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중독문제, 어떻게 해야 하나

4대 중독의 한국형 치유모델에서 혜안을 살피다
$22.68
SKU
978892688848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hu 05/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2 - Thu 04/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6/10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26888483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이 책은 생명문화연구소의 네 번째 총서로서 사회적 생명차원의 ‘4대 중독(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문제를 집중 조명했다. 특히 오늘날 우리나라의 중독문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살률, 낙태율, 산업재해 사망률 등이 보여주는 생명경시 및 반생명 문화 풍조 그리고 환경파괴 등과 같은 문제들 못지않게 심각한 수준에 와있다. 연구자들은 우리나라 중독문제는 경계수위를 넘어 위험수위에 이르렀다고 경고한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대체로 국민 8명 중 1명이 중독자이며 중독이 가족 병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국민 전체가 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4대 중독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엄청나다.

중독문제는 한 개인과 가정의 삶은 물론, 사회 전체적 삶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심각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그저 4대 중독문제에 관한 연구에 머물지 않고 이런 사업을 통해 사회적으로 확산 보급하는 일이 상당한 의미와 가치가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Contents
발간사 (김완구)

서문 (문진영)

제1부 물질중독 “의존의 장벽을 넘어 회복의 발판으로”
마약중독으로부터의 회복과 성장 (강선경)
내 속에 있는 다른 타자를 찾아서 (상종열)

제2부 행위중독 “모든 인간의 흥미로운 접점을 찾아내다”
회복 중인 단도박자의 선행(善行) 체험 (강준혁)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은 휴대전화 의존성을 낮출 수 있을까? (김진욱, 권진)
청소년 인터넷 사용시간의 변화와 요인은 무엇인가? (김윤영, 문진영, 이창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여가 시간 사용법 (강선경, 최윤)
대학생의 소비와 행복 (오세일, 노정인)
문제성 주식투자의 도박성 고찰 (강준혁, 맹성준)
임금노동자의 일중독에 관한 고찰 (이소영, 윤수인, 이홍직)
Author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는 대학부설연구기관으로 1991년 ‘세상의 생명을 위하여(promundi vita)’라는 기치를 내걸고 창립된 지 현재 30년이 되었다. 생명 문화 운동의 이론적 정초와 확산보급이라는 설립목적의 실천을 위해 자살, 낙태, 안락사, 호스피스 등의 전통적인 생명윤리 주제들과 복지, 빈곤, 차별, 중독 등과 같은 전 인류적 생명윤리 주제들을 다루고 있고, 생존 주체로서 한 인간의 개인문제와 사회문제, 더 나아가 동물, 생태, 환경 차원의 주제들까지 총망라하여 연구하고 있다. 2017년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 분야 대학 중점연구소”로 선정되어 사회적 생명 차원의 4대 중독(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문제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강선경(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강준혁(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교수)
강준혁(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교수)
권진(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강사)
김완구(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김윤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진욱(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노정인(서강대학교 사회학과 4학년)
맹성준(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문진영(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상종열(생명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오세일(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윤수인(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이소영(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이창문(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이홍직(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최윤(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는 대학부설연구기관으로 1991년 ‘세상의 생명을 위하여(promundi vita)’라는 기치를 내걸고 창립된 지 현재 30년이 되었다. 생명 문화 운동의 이론적 정초와 확산보급이라는 설립목적의 실천을 위해 자살, 낙태, 안락사, 호스피스 등의 전통적인 생명윤리 주제들과 복지, 빈곤, 차별, 중독 등과 같은 전 인류적 생명윤리 주제들을 다루고 있고, 생존 주체로서 한 인간의 개인문제와 사회문제, 더 나아가 동물, 생태, 환경 차원의 주제들까지 총망라하여 연구하고 있다. 2017년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 분야 대학 중점연구소”로 선정되어 사회적 생명 차원의 4대 중독(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문제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강선경(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강준혁(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교수)
강준혁(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교수)
권진(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강사)
김완구(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김윤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진욱(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노정인(서강대학교 사회학과 4학년)
맹성준(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문진영(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상종열(생명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오세일(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윤수인(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이소영(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이창문(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이홍직(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최윤(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