 정종성(鄭宗誠)이 수집, 편차하여 목판으로 간행하였고 초간본이 처음 간행된 이후 모두 14차례 간행되었다.
정몽주는 동방 성리학의 조종(祖宗)으로 추숭된 유학자이자 정치, 경제, 문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공적을 남긴 인물이다. 동시대의 목은(牧隱) 이색(李穡)은 정몽주를 ‘동방 성리학의 조종’이라고 극찬하였다. 성리학에 관한 저술이 전해지지 않아 구체적인 모습을 알 수 없지만, 《포은집》에 남아 있는 시문을 통해서도 그러한 면모의 일단을 알 수 있다.
정몽주는 ‘만고불변의 충절’이라는 절의(節義)의 대명사로 일컬어졌고, 또한 효성이나 학문,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문장가로서의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부모상에 3년 동안 시묘하여 정려(旌閭)를 받았고, 성균관 대사성으로 신진 사류를 양성하였다. 원(元)?명(明)이 교체되는 고려 말의 혼란기에 일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명나라와 일본에 수차례 사신으로 가서 훌륭히 소임을 수행하였고, 조선으로 왕조가 바뀔 때에는 고려의 사직을 보위하려 하였다.
이러한 부모에 대한 성효(誠孝)와 국가에 대한 충절은 정몽주의 빼어난 자질에서 나온 것이고 또한 성리학에 대한 깊은 체득에서 자연스레 발현된 것이다.
Contents
일러두기 · 4
해제 포은 정몽주의 생애와 학문|박대현 · 23
고려 시중 포은 정 선생 유상 高麗侍中 圃隱鄭先生遺像 · 59
포은선생시권 서 圃隱先生詩卷序|권채 權採 · 60
포은선생시집 서 圃隱先生詩集序|노수신 盧守愼 · 65
포은선생시고 서 圃隱先生詩藁序|변계량 卞季良 · 71
포은선생시권 서 圃隱先生詩卷序|하륜 河崙 · 75
포은선생시권 서 圃隱先生詩卷序|박신 朴信 · 77
포은집 제1권
시詩
3월 19일에 바다를 건너 등주의 공관에 묵었다. 곽 통사와 김 압마가 바람에 배가 막혀 아직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대로 머물며 기다린 것이다 三月十九日 過海宿登州公館 郭通事金押馬 船阻風未至 因留待 · 87
봉래역에서 한 서장관에게 보이다 蓬萊驛 示韓書狀 · 89
용산역 龍山驛 · 90
황산역 길에서 黃山驛路上 · 91
제교역 벽에 적다 書諸橋驛壁上 · 92
내주 해신묘 萊州海神廟 · 93
교수현에서 서 교유 선 와 작별하다 膠水縣別徐敎諭 宣 · 94
구서역에서의 나그네 밤 客夜在丘西驛 · 95
4월 1일 고밀현에서 꾀꼬리 소리를 듣다 四月初一日 高密縣聞? · 96
한 총랑의 압록강 시에 차운하다 次韓摠郞鴨綠江詩韻 · 97
일조현 日照縣 · 98
술을 마시다 飮酒 · 99
공유현에 묵다 宿?楡縣 · 100
산동의 길을 가다 山東途中 · 101
종성과 종본 두 아이를 생각하다 憶宗誠宗本兩兒 · 102
왕방역에서 요동 정 진무 재 에게 주다 王坊驛贈遼東程鎭撫 載 · 103
상장역에서 고 시랑에게 주다 上莊驛贈高侍郞 · 106
이도은, 정삼봉, 이둔촌 세 군자를 그리워하다
有懷李陶隱鄭三峯李遁村三君子 · 107
산동 노인 山東老人 · 108
제성역의 밤비 諸城驛夜雨 · 109
금성역에서 송경의 벗들을 그리워하다 金城驛懷松京諸友 · 110
동양역의 매와 곰을 그린 벽화를 진 교유의 운을 써서 노래하다
?陽驛壁?鷹熊 歌用陳敎諭韻 · 111
한신묘 韓信墓 · 114
표모의 무덤 漂母塚 · 115
4월 14일에 회음수역에서 배에 오르다 四月十四日 淮陰水驛登舟 · 116
회음역에서 길이 나뉘어 방 진무를 작별하다 淮陰驛分道 別?鎭撫 · 117
배로 회음을 출발하여 보응현으로 향하다 舟發淮陰 向寶應縣 · 118
범광호의 새벽 경치 范光湖曉景 · 119
내가 본국에 있을 때 제교 설 선생의 이름을 익히 들었다. 지금 이 역을 지나가면서 밤길이 바빠 찾아뵙는 예를 전혀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길에서 칠언 율시를 읊어 뒷날 만나기를 꾀한다 僕在本國 飽聞諸橋?先生之名 今過是驛 莫夜悤悤 殊失謁見之禮 路上吟成七言唐律 以圖後會云 · 120
꿈 夢 · 121
고우호 高郵湖 · 122
고우성 高郵城 · 123
여행 중에 스스로 위로하다 客中自遣 · 124
양주 楊州 · 125
함께 가는 젊은이에게 재미 삼아 주다 ?贈偕行年少 · 126
진주 眞州 · 127
양주 죽서정에서 송경의 벗들을 그리워하다 楊州竹西亭 懷松京諸友 · 128
배 안의 미인 舟中美人 · 129
4월 19일에 강을 건너 용담역에 이르다 절구 2수
四月十九日渡江 至龍潭驛 二絶 · 130
남경에 들어가다 入京 · 131
황도 4수 皇都 四首 · 132
두 번째 其二 · 133
세 번째 其三 · 134
네 번째 其四 · 135
남경을 나서다 出京 · 136
백로주에 배를 대다 舟次白鷺洲 · 137
양자도에서 북고산을 바라보며 김약재를 애도하다
楊子渡 望北固山悼金若齋 · 138
고우호 배 안에서 高郵湖舟中 · 139
배 안의 밤 흥취 舟中夜興 · 140
남쪽을 바라보다 南望 · 141
요동 방 진무의 부채에 적다 題遼東?鎭撫扇 · 142
단옷날 재미 삼아 적다 端午日?題 · 143
길을 가다 비를 만나다 途中遇雨 · 144
호수에서 물고기를 구경하다 절구 2수 湖中觀魚 二絶 · 145
제성현에서 퉁소 소리를 듣다 諸城縣聞簫 · 146
길가의 버드나무 路傍柳 · 147
공 주사에게 주다 贈孔主事 · 149
석교포에서 도 포사에게 보이다 石橋鋪 示陶鋪司 · 150
즉묵현 卽墨縣 · 151
전횡도 田橫島 · 152
봉래각 蓬萊閣 · 153
사문도 沙門島 · 154
철산 鐵山 · 155
여순역에서 역을 관장하는 마 진무에게 드리다 旅順驛 呈管驛馬鎭撫 · 156
여순역에서 비에 막히다 旅順驛阻雨 · 157
금주에서 위 지휘사 댁의 매 그림을 보고 짓다
金州韋指揮宅?鷹 走筆 · 158
화각 소리를 듣다 聞角 · 159
안시성에서 옛일을 생각하다 安市城懷古 · 160
양자강 楊子江 · 161
태평소 太平簫 · 162
이적이 싸우던 곳 李勣戰處 · 163
야항 野航 · 164
복주 관사 안의 우물 復州館中井 · 165
사행이 복주에 머물 때 왕 지휘사에게 올리고 겸하여 여러 지휘사 상공에게 드리다 2수 行次復州 呈王指揮 兼簡列位指揮相公 二首 · 166
양 지휘사에게 올리다 呈楊指揮 · 168
복주역의 밤비 復州驛夜雨 · 169
양주에서 비파를 먹다 楊州食枇杷 · 170
복주에서 앵두를 먹다 復州食櫻桃 · 171
갠 날씨를 기뻐하다 喜晴 · 172
경성에서 오이를 먹다 京城食瓜 · 173
연뿌리를 먹다 食藕 · 174
웅악의 옛 성 熊嶽古城 · 175
개주에서 묵다 宿蓋州 · 176
요하의 조운 遼河漕運 · 177
사탕수수 甘蔗 · 178
개주에서 빗속에 머물며 뒤처진 사람을 기다리다
蓋州雨中 留待落後人 · 179
회동관의 버드나무 會同館柳 · 180
조복을 하사받고 하례를 행하다 蒙賜朝服行賀禮 · 181
개주관의 버드나무 蓋州館柳 · 182
발해의 옛 성 渤海古城 · 183
새벽 북소리를 듣다 聞曉鼓 · 184
윤주를 바라보다 望潤州 · 185
강남에서 도은을 생각하다 江南憶陶隱 · 186
시를 읊다 吟詩 · 187
밤 흥취 夜興 · 188
더운물에 목욕하다 湯浴 · 189
강가에서 주 좌참을 생각하다 절구 2수 江上憶周左參 二絶 · 190
강남곡 江南曲 · 191
정부의 원망 절구 2수 征婦怨 二絶 · 192
발해에서 옛일을 생각하다 渤海懷古 · 193
임자년 10월 12일에 남경을 출발하여 진강부 단도역에 묵다
壬子十月十二日發京師 宿鎭江府丹徒驛 · 194
금산사 金山寺 · 195
상주에서 제야에 여러 서장관에게 주다 常州除夜 呈諸書狀官 · 196
태창에서 9월에 공부 주사 호련에게 주다
大倉九月 贈工部主事胡璉 · 198
태창의 9월 大倉九月 · 199
용강관 龍江關 · 201
과주 임자년 4월 瓜州 壬子四月 · 202
강남의 버드나무 江南柳 · 203
양자강 배 위에서 楊子江船上 · 204
등주의 선사 登州仙祠 · 205
등주에서 바다를 건너다 登州過海 · 206
패란점 길 위에서 ?蘭店路上 · 207
양자강 길에서 在楊子江路上 · 208
다경루에서 계담에게 주다 多景樓贈季潭 · 209
오호도 嗚呼島 · 210
양자강 楊子江 · 211
고소대 姑蘇臺 · 212
급체포 急遞鋪 · 213
탕참에서 묵다 宿湯站 · 214
의주에 이르러 말을 점검하여 강을 건너보내다 到義州 點馬渡江 · 215
홍무 정사년에 사명을 받들고 일본에 갔을 때 지은 시
洪武丁巳 奉使日本作 · 216
관음사에서 노닐다 遊觀音寺 · 222
다시 이 절에서 노닐다 再遊是寺 · 223
포은집 제2권
시詩
계묘년 8월에 한 원수의 동쪽 정벌 길을 따라 함주에 이르렀는데 병마사 나공이 정예병을 거느리고 서북면 정벌을 도우러 떠나다 癸卯八月 從韓元帥東征到咸州 兵馬使羅公率精兵助征西北 · 227
화주의 밤비 和州夜雨 · 228
함주에 이르러 척약재의 시에 차운하다 至咸州 次?若齋詩 · 229
한림으로서 종군하는 달가에게 부치다 김구용 寄達可翰林從軍 金九容 · 229
정주에서 중구일에 한 상공이 짓기를 명하다 定州重九 韓相命賦 · 231
안변성루 安邊城樓 · 232
갑진년 추석에 감회가 있어 甲辰中秋有懷 · 233
홍무 임술년에 이 원수의 동쪽 정벌 길을 따라가다
洪武壬戌 從李元帥東征 · 235
단주성 端州城 · 236
비를 무릅쓰고 동쪽 함주로 가다 咸州東行冒雨 · 237
추석 中秋 · 238
여진 지도 女眞地圖 · 239
독올관 禿兀關 · 240
삼산 三山 · 241
함주 咸州 · 242
이 시중의 안변루 시에 차운하다 次李侍中安邊樓詩韻 · 243
남경으로 돌아가는 도사 서사호를 전송하다 送徐道士師昊還京師 · 244
남경으로 돌아가는 예부 주사 임실주를 전송하다
送禮部主事林實週還京師 · 245
다시 임 주사에게 주다 重贈林主事 · 248
절동으로 돌아가는 조마 호해를 전송하다 送胡照磨海還浙東 · 251
항주 사신을 전송하다 送杭州使 · 252
을축년 9월에 중국 사신 학록 장보와 전부 주탁을 모시고 서경의 영명루에 올라 판상의 시에 차운하다 乙丑九月 陪天使張學錄溥 周典簿倬 登西京永明樓 次板上韻 · 253
홍무 을축년 9월에 칠참으로 가는 말 위에서 강남 사신 장보의 시에 차운하다 洪武乙丑九月 七站馬上 次江南使張溥詩韻 · 254
을축년 9월에 중국 사신 주탁에게 주다 乙丑九月 贈天使周倬 · 255
요동 사신 상린에게 주다 贈遼東使桑麟 · 256
조정으로 돌아가는 학록 장보를 전송하다 送張學錄溥還朝 · 258
조정으로 돌아가는 전부 주탁을 전송하다 送周典簿倬還朝 · 259
요동 섭 도지휘사께 올리다 上遼東葉都指揮 · 260
요동 매 도지휘사께 올리다 上遼東梅都指揮 · 261
호송하는 요동 임 진무를 송별하다 送別護送遼東任鎭撫 · 262
요동 왕 경력과 왕 도사 두 상공에게 부치다
寄遼東王經歷王都事兩相公 · 263
요동으로 돌아가는 백호 정여를 전송하다 送程百戶與還遼東 · 264
영 스님이 소매에서 시를 내보이고 화운시를 구하므로 이렇게 써서 책임을 면하다 英枯木袖詩求和 書此塞責 · 265
급제하여 고향으로 돌아가는 이 수재를 축하하다 30운
賀李秀才登第還鄕 三十韻 · 267
경상도 안렴사로 나가는 장령 전오륜을 전송하다
送全五倫掌令出按慶尙 · 271
상주의 김 상국 선치 에게 주다 贈尙州金相國 先致 · 272
상주 서 목사에게 주다 贈尙州徐牧使 · 273
이 헌납 첨 에게 부치다. 경상도를 안행할 때에 김해 연자루 앞에 손수 매화를 심었기 때문에 말한 것이다 寄李獻納 詹 按行時 金海燕子樓前手種梅花故云 · 274
나주 판관으로 부임하는 동년 이양을 전송하다 送同年李陽赴羅判 · 275
강 안렴사에게 부치다 寄姜廉使 · 276
밀양 박 중서에게 부치다 寄密陽朴中書 · 277
익양 김 규정에게 부치다 寄益陽金糾正 · 278
장수역에 묵으며 익양 태수 이용에게 부치다 宿長守驛 寄益陽守李容 · 279
강남으로 사신 가는 산기 이천기를 전송하다 送李散騎天驥奉使江南 · 280
안동 서기로 부임하는 이 수재를 전송하다 절구 5수
送李秀才就赴安東書記 五絶 · 281
둔촌의 시에 차운하여 네 군자께 드리다 次遁村韻呈四君子 · 283
계묘년 5월 2일에 비가 내려 홀로 앉았더니 이둔촌이 마침 찾아왔다
癸卯五月初二日 有雨獨坐 李遁村適來 · 286
또 둔촌의 시에 차운하다 3수 又次遁村韻 三首 · 287
둔촌의 권축에 적은 시 遁村卷子詩 · 289
의주의 김 병마사 지탁 에게 부치다 寄義州金兵馬使 之鐸 · 291
김 판사에게 주다 贈金判事 · 292
호연의 권축에 적다 浩然卷子 · 293
국간의 권축에 적다 菊磵卷子 · 295
백정의 시권에 적다 題柏庭詩卷 · 297
안렴사 유향을 전송하다 절구 2수 送柳按廉珦 二絶 · 298
이 정언에게 부치다 寄李正言 · 299
삼봉에게 부치다 寄三峯 · 300
영주의 친구 永州故友 · 301
송 판관 인 의 권축에 적다 題宋判官 因 卷子 · 302
의순관에 묵으며 공부에게 부치다 宿義順館 寄孔俯 · 303
김 소년 자지 에게 주다 贈金少年 自知 · 304
사람을 전송하다 送人 · 305
조 재상 반 에게 주다 贈趙相 ? · 306
김 정랑 구용 에게 부치다 寄金正郞 九容 · 307
윤절간의 권축에 적다 倫絶磵卷子 · 308
일본 무 상인이 돌벼루를 선물하므로 시로써 사례하다
日東茂上人惠以石硯 以詩爲謝 · 309
목은 선생의 시에 차운하여 일본 무 상인에게 주다
次牧隱先生詩韻 贈日東茂上人 · 310
암방의 일본 승려 영무에게 주다 절구 2수 贈?房日本僧永茂 二絶 · 311
일본 홍 장로에게 주다 贈日本洪長老 · 312
백운헌에게 주다 贈白雲軒 · 313
무변 승려에게 주다 贈無邊僧 · 314
양산의 총 상인에게 주다 贈陽山?上人 · 315
빙산의 주지에게 부치다 寄氷山住持 · 316
지리산 지거사의 주지 각경 상인을 전송하다
送智異山智居寺住持覺?上人 · 317
김생사로 돌아가는 승려를 전송하다 送僧歸金生寺 · 318
일본을 유람하는 자휴 상인을 전송하다 送自休上人游日本 · 319
장성 백암사 쌍계에 시를 지어 부치다 長城白?寺雙溪寄題 · 320
고암의 권축에 적다 古?卷子 · 321
환암의 권축에 적다 幻庵卷子 · 322
우사 야운헌의 시권에 적다 題牛師野雲軒詩卷 · 323
승려에게 주다 贈僧 · 324
성은 움직임이 없다 性無動 · 325
승려에게 부치다 寄僧 · 326
이둔촌의 시에 차운하여 용두 강주를 전송하다
次李遁村韻送龍頭講主 · 327
다시 지어 최와 곽 두 선생께 부치다 再賦 因寄崔郭兩先生 · 328
첨성대 瞻星臺 · 329
취하여 익양 태수의 새 정자에 적다 醉題益陽守新亭 · 330
익양의 새 정자에 적다 題益陽新亭 · 331
중구일에 익양 태수 이용의 명원루에 적다
重九日 題益陽守李容明遠樓 · 332
여흥루에 적다 절구 2수 題驪興樓 二絶 · 333
전주 망경대에 오르다 登全州望景臺 · 334
예전에 재상 야은 전 선생이 계림 판관이었을 때 김해의 기생 옥섬섬에게 준 시에…… 절구 4수 昔宰相?隱田先生爲鷄林判官時 有贈金海妓玉纖纖云…… 四絶 · 335
정사년 3월 빗속에 의성의 북루에 오르다 丁巳三月 雨中登義城北樓 · 337
영주 판상의 시에 차운하다 3수 次榮州板上韻 三首 · 338
명원루에 다시 오르다 重登明遠樓 · 340
안동 영호루. 일본에서 돌아올 때 짓다 安東映湖樓 回自日本作 · 341
평교관에 손수 적다 平郊館手題 · 342
이호연을 곡하다 3수 哭李浩然 三首 · 343
김 원수 득배 를 제사하다 祭金元帥 得培 · 344
이 밀직 종덕 을 곡하다 哭李密直 種德 · 345
이 도은의 처에 대한 만사 李陶隱妻氏挽詞 · 346
권 밀직의 부인에 대한 만사 權密直夫人挽詞 · 347
허 판서의 부인에 대한 만사 許判書夫人挽詞 · 348
봄 春 · 349
신축년 10월에 뜰 앞의 국화를 탄식하다 辛丑十月 庭前菊花嘆 · 350
아침 일찍 길을 나서다 早行 · 352
동지를 읊다 2수 冬至吟 二首 · 353
중서문하성에 입직했을 때 술에 취하여 짓다 入直中書門下省醉賦 · 355
인일 조회 때 눈이 내리다 人日朝會雪 · 356
저문 봄 暮春 · 357
기러기 소리를 듣다 聞雁 · 358
《주역》을 읽고 자안과 대림 두 선생에게 부치다. 세도에 느낌이 있어 말한 것이다 절구 2수 讀易寄子安大臨兩先生 有感世道故云 二絶 · 359
《주역》을 읽다 절구 2수 讀易 二絶 · 361
추석 달 中秋月 · 362
돌솥에 차를 달이다 石鼎煎茶 · 363
겨울밤에 《춘추》를 읽다 冬夜讀春秋 · 364
꿈을 기록하다 記夢 · 365
배를 타고 송경을 작별하다 乘舟別京 · 367
서쪽 이웃 이 부령을 맞이하여 달을 감상하다 邀西?李副令翫月 · 368
경지의 시에 차운하여 삼봉에게 주다 次敬之韻贈三峯 · 369
둔촌의 시에 차운하다 次遁村韻 · 370
반 이상을 하례하다 賀潘二相 · 371
성주에서 묵으며 원일에 목욕하다 成州留元日沐浴 · 373
재상 유원의 집 벽에 적다 題柳相源宅壁 · 374
언양에서 중구일에 회포가 있어 유종원의 시에 차운하다
彦陽九日有懷 次柳宗元韻 · 375
목은 선생의 중구일 시에 차운하다 次牧隱先生九日韻 · 376
목은 선생의 시에 차운하다. 칠석에 안화사에서 노닐었다 3수
次牧隱先生詩韻 七夕遊安和寺 三首 · 377
난파 정원의 소나무, 대나무, 매화, 난초를 읊다. 도은과 양촌의 시에 차운하다 蘭坡四詠 次陶隱陽村 · 379
부령 임효선의 시에 차운하다 4수 次林副令孝先韻 四首 · 382
삼가 철원부원군이 영덕에 있을 때에 지은 시에 차운하다
奉次鐵原府院君在盈德所著詩韻 · 384
글씨 쓰기 寫字 · 386
수편 이 공봉의 운자를 쓰다 2수 用首篇李供奉韻 二首 · 387
경상도 안렴사로 나가는 송 정랑을 전송하다 送宋正郞按廉慶尙道 · 390
1337년(충숙왕 복위6)~1392년(공양왕4). 고려 말의 충신, 학자, 외교가로,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이다. 1360년(공민왕9)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에 보임된 뒤, 요직을 두루 거쳐 1390년 수상직인 수문하시중의 자리에 올랐다. 명나라와 일본에 대한 외교 활동으로 큰 공을 세웠고, 내정으로는 유학을 진흥하고 시폐를 혁파하였다. 고려왕조가 끝날 때에 고려를 위하여 순국하였고, 조선이 건국된 뒤에는 만고의 충절과 이학의 조종으로 추앙받았다. 1401년(태종1) 영의정에 추증되고 1517년(중종12) 문묘(文廟)에 배향되었다. 임고서원, 충렬서원 등에 제향되고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 《포은집》이 있다.
1337년(충숙왕 복위6)~1392년(공양왕4). 고려 말의 충신, 학자, 외교가로,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이다. 1360년(공민왕9)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에 보임된 뒤, 요직을 두루 거쳐 1390년 수상직인 수문하시중의 자리에 올랐다. 명나라와 일본에 대한 외교 활동으로 큰 공을 세웠고, 내정으로는 유학을 진흥하고 시폐를 혁파하였다. 고려왕조가 끝날 때에 고려를 위하여 순국하였고, 조선이 건국된 뒤에는 만고의 충절과 이학의 조종으로 추앙받았다. 1401년(태종1) 영의정에 추증되고 1517년(중종12) 문묘(文廟)에 배향되었다. 임고서원, 충렬서원 등에 제향되고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 《포은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