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를 아우르며
웅장한 역사적 사건부터 생생한 일상적 풍경까지 입체적으로 서술한 유럽사 입문의 교과서
유럽사를 알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의 회원국이 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한국이 2011년 7월 유럽연합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여러 해 전부터 우리나라에 닥쳐온 경제적 어려움이 유럽의 재정 위기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알 수 있듯이 이제 우리나라와 유럽은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와 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유럽과의 경제ㆍ정치ㆍ문화적 교류는 우리에게 유럽과 유럽인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춰 『하룻밤에 읽는 유럽사』는 지도, 도표, 역사 메모, 칼럼 등 다양하고 입체적인 자료들을 바탕으로 쉽고 재미있게 유럽사를 소개한다. 비교적 잘 알려진 스펙터클한 사건들은 물론 정치ㆍ사회ㆍ경제 구조와 일상적인 문화ㆍ종교 생활의 모습도 함께 제시하여 다각도에서 유럽의 모든 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Contents
개정증보판 서문
초판 서문
제1장 유럽 역사의 여명
유럽의 정체성
선사 시대의 유럽
유럽 역사의 개막
column
◆ 불확실한 먼 옛날의 역사
제2장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
폴리스의 탄생
고대 그리스의 민주정치
고대 그리스 철학의 세계
폴리스 세계의 종말과 헬레니즘
로마의 탄생과 성장
로마 공화정의 정치 체제와 군대
로마 공화정의 위기와 군인정치가
로마 제국의 성립
로마의 평화(Pax Romana)
제정 후기의 로마
로마의 주변인들 : 여자와 노예
로마의 종교
로마의 법률
로마의 건축
column
◆ 고대 그리스의 유명 인사 어록(語錄)
◆ 여자는 폴리스의 시민이 아니었다
◆ 벌거숭이 남자들의 운동회, 올림픽
◆ 로마 황제를 부르는 이름
◆ 로마를 지탱한 보호-피호 제도
제3장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
프랑크 왕국과 카롤루스 대제
프랑크 왕국의 분열
비잔틴 제국의 성쇠
로마 가톨릭교회
비잔틴 제국의 그리스정교
그리스정교의 성장과 동·서 교회의 분열
column
◆ 바이킹이 남쪽으로 내려간 까닭은?
◆ 전쟁으로 점철된 『카롤루스의 일생』
제4장 유럽의 중세
주종제의 성립
장원제의 출현
중세 그리스도교
봉건 사회의 농업 경제
중세 초의 프랑스
봉건 국가 영국
봉건 국가 독일
스칸디나비아의 봉건 국가
교회 권력과 정치권력
십자군 전쟁
중세 유럽의 상업
중세 도시
중세의 이단
중세 봉건 왕정의 변신
스콜라 철학
중세 대학
기사도
column
◆ 문서로써 규정된 ‘하나님의 휴전(休戰)’
◆ 십자군의 시작과 끝
◆ 무훈시(武勳詩) 속의 중세 기사들
◆ 숙명의 라이벌, 그레고리우스 7세와 하인리히 4세
제5장 봉건 체제의 동요와 근대의 서막
100년 전쟁
흑사병과 민중 반란
중세 말 로마 가톨릭교회의 위기
르네상스
종교 개혁
대항해 시대
column
◆ ‘구원’과 ‘신앙’을 위한 설전
◆ 루터의 변신 혹은 또 하나의 선택
◆ 마녀 사냥
제6장 근대 유럽
에스파냐 제국
네덜란드의 독립과 발전
근대 프랑스의 절대주의
영국의 의회민주주의
근대 유럽의 패권 쟁탈전
북유럽의 주도권 다툼
과학 혁명
계몽주의 사상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시대
자유주의 시대
독일과 이탈리아의 통일
산업 혁명
사회주의
유럽의 제국주의
column
◆ ‘공포’로써 보위된 ‘덕(德)의 공화국’
◆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1791년 프랑스 헌법 서문)
◆ 육식의 대중화와 식단의 사회적 편차
제7장 20세기의 유럽
제1차 세계대전과 베르사유 체제
공산주의, 파시즘, 세계 공황
나치 독일의 대두와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제2차 세계대전과 유럽의 재편성
냉전 체제의 전개와 새 유럽의 모색
소련·동유럽의 해체와 냉전의 종식
column
◆ 유대인 학살,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
◆ 확장 개업한 ‘유럽의 집’ EU-27
◆ 20세기에 대한 회고, 그리고 전망
유럽의 왕가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윤승준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졸업, 이후 프랑스 파리 제4대학(소르본) D.E.A.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인문학부 교수 겸 박물관장, 인천광역시사 편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역사의 대중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새 유럽의 역사', '유럽 혁명 1492~1992, 지배와 정복의 역사'가 있고, 논문으로는 '영불통상조약(1860)의 경제적 의의'(석사논문), '프랑스혁명기 '세느-에-와즈'의 공유지와 농민들'(박사논문) 등이 있다.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졸업, 이후 프랑스 파리 제4대학(소르본) D.E.A.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인문학부 교수 겸 박물관장, 인천광역시사 편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역사의 대중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새 유럽의 역사', '유럽 혁명 1492~1992, 지배와 정복의 역사'가 있고, 논문으로는 '영불통상조약(1860)의 경제적 의의'(석사논문), '프랑스혁명기 '세느-에-와즈'의 공유지와 농민들'(박사논문) 등이 있다.