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도시공간정치 이론, 역사환경 특성분석 이론, 그리고 인지요소 도출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 등의 적극수용을 통한 역사도시의 가치설정 방법론을 제안하고, 국내 대표적 역사도시인 공주 · 부여 · 경주 등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현대사회에서 새로운 가치로서 역사도시
1. 문제 제기
2. 대상지의 범위와 방법
1) 대상지의 범위
2) 구체적 접근 방법 및 구성
3) 용어의 개념 및 정의
3. 선행연구의 검토
1) 선행연구의 경향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저서의 구성
제2장 역사도시와 역사환경의 보전 및 가치
1. 역사도시의 개념 및 유형
1) 역사도시의 개념
2) 역사도시의 유형
2. 역사환경의 보전이론과 유형
1) 역사환경의 보전이론과 경향
2) 국제기구에 의한 보전경향
3) 역사환경보전의 유형
4) 보전의 범위
5) 쟁점과 시사점
3. 국내ㆍ외 역사도시의 역사환경보전 현황
1) 국내 역사도시의 역사환경보전을 위한 법ㆍ제도의 변천
2) 국외 역사도시의 역사환경보전 현황
4. 현대사회에서 역사도시의 재논의
1) 현대사회와 역사도시, 그리고 가치의 논의
2) 역사도시의 기능과 역할
3) 소결
제3장 역사도시의 가치설정과 분석의 틀
1. 역사도시 가치설정의 배경 및 필요성과 가능성
1) 역사도시 가치설정의 배경
2) 역사도시 가치설정의 필요성과 가능성
3) 소결
2. 역사도시의 가치설정을 위한 방법론의 제안
1) 구성체계의 제안
2) 가치설정의 이론적 배경 및 구성체계
3) 역사도시에 대한 인지요소 설정
4) 소결
3. 분석의 틀 설정
1) 가치설정을 위한 분석의 틀 제안
2) 소결
제4장 도시공간정치이론에 의한 역사도시의 분석
1. 접근성과 거리화에 따른 실천분석
1) 공간적 실천(경험)
2) 공간의 재현(지각)
3) 재현의 공간(상상)
4) 소결
2. 공간의 전유 및 활용에 따른 실천분석
1) 공간의 실천(경험)
2) 공간의 재현(지각)
3) 재현의 공간(상상)
4) 소결
3. 공간의 지배 및 통제에 따른 실천분석
1) 공간적 실천(경험)
2) 공간의 재현(지각)
3) 재현의 공간(상상)
4) 소결
4. 공간의 생산에 따른 실천분석
1) 공간적 실천(경험)
2) 공간의 재현(지각)
3) 재현의 공간(상상)
4) 소결
5. 도시공간정치이론에 의한 공주ㆍ부여ㆍ경주의 가치 제안
제5장 역사도시 구도심지역의 역사환경 특성 분석
1.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1) 공주
2) 부여
3) 경주
4) 소결
2. 도시조직의 형성과 변화
1) 공주
2) 부여
3) 경주
3. 역사환경(요소)의 특성
1) 공주
2) 부여
3) 경주
4. 역사환경 측면에서의 가치 비교
1) 역사환경 측면에서 공주ㆍ부여ㆍ경주의 가치
2) 역사환경 측면에서 공주ㆍ부여ㆍ경주의 상호 비교
제6장 역사도시의 가치
1. 역사도시 공주ㆍ부여ㆍ경주의 가치유형
2. 역사도시의 가치설정 3층위에 의한 가치
1) 도시공간정치 측면에서의 가치
2) 역사환경 측면에서의 가치
3) 인지요소 측면에서의 가치
4)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