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는 우리들에게 삶의 양식에 대한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날로 발전하는 기술은 사람들의 일하고 놀고 움직이는 방법, 생각하는 관점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과 대안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새로운 사회의 새로운 정부의 역할도 지배가 아닌 조정으로 변화할 때다. 각 부처는 조정부가 되어 이해갈등을 조정하고 중재하는 본연의 임무를 찾아야 한다. 수많은 법률과 규정은 더 이상 일의 진행을 가로막기보단 행정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국민의 욕구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이어야 한다.
이 책은 이런 사회적 흐름과 목적을 놓치지 않으면서 행정학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쉽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입문서가 되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부피를 줄이면서도 전체적인 통일성에 심혈을 기울이려고 노력하였다. 대학 강의를 목적으로 책을 썼는데 마치고 나니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앞으로 독자 여러분들의 지도편달을 통해 계속 버리고, 다듬고, 채우는 일에 소홀함이 없도록 할 것이다.
Contents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1. 행정의 개념규정
2. 행정개념의 특성
3. 행정과 경영
4. 행정학을 왜 공부하는가?
제2장 행정과 환경
1. 머리말
2. 행정과 정치의 관계
3. 행정과 법의 관계
4. 행정과 경제의 관계
5. 행정과 사회의 관계
6. 행정과 세계화의 관계
7. 행정과 문화의 관계
제3장 정보사회와 행정의 변화
1. 행정의 역할과 기능
2. 정보화와 행정
3. 전자정부와 행정
4. 지식정부
5. 정보화와 행정의 변화
제4장 행정학의 형성배경
1. 행정학의 기원
2. 미국 행정학의 형성배경
3. 과학적 관리론
4. 인간관계론
제5장 행정이론의 변천
1. 미국의 행정학
2. 한국의 행정학
제6장 행정학의 연구
1. 행정가치
2. 행정이념
3. 행정변수
4. 행정과정
5. 행정학의 성격
6. 행정학연구의 특성
제7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1. 행정책임
2. 행정통제
제8장 정부와 시장
1. 정부와 시장의 의의
2. 시장실패와 정부개입의 근거
3. 정부규제
4. 정부실패의 유형
제9장 정책학이란 무엇인가?
1. 정책이란 무엇인가?
2. 정책과정이란 무엇인가?
제10장 행정조직이란 무엇인가?
1. 조직이란 무엇인가
2. 조직연구의 두 분류
3. 조직이론이란 무엇인가?
4. 관료제
5. 우리나라 정부조직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