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와 힐링 장소

종택과 정자로 읽은 선현들의 공간심리 이야기
$31.40
SKU
978892688704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1/2 - Wed 0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30 - Wed 0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2/28
Pages/Weight/Size 140*200*30mm
ISBN 9788926887042
Categories 종교 > 역학/사주
Description
요양을 위한 종택과 휴양을 위한 정자.
한국의 전통 공간관인 풍수를 바탕으로 힐링 장소의 비밀을 풀어내다.


‘거주’와 ‘거주 공간’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의 생존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였다. 인간이 각자 나름대로의 공동체를 구성해 세계 여러 지역을 확대 분포되면서 각 지역의 기후와 지형에 맞는 거주 형태를 발달시켜왔지만, 그 근본적인 의미는 변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또한 특성에 따라 장소를 활용해왔다. 이 ‘장소적 특성’을 파악하는 기술과 논리체계를 풍수(風水)라고 부른다. 유학을 공부한 조선시대 사족계층은 주자(朱子)의 풍수적 견해를 받아들여 높은 수준의 풍수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이들이 조성한 종택 및 정자는 동일한 거주 공간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풍수적 관점’에서 보면 정반대의 입지적 특성을 지닌다. 종택은 비교적 풍수적 길지에 위치하지만, 정자는 대부분 절벽 위에 세워져 홍수와 바람에 취약하다. 풍수적으로 흉지에 위치한 셈이다.
그러나 교양 수준 이상의 풍수지식을 갖추고 있던 유학자들이 정자의 입지를 풍수적 흉지에 자리 잡은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거주 공간인 종택의 입지와 다르게 정자의 입지는 학문 수양 및 휴양 목적에 맞게 선정되었으리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북지역의 조선시대 종택 34개소, 정자 36개소를 경관심리학적 관점에서 비교하고, 나아가 종택 및 정자의 입지적 특성을 힐링 장소에 대입했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적 힐링 장소인 종택과 휴양적 힐링 장소인 정자를 구별해 그 차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Contents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대상 선정 및 연구 방법
3. 선행 연구 분석

Ⅱ 이론적 배경
1. 풍수지리 이론
2. 인간의 보편적 공간관과 풍수

Ⅲ 종택 및 정자 입지의 개관
1. 종택 입지의 개관
2. 정자 입지의 개관

Ⅳ 종택 및 정자의 입지적 특성과 경관 조망
1. 종택 및 정자 입지의 지형 유형
2. 종택 및 정자 입지의 수평적 경관 조망
3. 종택 및 정자 입지의 수직적 경관 조망
4. 종택 및 정자의 영역 내 위치와 경관 조망
5. 종택 및 정자 입지의 수경관

Ⅴ 풍수와 힐링 장소의 상관성
1. 힐링을 위한 자연공간적 요소
2. 힐링과 장소
3. 휴양적 힐링 장소(healing place to rest)와 정자의 입지
4. 요양적 힐링 장소(healing place to care)와 종택의 입지

Ⅵ 결론

참고문헌

부표
Author
박성대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학 박사
대구한의대학교 풍수지리학 석사
대구교육대학교 영어교육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학 박사
대구한의대학교 풍수지리학 석사
대구교육대학교 영어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