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겨레는 일상생활에서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공경하고 윗사람은 아랫사람에게 인자함을 베풀어 서로 돌보는 도리를 문화적 가치로 오랜 세대에 걸쳐 실행해왔다. 이와 같은 세대 간의 서로 돌보는 관계는 효(孝)가 뜻하는 바와 같은 것이다. 하지만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생활방식의 변화, 가족원 수의 감소, 따로 사는 자녀의 증가 등의 사회변동으로 인해 효(孝)문화에도 위기가 찾아왔다.
이런 변화과정에서 우리의 서로 돌보는 관습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 것일까? 또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서로를 돌보아 나가야 할까? 『서로 돌봄』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 사회와 중국, 일본, 미국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로 돌봄'에 관한 여러 차례의 사회조사를 종합해서 논의한 책이다. 총 3부로 구성되었으며 돌봄의 바탕은 인간애, 즉 인의 가치라는 점을 전제로 두고, 서로 돌봄과 국가가 개발하는 사회보장이 조화되어 궁극적으로 한국적 사회복지를 이룩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방향 : 서로 돌봄 - 넓은 사랑의 실현
제1장 서로 돌봄 - 주고받는 관계
제2장 은혜에 대한 감사와 의무
제3장 서로 의존하며 돌보는 세대
제4장 서로 섬기는 세대
제5장 내면적 돌봄과 외면적 돌봄
제6장 서로 섬김의 예절
제2부 실천 : 변하는 돌봄 방식
제7장 변하는 가족과 돌봄
제8장 별거하는 자녀와 돌봄
제9장 별거와 서로 돌봄 - 사례
제10장 고령자가 필요로 하는 돌봄
제11장 위급할 때의 돌봄
제12장 돌봄을 위한 사회적 지원망
제13장 돌봄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제3부 이념 : 이어지는 전통
제14장 부모 돌봄의 전통적 뜻과 실천
제15장 부모를 돌보는 이유 : 전통적 가치
제16장 존경의 전통적ㆍ현대적 표현
제17장 전통적 가족 중심의 호혜적 성향
제18장 공통적 돌봄의 관행 - 동아시아 사람들의 특성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성규탁
충북 청주중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 하였다.. 미국 미시간대학교(앤아바) 사회사업학 및 정치학 박사. (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 사회사업대학원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초대소장. 미국시카고 대학교 Fellow(동아시아가족연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교수. 미국 남가주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석좌교수. 미국 미시간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초빙 교수. Elder Respect, Inc. 대표. 효문화연구소 소장. (전) 한국사회복지학회 회장. 한국노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충북 청주중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 하였다.. 미국 미시간대학교(앤아바) 사회사업학 및 정치학 박사. (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 사회사업대학원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초대소장. 미국시카고 대학교 Fellow(동아시아가족연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교수. 미국 남가주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석좌교수. 미국 미시간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초빙 교수. Elder Respect, Inc. 대표. 효문화연구소 소장. (전) 한국사회복지학회 회장. 한국노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