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오랫동안 함께 연구를 하게 된 저자들이 ‘지방의 경쟁력, 지방과 수도권의 격차, 좋은 학교, 진로, 교육청, 학교운영위원회, 재정, 학부모회’ 등을 ‘지방’의 관점에서 다시 보기를 시작하였고, 지방의 교육이 수도권 못지않게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등 지방교육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했다. 그 결과로 만들어진 이 책은 지방교육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내용을 담아 지방교육의 현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 나아가 지방교육의 희망과 비전을 이야기하는 데 중요한 초석이 되도록 만들었다.
Contents
머리말
01. 지방교육과 경쟁력은 어떤 관계인가?- 최영출(충북대)
지방교육과 경쟁력 바로 알기
지방교육의 경쟁력은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학교와 교실 개방: 영국 사례
지방교육의 경쟁력은 학생의 성취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다
02. 지역 간 교육격차,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까?- 이혜정(한남대)
지역 간 교육격차는 왜 나타나는 것일까?
우리나라의 지역 간 교육격차, 어느 정도일까?
교육격차,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교육격차를 해결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지역격차 해결, 배려와 나눔의 실천이 필요하다
03. 우리 동네와 학교의 교육문제, 누가 어떻게 결정하나?- 박수정(충남대)
학교교육은 기본적으로 ‘지역’의 일
지역 안에서 독립적인 교육행정
교육감과 교육의원
‘학교운영위원회’를 아십니까?
지방교육의 발전을 위한 첫걸음: 우리 동네 교육에의 참여
04. 우리 지역, 우리 학교에서는 진로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이지혜(서원대)
우리 지역의 진로 정보
우리 학교의 진로교육
학교급에 따른 진로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05. 지방에도 좋은 학교가 많이 있다- 이인회(제주대)
좋은 학교는 어떤 학교인가?
좋은 학교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좋은 학교를 어떻게 만드는가?
지방에도 좋은 학교가 있다
06. 지역의 교육청은 어떻게 구성되고, 누가 무슨 일을 할까?- 오세희(인제대)
지방의 교육행정기관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교육청은 무슨 일을 하는가?
교육청에는 누가 근무하는가?
교육청과 일반자치단체는 어떤 관계인가?
07. 지방교육에 필요한 돈은 어떻게 모으고, 쓰일까?- 김민희(대구대)
지방교육에 필요한 돈은 어떻게 모으고 있을까?
지방교육에 필요한 돈은 어디에 쓰일까?
지방교육에 필요한 돈을 어디에 쓸지는 누가 정할까?
지방교육에 필요한 돈은 누가 부담해야 하며, 누가, 어떻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08. 지방교육, 학부모가 움직여야 한다- 이영찬(교육부)
학부모의 학교 참여가 중요하다
학부모는 어떤 방법으로 학교 참여활동을 할 수 있을까?
학부모의 자녀교육 역량을 어떻게 제고할 수 있을까?
학부모 지원 조직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학부모 학교 참여 과제는?
09. 농어촌교육 살리기, 지방교육의 희망- 김민희(대구대)
농어촌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농어촌교육은 정말 문제일까?
농어촌교육을 살리기 위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