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목적은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1392∼1910)에 이르기까지 불교와 일정한 관련을 가진 국왕들의 불교관과 치국책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 대상 국왕들은 삼국시대의 법흥왕(514~40), 진흥왕(540~76), 선덕여왕(632~47), 문무왕(661~81), 경덕왕(742~65), 고려시대(918~1392)의 태조(918~43), 현종(1009~31), 고종(1213~59), 조선시대의 세종(1418~50), 세조(1455~68), 명종 대(1545~67) 및 정조(1776~1800)며, 국왕들의 불교관에 대한 분석은 불?법?승 삼보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치국책에 대한 분석은 그들의 왕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Contents
감사의 말씀
일러두기
머리말
1. 연구사
2. 일차 자료
3. 연구 방법론
제1부 삼국시대 지식인의 불교관과 치국책
들어가는 글
제1장 지식인의 불교관
1. 임금의 불교관
2. 왕족의 불교관31
3. 승려의 불교관
4. 관리의 불교관
제2장 불교관 분석
1. 지식인의 불교관 분석
2. 명승들의 불교관 분석
3. 관리들의 불교관 분석
4. 고대 한국불교의 성격
제3장 치국과 불교
1. 임금의 일차적 임무
2. 불교식 왕호 사용
3. 충과 효의 강조
4. 국가의 승단 통제
5. 역사적 평가
제2부 고려시대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들어가는 글
Ⅰ. 정치 구조
Ⅱ. 종교 상황
1. 유교
2. 불교
제1장 태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태조와 불교
1. 보살계 수지
2. 불교 개념 및 교리
3. 창사
4. 불교의례 개최
5. 풍수지리설
6. 승직 제정
Ⅱ. 태조의 불교관 분석
1. 불보관 분석
2. 법보관 분석
3. 승보관 분석
Ⅲ. 치국과 불교
1. 태조의 왕권
2. 정치 이념
3. 정치적 환경
4. 치국책
5. 역사적 평가
제2장 현종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현종과 불교
1. 창사
2. 불교의례 개최
3. 『초조고려대장경』 조판
Ⅱ. 현종의 불교관
1. 불보관
2. 법보관
3. 승보관
Ⅲ. 치국과 불교
1. 시대 배경
2. 불교 정책
제3장 고종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고종과 불교
1. 불교의례 개최
2. 『재조고려대장경』 조판
Ⅱ. 고종의 불교관
1. 불보관
2. 법보관
3. 승보관
Ⅲ. 치국과 불교
1. 고종의 왕권
2. 역사적 배경
3. 치국책
제3부 조선시대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들어가는 글
제1장 세종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세종과 불교
Ⅱ. 세종의 불교관 및 분석
1. 세종의 불교관
2. 세종의 불교관 분석
Ⅲ. 치국과 불교
1. 세종의 왕권
2. 세종 대 불사의 공공성
3. 세종의 정치적 대응
제2장 세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세조와 불교
1. 세조와 불서
2. 불교 이해
Ⅱ. 불교관 분석
1. 유교 대 불교
2. 불교관 분석
3. 승보관
Ⅲ. 치국과 불교
1. 내치와 불교
2. 신불과 외교
제3장 명종 대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문정왕후의 불사
1. 양종 부활
2. 도승제 및 승과제도 부활
3. 화불 제작 후원
Ⅱ. 문정왕후의 정치
1. 공식 정치
2. 비공식 통치
Ⅲ. 치국과 불교
1. 지적 수준
2. 재정적 기반
3. 수렴청정 분석
4. 불사 분석
제4장 정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정조의 불교관
1. 유불관
2. 불교관
3. 승보관
Ⅱ. 불교관 분석
1. 불교 이해 분석
2. 시기별 이해 및 지역성 분석
3. 불전 및 불교 개념 분석
4. 불교사상 분석
Ⅲ. 치국과 불교
1. 치국책
제4부 종합 분석
들어가는 말
Ⅰ. 국왕의 불교관 평가
1. 중국의 영향
2. 불보관 평가
3. 법보관 평가
4. 승보관 평가
5. 불교의 기능 평가
Ⅱ. 국왕의 치국책 평가
1. 맹목적 전통 존중
2. 치국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