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총체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에너지, 즉 커뮤니케이션 파워를 회복하는 것이다. 우리사회 위험의 근본적인 예방 및 사후처방은 커뮤니케이션의 회복에 있다고 하여도 지나친 주장이 아니다. 위험을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할지에 대한 논의는 이제 위험거버넌스라는 개념을 끌어들이고 있다. 『위험거버넌스와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는 이러한 위험거버넌스를 논하기 위하여 무엇이 필요한지를 전반부에서 설명하였고, 후반부에서는 위험사회로 진입하는 한국 사회의 새로운 모습을 ‘생활 리스크’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논하였다. 이제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도 새로운 문제의식과 주제를 도입하여 한국사회의 위험현안을 다루어야 할 시점이다.
Contents
머리말
Chapter 1. 위험거버넌스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방향
1. 위험개념의 확장과 넓어지는 맥락
2. 사전평가의 단계
3. 위험평가
4. 위험인식의 다변성
5. 위험사정평가
6. 위험의 유형분류
7. 위험의 수용성 논쟁과 특성
8. 위험커뮤니케이션
Chapter 2. 위험사회로 진입하는 한국사회
1. 위험개념의 변화와 사회변동
2. 현대사회 리스크의 양상과 특징
Chapter 3. 위험사회 그리고 미디어와 나노공학
1. 위험 불확실성 그리고 사회적인 가치
2. 위험사회와 위험한계의 중재
Chapter 4. 유럽의 과학커뮤니케이션 동향
1. 서론
2. 유럽인과 과학정보
3. 유럽의 과학자들과 의사소통
4. 과학과의 커뮤니케이션: 새로운 사회적 책무인가
Chapter 5. 원자력에너지와 사회적 갈등, 미디어 보도와 수용 이슈
1. 위험갈등의 생성조건
2. 위험논쟁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커뮤니케이션
3. 위험커뮤니케이션과 원자력에너지 논쟁에서 끌어낼 수 있는 소결론
Chapter 6. 생명공학과 과학기술 그리고 공론장
1. 서론
2. 과학적인 윤리문제
3. 기술 관료적인 과학기술에 대한 공공의 문제
4. 공론장의 특징
5. 정책, 미디어, 그리고 공중 인식의 일치
6. 생명공학기술과 윤리의 문제
Chapter 7. 매스미디어의 보도와 위험인식
1. 서언
2. 위험보도의 특징
3. 위험정보에 대한 기자들의 논의
4. 개인들의 위험인지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