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옛적부터 노소가 서로 사랑하고 보살피는 생활관습을 간직해 온 민족이다. 어른은 어린 사람을 인자하게 돌보고 젊은 사람은 어른을 받들어 돌보는 서로 섬기는 예절을 지켜 왔다. 그러나 그동안 시대적 배경이 빠르게 변화되어 왔고 가정에서의 환경 및 역할의 변화가 지속되어 왔으며 또한 전반적인 생활방식이 변화되면서 우리의 전통적인 섬김의 방식이 점차 바뀌고 있고 때로는 각 상황에 대하여 적절히 섬기기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이제 전반적인 새 시대에도 적합한 서로 섬김의 방식을 정리, 학습,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한국, 중국, 일본에서 조사해 본 결과 크게 13가지의 다양한 방식들이 조사되었으며 서로 다른 부분도 있으나 대부분의 방식들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이 방식들을 종합적으로 잘 이해하고 우리의 생활 속에서 실행해 나아가야 함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우리는 가족에서부터 우리의 이웃까지, 더 나아가 사회의 모든 사람들을 위한 넓은 범위까지 서로 섬김의 에티켓이 다져지길 바라며 이를 위해 이 책의 방식들이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충북 청주중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 하였다.. 미국 미시간대학교(앤아바) 사회사업학 및 정치학 박사. (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 사회사업대학원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초대소장. 미국시카고 대학교 Fellow(동아시아가족연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교수. 미국 남가주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석좌교수. 미국 미시간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초빙 교수. Elder Respect, Inc. 대표. 효문화연구소 소장. (전) 한국사회복지학회 회장. 한국노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충북 청주중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 하였다.. 미국 미시간대학교(앤아바) 사회사업학 및 정치학 박사. (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메디슨) 사회사업대학원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초대소장. 미국시카고 대학교 Fellow(동아시아가족연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교수. 미국 남가주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석좌교수. 미국 미시간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초빙 교수. Elder Respect, Inc. 대표. 효문화연구소 소장. (전) 한국사회복지학회 회장. 한국노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