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의 구조와 논리에 대해, 행정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책에서는, 행정과 행정학의 구조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행정과 행정학의 다양한 논리와 가치를 ‘비빔밥 행정론’의 관점에서 다룬다. 정책과 정책학의 개념과 구조를 논의하고, 정부예산의 이해, 예산이 결정되고 집행되는 과정 그리고 예산제도의 문제점을 개혁하는 과정과 제도에 대해 다룬다. 또한 공무원의 행동규범과 행정책임 그리고 행정통제와 행정개혁의 문제를 논의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행정과 행정학의 구조
제1장 행정의 개념과 구조
제2장 시장과 시민사회 그리고 행정
제1절 시장
제2절 시민사회
제3절 행정과 정부
제2부 행정학의 논리
제3장 행정학의 논리와 가치
제1절 행정학의 논리와 가치
제2절 행정학의 다양한 논리-맛있는 ‘비빔밥 행정학’을 위하여
제3절 프레임과 행정학의 논리
제4장 행정이론의 진화
제1절 미국 행정학의 성립과 발전
제2절 새로운 행정이론의 탄생
제3절 토론
제3부 정책이론의 구조와 논리
제5장 정책과 정책학
제1절 정책과 정책의 유형
제2절 정책학의 구조와 논리
제6장 정책결정론
제1절 정책결정의 의의와 유형
제2절 합리적ㆍ분석적 정책결정과 절차
제3절 정책결정모형
제7장 정책집행론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와 유형
제2절 정책집행이론의 전개
제8장 정책평가론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제2절 정책평가의 유형
제3절 정책평가의 타당성
제4절 정책평가의 방법
제5절 우리나라의 정책평가
제4부 조직이론의 구조와 논리
제9장 조직구조와 관료제
제1절 조직구조와 관료제의 의의
제2절 Max Weber의 관료제 모형
제3절 관료제와 민주주의
제4절 탈관료제와 관료제의 개혁
제10장 조직과 인간-인간관과 동기부여이론
제1절 내용이론
제2절 과정이론
제3절 토론
제11장 조직관리와 리더십
제1절 조직관리와 리더십의 의미
제2절 리더십의 본질
제3절 리더십이론
제4절 토론
제5부 인사행정의 구조와 논리
제12장 인사행정의 제도와 논리
제1절 직업공무원제와 효율성
제2절 엽관주의와 민주성
제3절 실적주의와 효율성
제4절 대표관료제와 형평성
제13장 공직분류체계의 구조와 논리
제1절 공직분류체계와 공직분류제도
제2절 직위분류제
제3절 계급제
제14장 인적 자원의 관리
제1절 인력계획
제2절 임용
제3절 교육훈련과 평정제도
제4절 보수
제5절 신분보장과 징계
제6부 재무행정의 구조와 논리
제15장 정부예산의 이해
제1절 정부예산 운영의 논리
제2절 정부예산의 구조
제16장 예산과정과 예산개혁
제1절 예산관계 조직과 예산주기
제2절 예산결정기관의 역할 및 행태
제3절 예산과정
제4절 예산제도와 예산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