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제도의 개혁은 행정의 효율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공 조직이 민간기업의 경영기법을 도입하는 등 공직제도의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책은 이러한 공직사회의 개혁을 국가의 최고규범인 헌법적 측면에서 조망해 본 시도이다. 신공공관리론에 바탕을 둔 공직제도의 개혁을 직업공무원제도 등에 근거해서 헌법적으로 자세히 살펴본다.
Contents
제1장 序 論
제2장 行政改革의 正當化要素로서 行政 效率性과 그 憲法的 限界
제1절 서설
제2절 행정 효율성의 이론적 근거
Ⅰ. 서설
Ⅱ. 신공공관리론의 특징
Ⅲ. 신공공관리론의 한계
제3절 헌법적 한계의 이론적 근거
Ⅰ. 서설
Ⅱ. 제도보장으로서 직업공무원제도
Ⅲ. 직업공무원제도의 내용
제4절 검토
제3장 契約職 公務員의 擴大
제1절 서설
제2절 공직인력의 이원화
Ⅰ. 서설
Ⅱ. 공무원의 개념
Ⅲ. 공무원의 종류
제3절 공직구조의 형성원리
Ⅰ. 서설
Ⅱ. 공직분류의 체계
Ⅲ. 인사체제의 유형
Ⅳ. 우리나라의 공직구조와 인사체제
제4절 직업공무원제도의 본질적 내용
Ⅰ. 서설
Ⅱ. 기능유보
Ⅲ. 구조적 보장
제5절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