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학의 인재경영

성공을 향한 CEO들의 인재경영 핵심
$20.41
SKU
978892680189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8/31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26801895
Categories 종교 > 역학/사주
Description
이 책은 『인물지』와 상학문헌에 나타난 인재사상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인물지』와 상학의 인재사상이 서로 연계성이 있음을 밝히고, 나아가 양자의 ‘지인법’을 접목시켜 인재식별과 인재등용이 현대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상학과 『인물지』의 ‘지인법’과 ‘인재론’을 융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인재를 선별하여 ‘적재적소에 맞는 인물배치를 구현’한다면 인간경영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한발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Ⅰ. 서론

Ⅱ. 『인물지』(人物志) 성립의 시대적 배경
1. 중국 고대에서의 인재론
1) 선진 시대의 인재사상
2) 한·위진 시대의 인재사상
3) 고대의 인재선발제도
2. 유소의 생애와 『인물지』 판본
1) 『인물지』의 저자 유소
2) 『인물지』 판본
3. 『인물지』 찬술의 정치·사회적 기반

Ⅲ. 『인물지』의 인재론
1. 『인물지』의 사상적 연원
1) 『인물지』의 사상
2) 『인물지』에 나타난 제가(諸家)의 사상
2. 이상적인 인간상
1) 성인론(聖人論)
2) 영웅론(英雄論)
3. 인재식별과 인재등용
1) 인재식별의 이론적 기초
2) 인재에 대한 분류와 특징
3) 재리(材理)와 재능(材能)에 따른 인재등용

Ⅳ. 상학(相學)에서의 실천적 인재론
1. 상학의 기원과 이론체계
1) 상학의 성립과 발전
2) 상학이론의 형성과 전개
2. 상학의 ‘지인지감법’(知人之鑑法)
1) 상학의 기본이론
2) 상학의 인물 관찰법
3. 상학에서의 인재론
1) 상학 문헌에서의 인재관
2) 인재의 상

Ⅴ. 『인물지』의 상학적 접근
1. 『인물지』와 상학의 연계성
1) 『인물지』와 상학의 이론적 유사성
2) 인재론으로서의 상학
2. 인재론이 후대에 미친 영향
3. 인재론의 현대적 의의

Ⅵ. 결론

참고문헌
Author
김연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