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이동, 빈곤의 세계화, 양극화, 이질성, 사회통합 등의 키워드를 포함하여 다문화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의 증진은 다문화현상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이질성을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이루는 초석이 된다. 즉, 모든 구성원에게 통일된 가치관으로 동화될 것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사회만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성과 공존'의 자원과 역량이 발휘되는 거버넌스를 궁극적인 목표로 지향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01 시민권과 문화적 정체성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담론과 현실
Ⅲ. 이주노동자의 권리의 정치
Ⅳ. 정체성과 권리
Ⅴ. 나가는 말
02 다문화사회의 인권
Ⅰ. 들어가는 말: 다문화사회 통합 조건으로서의 약자의 인권
Ⅱ. 보편적 권리와 정의
Ⅲ. 한국 내 체류 외국인 인권 현황
Ⅳ. 한국 다문화사회 통합 정책과 현황에 나타나는 문제점
Ⅴ. 다문화사회의 민주화: 문화적 권리와 민주주의
Ⅵ. 나가는 말
03 거버넌스와 다문화사회
Ⅰ. 들어가는 말
Ⅱ. 거버넌스의 시대
Ⅲ. 다문화사회의 거버넌스
Ⅳ. 거버넌스의 유형
Ⅴ. 민주주의와 거버넌스의 딜레마
Ⅵ. 나가는 말
04 다문화정책과 지역거버넌스
Ⅰ. 들어가는 말: 다문화정책과 거버넌스
Ⅱ. 지자체의 다문화정책
Ⅲ. 다문화 지역거버넌스의 모색
Ⅳ. 지역거버넌스의 구축 사례
Ⅴ. 나가는 말
05 외국인력과 사회통합
Ⅰ. 들어가는 말
Ⅱ. 외국인력의 영향과 사회통합
Ⅲ. 외국인력 체류 및 귀국지원과 사회통합
Ⅳ. 나가는 말: 외국인력 사회통합 정책과제
06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정책
Ⅰ. 들어가는 말: 다문화사회로의 변화
Ⅱ. 다문화가정 자녀의 현황과 특성
Ⅲ. 외국인 이주노동자가정 자녀의 교육적 삶
Ⅳ. 나가는 말
07 사회권과 이주자를 위한 사회복지
Ⅰ. 들어가는 말: 이주자의 사회권과 사회복지
Ⅱ. 누가 사회권을 정의하고 규정하는가?: 이주자의 사회권
Ⅲ. 이주자의 사회권과 관련된 영역
Ⅳ. 사회권은 어떻게 실현되는가?: 우리나라에서 이주자들을 위한 사회복지
Ⅴ. 이주자를 위한 정책과 법
Ⅵ. 이주자들의 사회권은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가: 법과 현실의 격차
Ⅶ. 이주자를 위한 사회권 실현은 가능한가?
08 다문화사회에서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
Ⅰ. 들어가는 말
Ⅱ. 다문화사회와 문화: 문화의 정의와 특성
Ⅲ. 문화다양성의 정치적 차원
Ⅳ. 문화다양성의 경제적 차원
Ⅴ. 문화다양성 확보에 있어서 문화예술의 역할과 기능
Ⅵ.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