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비선호시설 입지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거버넌스 구성요인이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참여적 지역 거버넌스 모형에 주민 비선호시설 갈등사례를 적용하여 모형의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모형을 통한 사례를 분석한 내용을 담았다.
이 책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부에서는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왜 갈등관리가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보았고 제2부에서는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배경에 대해 담았다. 제3부에서는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갈등사례의 분석을 살폈는데 과천시 기무사 이전, 영월 동강댐 건설, 위천공단 조성 그리고 인천 동춘동 화물터미널 건립을 사례로 하였다. 제4부에서는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사례분석의 비교 및 평가를 하였고, 제5부에서는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새로운 방향 제시를 하였다.
Contents
제1부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왜 갈등관리가 중요한가
제1장 새로운 갈등관리의 필요성과 연구체계
1. 갈등관리 연구의 필요성
2. 갈등관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4. 연구의 방법
제2부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배경
제2장 거버넌스와 갈등관리
1. 거버넌스의 대두
2. 거버넌스 의미의 다양성
3. 참여적 지역거버넌스의 중요성
제3장 갈등관리디자인, 갈등이론과 비선호시설의 입지갈등
1. 갈등의 개념과 특성
2. 비선호시설의 개념과 특성
3. 비선호시설 입지갈등의 유형 및 현황
4. 4가지 갈등사례
제4장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의 틀
1. 선행연구 검토
2. 분석의 기본 모형
3. 분석의 틀: 독립변수의 범주
제3부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갈등사례의 분석
제5장 과천시 기무사 이전
1. 사례의 개요
2. 사업의 성격
3. 이해관계자의 가치관과 태도
4. 관리조정기구의 책임성
5. 갈등해결과정의 투명성
6. 소결론
제6장 영월 동강댐 건설
1. 사례의 개요
2. 사업의 성격
3. 이해관계자의 가치관과 태도
4. 관리조정기구의 책임성
5. 갈등해결과정의 투명성
6. 소결론
제7장 위천공단 조성
1. 사례의 개요
2. 사업의 성격
3. 이해관계자의 가치관과 태도
4. 관리조정기구의 책임성
5. 갈등해결과정의 투명성
6. 소결론
제8장 인천 동춘동 화물터미널 건립
1. 사례의 개요
2. 사업의 성격
3. 이해관계자의 가치관과 태도
4. 관리조정기구의 책임성
5. 갈등해결과정의 투명성
6. 소결론
제4부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사례분석의 비교 및 평가
제9장 사업의 성격
1. 사회적 인식
2. 사전협의
3. 경제적 효과
제10장 이해관계자의 가치관과 태도
1. 정부에 대한 신뢰성
2. 보상 여부
3. 이익갈등과 가치갈등
제11장 관리조정기구의 책임성
1. 리더십
2. 전문성
3. 정책의지
4. 관리체제 운영
제12장 갈등해결과정의 투명성
1. 참여도
2. 홍보와 교육
3. 정보공개
4. 여론
제13장 갈등조정의 성공ㆍ실패요인
제5부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 새로운 방향 제시
제14장 요약
제15장 새로운 갈등관리디자인을 위한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