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 고고학의 역사

$38.56
SKU
978892688607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1/01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2688607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우리나라에서 수중고고학 탐사나 발굴조사가 시작된 지 어언 40년이 흐른 지금도, 수중고고학이 학문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그간의 발굴조사 성과를 정리?분석하고, 외국의 주요 사례들과 비교·검토하여 수중고고학의 발달과정과 현황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연구 방법?방향 등을 제시할 수 있다면, 우리나라 수중고고학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목 차
그림 목차
표 목차

Ⅰ. 수중고고학이란
1. 왜 연구해야 하는가
2. 무엇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Ⅱ. 수중고고학 개요
1. 수중고고학의 영역 및 대상
2. 수중고고학 발달사
1) 해난구조의 약사 및 기술 발달
2) 수중고고학의 약사
3. 수중고고학 조사·탐사, 발굴조사 기술의 검토
1) 수중환경과 잠수기술의 발달
2) 잠수 장비와 운용
3) 수중 조사·탐사
4. 수중고고학의 전망
1) 관련 기술 발전과 해난구조의 응용
2) 심해고고학의 도입

Ⅲ. 한국 수중고고학 발굴조사 사례 분석
1. 선사 ~ 통일신라시대
1) 울주 반구대 암각화
2) 창녕 비봉리 유적
3) 울진 죽변과 김해 봉황동 - 신석기·가야시대 배
4) 안압지 목선
2. 고려시대 한선
1) 완도군 어두리 완도선
2) 목포 달리도배
3) 십이동파도선
4) 영산강 나주선
5) 신안군 안좌(도)선
6) 안산시 대부도선
7) 태안 대섬 태안선
8) 태안 마도 1호선
※ 태안 마도 해역 탐사
9) 태안 마도 2호선
10) 태안 마도 3호선
11) 신안군 신안선
12) 진도 벽파리 통나무배
3. 조선시대 이 충무공 해전유물 탐사
4. 근현대 동아시아 해역 탐사 - 돈스코이호

Ⅳ. 해외 사례와의 비교
1. 대형 범선의 계획적 발굴조사
1) 스웨덴의 바사호(Vasa)
2) 영국의 메리로즈호(Mary Rose)
3) 중국의 남해 1호
4) 한국 사례들과의 비교
2. 가물막이(Cofferdam)를 이용한 발굴조사
1) 스쿨델레브(Skuldelev)
2) 요크타운(Yorktown)
3) 벨호(Belle)
4) 한국 사례 - 목포 달리도배 등과의 비교
3. 지중해 청동기시대 침몰선
1) 케이프 겔리도니아(Cape Gelidonya)
2) 울루부룬(Uluburun)
3) 한국 사례 - 자연 환경과 고려 한선 등과의 비교

Ⅴ. 우리나라 수중고고학의 미래
1. 사회적 배경
2. 학술 및 기술적 배경

맺음말
참고문헌
Author
김도현
경남고등학교, 서울대학교 해양공학과를 졸업하고 현대건설 해양산업 분야에서 근무하였으며, 이후 한국해상기술 대표이사, 대한수중과학회 회장, 잠수명장을 지냈다. 또한 대한민국건설대상 건설기능상 금상과 제1회 바다의 날 산업포장을 받았다. 우리나라 최고의 잠수 명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잠수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도 수행하였으며, 부경대학교 사학과에서 수중고고학 분야 최초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방글라데시 국가 초청으로 잠수 기술을 가르쳤고, 부경대학교에서도 수중고고학을 강의하였다. 이 책은 김도현의 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국내 자료뿐만 아니라 수중고고학 관련 자료를 직접 외국에 가서 수집해 왔다. 논문은 그의 오랜 잠수 경력과 잠수에 대한 열정이 낳은 결과물이다. 효성도 지극하여 늘 어머님을 찾아뵈었고, 어머님이 세상을 버리시자, 그도 뒤를 따를 듯 이 세상을 떠났다. 그는 서둘러 떠났으나, 그의 뜨거운 가슴은 여기에 남았다.
경남고등학교, 서울대학교 해양공학과를 졸업하고 현대건설 해양산업 분야에서 근무하였으며, 이후 한국해상기술 대표이사, 대한수중과학회 회장, 잠수명장을 지냈다. 또한 대한민국건설대상 건설기능상 금상과 제1회 바다의 날 산업포장을 받았다. 우리나라 최고의 잠수 명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잠수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도 수행하였으며, 부경대학교 사학과에서 수중고고학 분야 최초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방글라데시 국가 초청으로 잠수 기술을 가르쳤고, 부경대학교에서도 수중고고학을 강의하였다. 이 책은 김도현의 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국내 자료뿐만 아니라 수중고고학 관련 자료를 직접 외국에 가서 수집해 왔다. 논문은 그의 오랜 잠수 경력과 잠수에 대한 열정이 낳은 결과물이다. 효성도 지극하여 늘 어머님을 찾아뵈었고, 어머님이 세상을 버리시자, 그도 뒤를 따를 듯 이 세상을 떠났다. 그는 서둘러 떠났으나, 그의 뜨거운 가슴은 여기에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